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교수님께 칭찬받은 케이스] 아동간호 실습 케이스 Case 열성경련 열성발작 Febrile seizure sz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간호목표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간호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교수님께 칭찬받은 케이스] 아동간호 실습 케이스 Case 열성경련 열성발작 Febrile seizure sz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간호목표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간호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대상자 소개
3. 간호사정
4. 사용 약물
5. 간호과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r breathing sound *w/o wheezing *without, ~없이
- Smear gram stain, Culture for bacteria
진단명 : fever, sz(seizure, 발작)
환자의 주호소 (chief complaint) : fever, *sz *seizure, 발작
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며, 땀을 많이 흘림
2016-05-01 Alporin *D/C, Unasyn 추가 *Discontinue, 중단
2016-05-02 RAPID INFLUENZA *AG TEST (+) *Antigen, 항원
간호목표
단기목표 : 체온을 정상 범위로 맞춘다. (36.5~37.5℃)
장기목표 :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이 없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
1. 고체온 증상을 사정하고 2시간마다 V/S(Vital Sign,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고열 시에는 땀, 붉은 피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과 호흡수, 그리고 맥박이 증가한다.
2. 미온수에 수건을 적셔 몸을 닦아주도록 교육한다.
→ 찬물은 오히려 체온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미온수로 수건 등을 적셔 전신을 닦아주면 물이 증발하면서 기화열에
의해 체온이 내려간다.
3. 수분을 보충한다.
→ 열이 있을 경우 평소보다 수분이 많이 소모되어 탈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4.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함으로써 대류에 의해 체열을 방출시킨다.
5. 필요시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 해열제는 체온을 떨어뜨린다.
6. 감염의 원인균을 제거하는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 원인균을 제거하여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을 방지한다.
간호중재
1.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으며 고체온 증상을 사정하였다.
2. 미온수 마사지 요법을 교육하였다.
3. 5% Dextorose&NaCl을 IV(IntraVenous, 정맥주사)로 주입하여 수분을 보충하였다.
4. 창문을 열어주어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5. 발열 시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였다.
6. 감염의 원인균을 제거하기 위해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05/03, 정상 범위의 체온을 유지하였다.
두 번째.
간호 진단 : 고체온과 관련된 발작 위험성
자료
주관적
객관적
진단명 : Febrile Seizure
2016/04/30, GTC type seizure가 나타나고 fever 38.6℃
간호목표
단기목표 : 체온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고체온으로 인한 발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고체온 증상을 사정하고 2시간마다 V/S(Vital Sign,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고열 시에는 땀, 붉은 피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과 호흡수, 그리고 맥박이 증가한다.
2. 미온수에 수건을 적셔 몸을 닦아주도록 교육한다.
→ 찬물은 오히려 체온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미온수로 수건 등을 적셔 전신을 닦아주면 물이 증발하면서 기화열에
의해 체온이 내려간다.
3. 수분을 보충한다.
→ 열이 있을 경우 평소보다 수분이 많이 소모되어 탈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4.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함으로써 대류에 의해 체열을 방출시킨다.
5. 발작 시 벨을 누르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발작 시 빠른 대처로 발작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한다.
6. 발작 시 대처법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발작 시 빠른 대처로 발작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한다.
7. 보호자가 환자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한다.
→ 발작의 전조증상을 관찰 할 수 있다.
간호중재
1.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으며 고체온 증상을 사정하였다.
2. 미온수 마사지 요법을 교육하였다.
3. 5% Dextorose& NaCl을 IV(IntraVenous, 정맥주사)로 주입하여 수분을 보충하였다.
4. 창문을 열어주어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5. 발열 시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였다.
6. 보호자에게 발작 시 벨을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7. 보호자에게 발작 시 대처법을 교육하였다.
8. 보호자가 환자 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05/03, 정상 범위 내로 체온이 유지되었으며 고체온으로 인한 발작이 일어나지 않았다.
셋 번째.
장소에 대한 지남력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네 번째.
장기간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권미경외 다수
- 의약품정보 :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6.04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4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