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시 영양관리] 수술환자 영양관리(수술 전과 수술 후 영양관리), 수술 종류에 따른 영양관리(식단관리), 수술 후 합병증에 따른 영양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시 영양관리] 수술환자 영양관리(수술 전과 수술 후 영양관리), 수술 종류에 따른 영양관리(식단관리), 수술 후 합병증에 따른 영양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CONTENTS -

수술시 영양관리

I. 수술 전 영양관리
1. 식사요법
1) 열량
2) 단백질
3) 수분
4) 비타민과 무기질
2. 수술 전 음식섭취

II. 수술 후 영양관리
1. 식사요법
1) 열량
2) 단백질
3) 비타민과 무기질

III. 수술 종류에 따른 영양관리
1. 위 십이지장 수술
1) 덤핑 증후군
(1) 조기 덤핑 증후군
(2) 후기 덤핑 증후군
2) 영양장애와 빈혈
2. 장 수술
1) 식사요법
3. 담낭 수술
4. 기타 수술
1) 편도선 수술
2) 간의 부분절제술

IV.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영양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 10-50% 정도에서 발생하고 젊은 사람일수록 발생빈도가 높다.
식사 후 15분 사이에 발한, 경련, 만복감, 빠른 맥박, 식은 땀,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 복부 팽만감 등의 증세를 보인다. 소화 흡수가 빠른 단순당질이 많은 식사시 발생하며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아래의 그림은 덤핑 증후군에 따른 증상과 혈당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덤핑 증후군에 따른 혈당곡선
(2) 후기 덤핑 증후군
식사 후 2시간 정도 지나 전신 권태감, 탈력감, 손떨림, 현기증 등이 나타나는데 이를 후기 덤핑 증후군 또는 식후 저혈당증이라 부른다. 다량의 음식물이 빠르게 소장으로 이동하고 특히 당질의 소화흡수가 빠르게 일어나므로 일시적으로 고혈당 상태가 된다. 이것은 인슐린의 과잉 분비를 자극하여 결국 저혈당증을 일으킨다.
식사는 고단백, 저당질식을 중심으로 소량씩 자주 주고 수분은 식사 전후 1시간은 피하고 우유나 알코올 섭취도 금한다. 설탕이나 청량음료 등 단순당 섭취는 완전히 금한다.
2) 영양장애와 빈혈
위절제 수술로 식사량이 줄거나 위내 음식물의 정체시간이 짧거나 담즙이나 췌액의 분비가 저하되면 소화흡수 불량에 의한 여러 가지 영양장애가 나타난다. 따라서 저지방식과 저잔사식으로 충분한 열량을 공급한다. 절제로 위산 분비가 줄고 따라서 철분의 흡수가 저하되어 철결핍성 빈혈이 일어난다. 철분이 풍부한 고단백질, 고열량식으로 하고 비타민 C는 철의 흡수를 촉진시키므로 충분히 섭취한다.
위 절제수술 후 3-5년이 되면 악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분비되는 내적인자의 부족으로 식사 중 비타민 B12가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므로 별도의 비타민 B12공급이 필요하다.
2. 장 수술
소장의 2/3 이상을 제거하면 심한 흡수장애와 영양결핍이 일어난다. 소장 윗부분은 무기질 및 수용성 비타민, 중간부에서는 지질, 단백질 및 지용성 비타민, 아래 부분에서 담즙산 및 비타민 B12 등의 흡수장애가 일어난다. 그 외 각종 전해질과 수분의 흡수능력이 저하된다.
1) 식사요법
수술 후 1-2일간 절식한 후 밝은 유동식으로 시작하여 차차 저잔사식을 공급한다. 수술 후 빠른 회복을 위해서 단백질과 에너지의 충분한 공급이 필요하다. 지방은 소화흡수시간이 길고 설사와 지방변의 원인이 되므로 가능한 피한다. 대장 절제 후에는 수분의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데 이때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설사를 일으키므로 주의한다.
