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의 종류와 원인 및 예방방법)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알레르기성 식중독), 바이러스성 식중독, 미생물 식중독의 증상과 예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중독의 종류와 원인 및 예방방법)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알레르기성 식중독), 바이러스성 식중독, 미생물 식중독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식중독의 분류

I. 세균성 식중독
1. 감염형 식중독
1)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2) 살모넬라 식중독
3)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4) 캄필로박터 식중독
5)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2. 독소형 식중독
1)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2) 보톨리누스균 식중독
3. 알레르기성 식중독

II. 바이러스성 식중독
1. 간염 A 바이러스
2. 간염 E 바이러스
3. 로타바이러스
4. 소형 원형구조 바이러스

III. 미생물 식중독의 예방법
1. 적극적인 식중독 감시활동
2. 안전한 식품 생산과 취급

*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간염 A 바이러스
HAV(Hepatitis A virus)는 Picornavihdae family의 enterovirus 그룹에 속하며, 직
경 27nm의 단백질 캡시드로 둘러싸인 RNA 바이러스이다. Poliovirus, coxsackievius,
echovirus 및 rhinovirus를 포함한 다른 picornavirus도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킨다.
Hepatitis A 바이러스 갑작스러운 발열, 권태감, 욕지기, 식욕 감퇴, 복부 불쾌감에 이
어 수일 후에 황달이 발생한다. ID50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10~100virus로 추정된다.
HAV는 감염된 사람의 분변을 통해 배설되며, 감수성 있는 사람이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었을 때 발생한다. 샌드위치. 과일과 과일 주스, 우유 및 유제품, 야채, 샐러
드, 어패류 및 얼음이 든 음료수도 흔히 식중독 발생에 관련되어 있다. 식품가공 공장
과 레스토랑에서 감염도 빈번하다.
미국에서 매년 간염환자의 38%가 HAV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중 7.3%가 식중독
또는 수인성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HAV는 1954, 1961 및 1971년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였다. 1980년대에는 주요 유행이 없었지만, 미국에서 HAV의 발생은 1983년부
터 1989년에 58% 증가하였다.
2) 간염 E 바이러스
Hepatits E virus는 fecal-oral route를 통해 전파되며, 수인성 및 person-to-person
전파도 기록되어 있다. 감염 집단은 대부분 15-40세에서 발생하며 임산부에서는 중
증으로 발생하며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주요 수인성 유행 지역은 인도(1955년 및 1975-1976년), 소련(1955-1956년), 네팔
(1973년), 미얀마(1976-1977), 알제리아(1980-1981년), 아이보리 코스트(1983-1984
년), 동부 수단과 소말리아 난민촌(1985-1986년), 멕시코(1986년), 보르네오(1987년)
등이다.
3) 로타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Rota virus)는 fecal-oral route로 전파되며, 오염된 손을 통해 Person-to-person 전파도 소아병동, 노인병동, 탁아소, 가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염된 식품 취급자는 샐러드, 과일 등의 식품을 오염시켜 유행을 일으킬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이며, 유아와 어린이에게는 심한 설사를 일으키며, 환자의 절반 이상은 병원에 입원하여야 한다. 미국에서 해마다 300만 명 이상의 로타바이러스 위장염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나, 식품오염에 의한 환자 발생수는 모른다. 환자 발생은 주로 6개월에서 2세 미만의 어린이 노인 및 면역부전 환자에게 특히 많이 발생한다.
4) 소형 원형구조 바이러스
오염된 물과 식품을 통한 fecal-oral route에 의해 전파되며, 사람에서 사람으로 2차 전파도 기록되어 있다. 유행의 가장 혼한 근원은 물이며, 상수도, 우물, 수영장, 레저용 호수. 해외를 항해는 선박이 정박하는 부두의 물도 원인이 된다. 어패류와 샐러드는 Norwalk 위장염 발생의 주요 원인이며, 생굴이나 생조개를 먹거나 불완전하게 열처리한 어패류를 먹을 때 많이 발생한다. 어패류 이외의 음식은 감염된 식품 조리자에 의해 오염된다. Norwalk virus에 의한 식중독 위장염 발생은 날 어패류의 소비와 자주 관계가 있다. 생조개와 굴에 의한 식중독 발생은 1978년 호주와 1982년 뉴욕주에서 발생하였다. 1983년부터 1987년 사이에 미국에서 Norwalk virus에 의한 식중독 발생이 10건이나 보고되었는데, 관련 식품으로는 과일, 샐러드, 계란, 달걀 및 제과였다.
III. 미생물 식중독의 예방법
(1) 적극적인 식중독 감시 활동
식중독 감시는 식중독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실험실, 의사 및 공중 보건 기관 사이의 협력은 진단보고, 균분리 및 감염원을 조사하는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식중독 감시는 수동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대규모 식중독에 대해 역학 조사를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보건 담당자는 역학조사 결과를 중앙 정부에 보고하며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분균리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고 있다. 이 감시 정보의 통계분석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면, 시간 또는 지역적으로 다른 감염 집단을 탐지할 수 있으며, 발병을 초기에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 보고에 대한 정보는 아직 자체 정보 수준에 머무르고 있지만 앞으로 함께 이용될 수 있다면, 실험실에 의한 감시와 같이 식중독 병원균에 의한 감염에서 장시간 추세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지 시스템은 단지 일부 환자만이 병원을 찾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설사환자에서 분변 배양물을 상시 얻을 수 없고, 식중독 병원균 배양을 모든 실험실에서 할 수 없으며, 모든 실험실이 보건 공무원에게 분리균을 보고하지 않기 매문에 상당수가 보고되지 않기 쉽다. 미국에서도 CDC에 보고된 살모넬라중의 모든 사례중 약 20-100건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 안전한 식품 생산과 취급
식중독 예합은 원료 식품과 최종 식품의 조심스러운 취급에 의존한다. 위험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어디에서든 일어날 수 있다. 다행스럽게 발전된 기술은 일부 식중독을 예방하는데 이용된다. 식품위생에서 20세기의 혁명은 냉장, 물의 염소 소독, 하수처리, 우유의 살균 및 어패류 모니터링을 포함한 환경 보전기술의 용용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은 많은 식품과 관련된 산발성 질환과 집단 발병을 성공적으로 감소시켰다.
새로운 세기의 접근법으로서 신기술과 산업 엔지니어링은 식품 안전성을 개선할 전망을 가지고 있다. 원료와 최중 성분의 열처리, 항균성 세척 및 살균은 가장 확실한 기술이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8.25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3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