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특징, 모래놀이의 특성과 치료, 모래놀이치료자(놀이치료사)의 역할, 모래놀이치료의 발전과정(역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래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특징, 모래놀이의 특성과 치료, 모래놀이치료자(놀이치료사)의 역할, 모래놀이치료의 발전과정(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모래놀이치료

I. 모래놀이치료의 정의

II. 모래놀이의 특성

III. 모래놀이의 치료적 힘

IV. 모래놀이치료자의 역할

V. 모래놀이치료의 발전과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lay)'라고 하였다. 칼프 여사의 관점은 동양철학에
대한 공부, 높은 직관력, 노이만(Neuman)의 발달이론에 대한 영향, 융과 로웬펠드
와 함께 공부한 것, 오랫동안 모래상자를 사용해 온 역사 등으로부터 형성되었다. 칼
프 여사는 모래놀이를 원형적인 내적 세계를 표현하게 하고 일상의 현실과 연결하게
해주는 도구로 보았다. 칼프의 모래놀이는, 정신은 전체성과 치유를 향해서 움직이
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는 응의 신념에 기초한다. 상징놀이는 의식적 정신과 무의식적
정신 간에 대화를 하게 한다고 한다. 치료자가 만들어 낸 안전하고 보호된 공간 안에
있는 모든 차원들이 혼합되어 화해와 전체성을 상징하는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고 자
아(ego)와 자기(self)의 연결을 재확립하게 만든다고 한다. 칼프는 어린이들이 자아
(ego)와 자기(self)가 재활성화되어 결합을 이룬 다음에 더욱 균형적이고 조화로운 행
동을 한다는 것을 관찰한 다음 어른들에게도 모래놀이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칼프는 국제적으로 다른 융 분석가들에게 모래놀이에 대해서 강의를 하고 훈련시
키며 모래놀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한 촉매자였다. 세계기법과는 달리 분석심리
학에 바탕을 둔 모래놀이치료자는 내담자를 직면시킨다. 칼프 여사는 마른 모래상자
와 젖은 모래상자, 즉 두 차원의 모래상자를 사용했다. 상자의 바닥과 측면들은 하늘
과 물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푸른색으로 되어 있다. 내담자가 모래상자 만드는 것
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치료자는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여러 개의 상자를
만들 때까지 해석을 하지 말라고 했다.
이와 같이 웰스(Wells)가 1911년에 개발한 "마루게임(floor Games)"에 린트를 얻
어 로웬펠드가 세계기법을 만들었는데, 스위스의 칼프는 이러한 기법에 치료적 의미
를 부여하였다. 그녀는 세계기법에 분석심리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자신의 치료 실천
에 근거한 이론을 적용하였다. 칼프는 정신분석이나 분석심리학자들 사이에 모래놀
이치료가 널리 퍼지도록 하는 촉매자의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초 도미니코(Domenico)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모래상자를 사용해서
정상적인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인 연구를 했다. 어린이, 성인, 부부,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임상적이고 변용적인 작업을 했다. 그녀는 자신의 모래놀이
이론과 실제를 '모래상자-세계놀이(Sandtray-Worldplay)'라고 불렀다. 그녀는 다
양한 색깔의 모래가 담겨 있는 모래상자에서 모래, 물, 이미지를 가지고 놀면서 회기
가 진행되는 동안 정신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관찰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론을
세웠다. 과정을 충분히 경험하는 것, 놀이의 결과들, 모래놀이 과정의 각 단계에서 일
어나는 치유적인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에 초점을 두었다.
도미니코도 정신의 치유력(Healing power of psyche)을 강조한다. 그녀는 무의
식적인 정신의 깊이를 강조하기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과 자신이 만든 세
계를 경험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 치료자가 침묵하든 말을 하든 해석을 하지 않음으
로써 의식의 깊이를 가지고 직접 작업한다. 그녀는 치유와 성장을 향한 내담자의 움
직임을 충실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정신과 놀이 결과에 대해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것을 강조하였다. 도미니코는 모래놀이치료자의 기능을 내담자의 '격렬한 성장'
과 각 개인에 대한 '공동체적-사회적 기대들'을 증개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정신에 대한 도미니코의 접근 방법은 로웬펠드와 칼프의 접근 방법과는 매우 다르
다. 도미니코는 인간을 다차원적인 존재로 보았다. 다차원적인 인간 존재는 다양한
차원에서 의식적(무의식적이 아니라)이며 현실의 다양한 면을 경험하고 응답하고 창
조하고 수정하기 위해 다른 의식의 몸을 사용한다. 그녀는 이미지들이 일단 상자에
놓여지게 되면 더 이상 상징이 아니라 진짜가 된다고 하였다. 로웬펠드나 칼프와 달
리, 도미니코는 의식의 영역과 몸은 내담자의 진단에도 불구하고 각 개인 안에서 기
능한다고 여겼다. 그녀는 모래놀이는 항상 의식의 영역과 몸을 활성화시킨다고 생각
하였다.
도미니코는 로웬펠드와 마찬가지로 내담자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가지고 시작
하고, 칼프와 마찬가지로 내담자의 경험의 원형적인 수준을 존중하지만 해석하지는
않는다. 그녀는 내담자가 모래놀이 세계를 깊이 경험하고 자신의 중심에 대해서 깨닫
고, 자신들에 대해서 책임지는 기술들을 만들었다. 다른 치료자들과 달리 도미니코
는 개별 모래놀이 회기 기록지뿐만 아니라 집단모래놀이용 회기 기록지를 개발했다.
그녀는 내담자에게 모래놀이 경험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것을 요구하였고, 치료자에
게는 자기발견을 위해서 모래놀이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현재 모래놀이치료는 응의 상징적 접근을 기초로 하는 칼프 학파의 모래놀이와 도
미니코의 래상자-세계놀이' 가 널리 실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모래놀이를 적용하
고자 하는 치료자들이 많이 늘고 있다. 모래놀이는 치료적인 환경인 모래 위에서 다양한 놀이방법을 허용한다. 경직된 규칙을 세우지 않으며 해석을 하지 않는 추세이다. 또한 치료의 보조물로서 언어적 접근과 비언어적 접근을 모두 사용한다. 내담자와 치료자의 창조성으로부터 펼쳐지는 많은 경험을 구체화해 주는 모래놀이치료는 오늘날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도 치유와 성장에 매우 유익한 치료기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통원 및 입원환자의 정신건강시설, 병원, 개인진료소, 기관, 학교, 사업 등 여러 분야에서 모래놀이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 참고문헌
놀이치료의 이해 - 유가효, 위영희 외 3명 저(양서원, 2014)
놀이치료 - 김연진, 장미경 외 1명 저(창지사, 2009)
놀이치료의 기초 - CHarles E. Schaefer 저, 김은정 역(시그마프레스, 2015)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시그마프레스, 2011)
놀이치료개론 - 송영혜 저(에버그린북스, 2015)
놀이치료(아동세계의 이해) - 이숙희, 고인숙 저(교육아카데미, 2003)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5.10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