섬유소는 장내에서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피하고 특히 대장수술의 경우 분변량을 줄이기 위해서도 소화가 쉽고 섬유소가 적은 식품을 선택한다. 지나치게 뜨겁거나 찬 음식, 강한 향신료나 알코올, 카페인 등은 장의 운동을 자극하므로 주의한다.
회장 절제수술 후에는 대변량 증가, 체액 및 무기질, 단백질의 손실, 지방 및 비타민 B12 흡수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비타민 B12와 상당량의 지방은 주로 회장에서만 흡수된다. 따라서 지방을 다소 제한하는 것이 좋고 비타민 B12는 정맥주사로 보충한다. 변의 악취를 막기 위해 가스 발생 식품과 자극성이 있는 조미료 등은 금한다.
* 주의 식품
- 가스를 발생하거나 향이 강한 식품
콩, 양파, 달걀, 생선, 과일류(사과, 벨론, 수박, 바나나, 참외, 건포도), 채소류(양파, 양배추, 아스파라거스, 브로콜리, 컬리플라워, 가지, 오이, 부추, 고추, 옥수수), 치즈, 견과류, 사탕, 탄산음료
- 변을 묽게 하는 식품
콩, 과량의 커피, 적포도주, 맥주, 양념을 많이 한 음식, 뜨거운 국이나 음료, 과식, 초콜릿, 감초, 생과일, 과일 주스
- 변을 단단하게 하는 식품
전분질 식품, 사과소스, 바나나, 땅콩버터
- 소화가 잘 안 되는 식품
셀러리, 양송이, 조미료, 초콜릿, 견과류, 상추, 양배추, 피망, 완두, 깨, 해바라기 씨, 옥수수, 팝콘, 파인애플, 건포도, 말린 과일, 채소와 과일의 점질, 코코넛, 피클
3. 담낭 수술
담낭절제 후 증후군은 수술 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략 25-30%에 달한다. 증상으로 선통발작, 복통, 발열, 황달, 오심 등이 있다. 절제수술로 인해 담즙 분비가 충분하지 않으면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장애가 일어나기 쉽다.
담석제거 수술은 수술 전 심한 통증으로 식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맥주사로 영양보급을 한다. 가능한 지방이 적고 소화흡수가 잘되는 식사를 공급한다. 하지만 오랫동안 지방을 제한하면 필수 지방산의 부족과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가 매우 나빠진다. 회복 정도에 따라 지방의 양을 서서히 늘린다.
4. 기타 수술
1) 편도선 수술
편도선 및 입이나 목 부위의 수술 후에는 수술부위의 출혈을막기 위하여 찬 음료수만 허용된다. 물, 우유, 아이스크림, 배즙, 냉차, 냉커피 등을 줄 수 있다. 수술 후 2일째부터 미지근한 유동식이나 우유 토스트, 계란찜, 반숙란, 흰죽 등 부드러운 음식을 조심스럽게 첨가한다. 대개 7-10일이면 정상식사로 돌아온다.
2) 간의 부분절제술
간의 부분절제수술 후에는 체내 대사이상이 없으며 간 기능도 대개 2-3주 후면 정상화된다. 하지만 황달과 간세포의 장애를 수반한 경우는 수술 전후 식사요법이 중요하며 고열량, 고당질, 고단백식으로 지방을 제한한 식사를 공급한다.
IV.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영양관리
수술 후에는 여러 가지 영양장애가 나타나는 데 대개 소화기 수술 후의 기능탈락에 의한 것이다. 식도암이나 위암수술 후 경구섭취 불능에 따른 영양장애, 위암이나 췌장암 수술 후 골다공증과 빈혈, 소장 절제수술 후 B12 결핍성 빈혈과 고뇨산혈증에 의한 요로결석, 장관 대량 절제 후 담석 형성 등이 알려져 있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7.28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