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소설론] 시점론 - 시점의 정의와 시점의 유형 분류, 시점 연구의 실례(목격자적 1인칭 형태, 주동자적 1인칭 형태, 전지적 작가시점-이광수의 무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소설론] 시점론 - 시점의 정의와 시점의 유형 분류, 시점 연구의 실례(목격자적 1인칭 형태, 주동자적 1인칭 형태, 전지적 작가시점-이광수의 무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점의 정의와 그 분류
(1) 시점의 정의
(2) 시점의 유형 분류

2. 시점 연구의 실례
(1) 목격자적 1인칭 형태
(2) 주동자적 1인칭 형태
(3) 전지적 작가시점(이광수의 「무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나 방법에 있어서 보고형식이 우세하다 그만큼 장식적인 지체가 별로 없이 행동을 재현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거시제가 우세하고, 3인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재법도 많이 나타나서 묘사나 표상의 현실도를 고양시킨다.
(3) 전지적 작가시점(이광수의 「무정」)
① 어떤 시점으로 작중 현실을 형태화하느냐는 그 작품의 제재나 주제의식 또는 작가의 성향과의 싱-응성에 의해 결정된다.
② 이광수는 작가가 선정한 인물이 작중의 상황에 의해 삶의 현장이 되는 것을 방관하지 않는다. 그 인물을 조종하고 필요하면 언제나 작중에 서술자로서 개입한다. 「무정」에 등장하는 인물의 외면과 내면을 전부 관장하고 행동에 관한 설명, 심리적 변화의 의미까지도 해석한다.
③ 이광수는 주인공의 감정을 분석하고 심리적 변화를 설명하여 ‘성격의 내향성’을 알게 해주고, 신(神)과 같이 구질서가 붕괴되고 새로운 근대의식에 의한 개화의 눈이 떠가는 현실에서 고민하면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생활을 서술하고 있다.
④ 이광수는 「무정」을 욕구 → 좌절 → 성취(구제)의 갈등구조로 작중 현실을 전개해 간다. 욕구는 지향적 욕구, 좌절은 존재적 현실의 갈등이다.
⑤ '성취욕구의 변이’는 지라르(R. Girard)의 『욕망의 삼각형』에 의해 규명될 수 있으며, 욕망의 삼각형은 지향적 욕구와 존재적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⑥ 「무정」의 구조적 문제점
㉠ 작가의 자의적 개입 : 기차세서 선형, 영채와 병욱이 만나고, 형식의 우유부단한 행동, 삼랑진에서의 자선음악회 장면은 플롯의 파괴를 기쪄왔으나 필연적 인과관계에 의한 것이다.
㉡ 지나친 우연성 : 형식이 선형과 성혼하여 미국으로 가는 진행성, 영채가 병욱과 일본으로 가는 진행성의 일치가 모두 우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 작가의 지의적 개입이나 우연성의 가능성은 작품 속에서 충분히 예시되었으며, 소설이 현실 이상으로 질서있는 세계라면 우연성도 개입될 수 있다.
⑦ 작품 「무정」은 욕구 → 좌절 → 성취의 갈등구조로 진행하면서 작가의 변형인 신우선과 병욱을 등장시켜 새로운 내일에의 지향성을 전지적 작가시점으로 점철(點線)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승원 저, 해법문학 현대소설, 천재교육 2014
윤성원, 정승철 저, 한권에 잡히는 현대소설, 블랙박스 2011
한국현대소설연구회 저, 현대소설론, 평민사 2015
윤희재 저, 전공국어 현대소설, 열린소설 2017
유태영 저, 현대소설론, 국학자료원 2013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3.0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