고려시대 소수공업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 머리말

2. 所手工業의 형성

3. 所의 구성과 해체

4. 맺음말

본문내용

효과적으로 수취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것이다. 하지만 과도한 수취는 소민들로 하여금 그것에 대한 수요를 충당할 수 없었고 결국에는 민의 이탈과 유망으로 이어져 소이 해체로까지 이어진다.
아직까지는 소수공업에 대한 의문점이 많다. 소 수공업은 산물의 현산지에 위치한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광산물이나 특수작물의 경우에서 모두 그렇다. 그런데 수공업품의 원료가 바닥이 난다던가, 더 이상의 수요를 바랄 수 없을 때 국가는 소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의문이다. 금, 은, 동, 철 같은 광산업의 경우에서는 원료가 바닥이 나게 되면 그 所는 어떻게 되었을지 의문이다. 기능이 다하였을 때에 所가 이동하게 되는지 또한 이동하게 된다면 다른 일반군현이 所가 될 수도 있는 것인지, 부곡민과 군현민간에 일정한 차별이 있었는데, 이러한 대우는 어떻게 변화한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의문을 가지고 해결해볼 생각이다.
※ 참고문헌
《高麗史》
《宣和奉使 高麗圖經》
권영국,「14세기 鹽制의 成立과 運用」『한국사론』13, 서울대 국사학과.
김동철,「수공업과 염업」『한국사』19, 국사편찬위원회, 1996.
박옥걸,『高麗時代의 歸化人 硏究』국학자료원, 1996.
박종기,『고려시대부곡제연구』서울대 출판부, 1990
서명희, 「고려전기의 경제구조」『한국사』14, 국사편찬위원회, 1993.
서성호, 『고려전기 수공업연구』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안병우,「고려시대 수공업과 상업」『한국사』6, 한길사, 1994.
홍희유,『조선중세수공업사연구』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2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