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계획서] 수제초콜렛 테이크아웃 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업계획서] 수제초콜렛 테이크아웃 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창업기업소개
(1) 미션과 비전
(2) 창업배경

2. 시장상황분석
(1) 현재상황과 향후전망
(2) 입지선정전략
(3) 시장성 분석
3. 사업전략
(1) 제품전략
(2) 차별화전략 (핵심역량)

4. 재무전략
(1) 창업비용
-초기투자비용
-고정비
-변동비
(2) 추정매출 이익

5. 마케팅전략
(1) SWOT 분석
(2) 마케팅 전략

6. 결론

본문내용

초콜릿을 선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판매 전략을 접목시켜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아이스 팩을 넣어 택배 배송을 해주는 것도 우리만의 핵심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제과점이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초콜릿과는 달리 고객들이 원하는 토핑을 주문할 수 있고, 다양한 맛의 초콜릿을 옵션으로 갖출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4. 재무전략
(1) 창업비용
(2) 추정매출 이익
초기투자비용
냉장고(디피용)
900,000
냉장고(주방)
1,900,000
중탕기
100,000
보증금
20,000,000
인테리어
20,000,000
기타비용
2,000,000
합계
44,900,000
고정비
임대료
1,600,000
운영비
3,000,000
합계
4,600,000
변동비
초콜릿 단가 (500g)
6,000
아몬드 (500g)
6,000
호두 (500g)
9,000
럼주 (1kg)
7,000
딸기 퓨레
5,000
버터
6,000
건조체리 (100g)
3,000
합계
42,000
상품
가격
개수
4개
6,000
1
6개
8,000
1
10개
10,000
1
20개
20,000
1
합계
44,000
상품을 한 박스씩 다 팔았을 경우 44000원이다.
최소 한 박스씩 골고루 다 팔린다고 가정해서 계산하면 1127개를 팔았을 때가 손익분기점이다. 그렇다면 1128개를 팔았을 때부터 순이익이 발생한다.
5. 마케팅전략
(1) SWOT 분석
(2) 마케팅 전략
S Strength
: 비교적 젊은 층이 주를 이루며 선호한다.
초콜릿의 종류와 원하는 필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기호를 반영한다.
성인병 예방 및 다이어트 효과와 웰빙 열풍으로 다크 초콜릿이 각광받고 있다.
W Weakness
: 소규모 창업이기에 홍보비가 많이 든다.
기존의 초콜릿 상품이 즐비하고 있다.
O Opportunity
: 독특한 아이디어로 무장하여 타 가게들의 초콜릿에 비해 차별성이 강하다.
각종 선물을 주거나 이벤트의 날들이 많아지고 있다.
(ex. 밸런타인데이, 빼빼로데이, 화이트데이)
T Threat
: 초콜릿 시장 상권이 치열하고 경쟁사들이 많다.
소비의 축소와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판매에 어려움이 있다.
수제 초콜릿 시장의 규모가 아직 크지 않다.
당뇨병 환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① 쿠폰제 및 생일 이벤트
쿠폰제를 통해 고객들을 단골손님으로 끌어 모으며, 생일맞이 사이즈up제를 시행한다. 초콜릿을 구매 시 생일임을 증명하는 신분증을 제시하면 확인 후 구매한 초콜릿의 한 단계 사이즈up을 받을 수 있다.
② 커플 이벤트
앞서 말했듯이 연인들 역시 주 고객 층이므로, 커플 고객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커플들을 위한 서비스로 기념일과 같은 특별한 날을 위한 특별한 초콜릿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③ 기념일 마케팅
밸런타인데이, 화이트데이, 크리스마스, 수능 시험, 생일 등과 같은 기념일에는 초콜릿의 소비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시즌에 맞는 초콜릿을 독특하게 디자인하여 다른 일반 초콜릿과 차별화를 두고 시장 확보를 할 것이다.
④ 시식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보통 여러 가지 다양한 초콜릿을 보면 어떤 것을 살지 많이 망설이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시식을 위한 작은 초콜릿을 준비하여 고객들에게 제품을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그러면 고객들은 제품 선택에 있어서 망설임 없이 자신이 선택한 것에 자신을 갖게 한다. 그리고 신제품이 나왔을 때 고객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시식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할 것이다.
⑤ 초콜릿 제조 과정 강습 이벤트
우리는 초콜릿의 제조 과정을 고객들에게 직접 보여주고, 가르쳐 주는 이벤트를 실시하려고 한다. 평소에 테마별로 몇몇의 초콜릿을 만들어주면서, 동시에 고객들에게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면, 고객들과 함께 참여하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충성도를 갖게 할 가능성도 커질 것이다.
6. 결론
앞서 말했듯이, 최근 기호식품들의 수요가 점점 늘면서 점점 전문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초콜릿 전문점은 기호식품들의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좋은 사업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각각의 개인에게 맞춤 형태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창의성 있는 초콜릿 메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초콜릿을 파는 가게와는 차별화가 있다.
이런 빈틈을 노려서 수제 초콜릿 전문점 브랜드화를 노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5.30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