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복지] 한국의 국제사회복지 - 한국 내 국제사회복지의 태동, 한국전쟁과 국제사회복지활동, 사회복지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의 발전, 국제사회복지활동의 발전 모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사회복지] 한국의 국제사회복지 - 한국 내 국제사회복지의 태동, 한국전쟁과 국제사회복지활동, 사회복지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의 발전, 국제사회복지활동의 발전 모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한국 내 국제사회복지의 태동
2. 한국전쟁과 국제사회복지활동
3.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4. 국제사회복지활동의 발전 모색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조나 긴급구호 같은 일방적인 사업에서 지역사회조직 및 개발과 같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자립 조직화 사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은 바람직한 것이다.
국제사회복지활동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INGO 내외적으로 많은 비판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국제원조에 대한 수혜정부관리들의 비우호적인 태도나 비리의 문제, 인허가 등에 있어서 정부의 비일관적인 태도나 정책의 변화, 비효율적인 예산집행 등이다. 현지 주민들의 자립적이고 주체적인 조직화를 위한 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문화적 배경과 사회환경이 다른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인해 한국 실무자와 현지인과의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며, 심지어 토착문화의 긍정적 요소를 파괴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도 경험한 현지 토착화에 기반한 자생적 사회복지 실천의 고민도 하게 된다. 이는 국제사회복지활동을 수행하는 단체들이 난립하고, 이로 인한 생존경쟁이 치열해져 현지성을 무시한 일방적인 사업 수행이 증가하는 것과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결국 이러한 일방적인 지원은 현지의 의존성과 공동체성을 파괴하는 결과가 생기기도 한다. 이 외에도 공공영역은 정치적인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예를 들면 필리핀에 대한 ODA 지원규모는 다른 여타의 열악한 아시아 국가와 비교하면 너무 많은 .것이다.
앞으로 한국의 국제사회복지활동은 현지 토착화에 기반한 자립화의 과제가 중요할 것이다. 현지인에 의한, 현지인을 위한, 현지인의 실천을 통해 만들어지는 사회복지활동을 이루기 위한 촉진자이자 지원자로서의 역할 수행이 필요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인류애와 인권에 기초한 접근이다. 잘 사는 나라의 못사는 나라에 대한 원조가 아니라 인류애와 인권적 가치의 실현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가치 실현을 기초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앞서 강조한 문화이미지의 재생산에 대한 고민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다. 국제사회복지활동에 참여하는 INGO 간 협력이 점차로 성숙되어가는 모습이 보이기는 하지만, 앞으로 이들 간의 네트워크는 더욱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류기형, 강대선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이종복, 이성순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김동진, 박인아 외 저, 다문화복지론, 공동체 2013
김인숙 저,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 학문사 2011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4.2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