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결핍] 비타민 결핍증(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D, 니아신 결핍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타민결핍] 비타민 결핍증(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D, 니아신 결핍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타민 결핍증

I. 비타민 A 결핍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II. 비타민 B1 결핍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III. 비타민 B2 결핍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IV. 비타민 C 결핍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V. 비타민 D 결핍증
1. 구루병

1) 원인
2) 증상
2. 골연화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VI. 니아신 결핍증
1. 원인
2. 증상
3. 식이요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비타민 C는 불안정해서 열에 약하고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신선한 식품을 선택하고 가능한 한 생식하는 것이 좋다. 조리 후 즉시 섭취하는 것이 좋고, 인공영양아에게는 과즙을 공급하며, 가능한한 모유를 섭취시키는 것이 좋다.
V. 비타민 D 결핍증
(1) 구루병
1) 원인
구루병은 주로 유유아에서 발생하는 비타민 D 결핍증이다. 성장 중 골격에 Ca침착부전에서 골격의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식사 중 비타민 D 부족에 의해 장에서의 Ca 흡수부족이나 골격 내 Ca의 흡착장애로 인해 초래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비타민 D는 자외선의 작용으로 피하에서 생성되므로 일광 조사시간이 짧은 북대륙이나 동북지방에 결핍증이 많다. 특히 유아기에는 성장을 위해 Ca의 요구량이 증가하는데 필요량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구루병이 일어나기 쉽다. 6-18개월쯤의 인공영양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2) 증상
골격의 발육장애를 주요 증상으로 한다. 골격의 석회화가 불충분하여 두개골이 종이 두께로 않아지고 골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척추는 뒤로 휘거나(곱사등), 옆으로 휘고 총곽은 변형되어 조골의 골, 다리는 휘어 O형 혹은 X형으로 된다. 또는 발치가 지연되고 그 밖에 소화불량, 발한, 근육의 이완, 빈혈 등이 나타난다.
(2) 골연화증
1) 원인
성인에게 나타나는 비타민 D 결핍중으로 골격에서 Ca 이 빠져나오기 때문에 주로 발병한다. 임신, 수유의 친수가 많은 부인에게 일어나기 쉽다. 이것은 태아의 발육이나 유즙 분비 때문에 Ca의 요구량이 증대하는데 Ca의 보급 부족, 비타민 D의 부족, 일광부족 등으로 일어난다.
2) 증상
골반, 허리부분, 배부(背部), 사지에 류마티스성 혹은 신경통 같은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초기의 증상이다. 골격이 연화되어 변형된 이유로 골반, 흉곽, 척추가 현저히 변형되고 보행도 곤란해진다.
3) 식이요법
비타민 D 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이로 비타민 D 함유 식품의 보급, 영양 전반의 개선 및 Ca의 섭취를 필요로 한다.
비타민 D의 권장량은 유아, 소아, 임신부, 수유부는 10으로 버터, 간, 버섯류나 효모 등을 많이 섭취함과 동시에 일광욕을 할 필요가 있다.
VI. 니아신 결핍증
1. 원인
Niacin 혹은 tryptophan의 결점으로 발생한다.
2. 증상
Niacin은 NAD, NADP와 같은 보조효소를 형성하여 체내 산화환원 반응에 관계한다. niacin 결핍에 의해 호흡효소계의 활동이 감소하고 세포의 기능이 약화되어 피부의 혈관운동, 소화관, 신경계, 순환기의 기능장애가 일어난다.
피부증상에는 Pellagra 피부염이 주요 증상인데 홍진, 수포, 각화가 일어난다. Pellagra의 의미는 "조잡한 피부"이다. 점막에도 변화가 일어나 구내염, 구각염, 설염이 나타난다.
소화기증상으로는 식욕부진, 구역질, 구토, 설사가 있고, 정신신경증상으로는 우울, 척추신경염, 치매증상 등이다. 또한 빈혈이나 Porphyrin 대사이상도 일어난다.
3. 식이요법
Niacin권장량은 총섭취열량에 비례하는데 일반적으로 1000kcal 당 6.6mg을 공급한다. 간에서 tryptophan (60mg)이 niacin (1mg)으로 전환되므로 tryptophan을 많이 함유한 양질의 단백질식품도 niacin의 좋은 급원식품이 된다.
주요급원 식품으로는 간, 통밀, yeast, 육류, 연어, 채소, 과일, 우유 등이 있다.
식이요법은 위산의 중화, 위액분비의 억제, 위의 운동을 억제하여 병의 발생부위를 보호하고 충분한 영양공급에 따른 전신의 영양상태 개선으로 방어인자, 특히 점막 저항성을 증대시키고 궤양 치료를 촉진시킨다. 증상에 따라 조기부터 영양공급을 시작하며 고단백, 고열량, 고비타민의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또한 위점막에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영양가 높은 식품을 연하게 조리해서 1회의 식사량을 줄이고 식사횟수를 늘리도록 한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