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피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피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대기오염

II. 수질오염

III. 토양오염 : 중금속

IV. 방사선 오염

VI. 소음공해

본문내용

나선형으로 구부러진 경우도 많았다.
죽은 채 발견되는 알 속 태아 중에는 암컷이 85%나 됐다. 과학자들은 이 같은 기형이 PCB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짐 루드비히라는 과학자는 부리가 비뚤어진 가마우지 한 마리를 데리고 다니며 오염에 항의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코스모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기형 가마우지는 27번이나 TV에 출연해 공해를 고발했다.
<탈리도마이드 기형>
53년 독일 제약회사가 개발한 신경안정제 탈리도마이드는 동물실험에서 극히 안전한 것으로 판명돼 의사처방 없이도 복용 가능한 약품으로 널리 애용됐다. 특히 임산부들에게 입덧을 억제해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판 7년 뒤인 60년. 유럽에서는 선천성 기형아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손발이 짧거나 아예 없는 아기들이 곳곳에서 태어났다. 역학조사 결과 임신 초기 탈리도마이드를 복용했던 임산부의 40%가 기형아를 낳은 것으로 밝혀졌다. 확인된 기형아 숫자만 1만 명을 넘었다.
<합성호르몬의 발암피해>
66년 미국 매사추세츠의 한 의사가 10대 여자아이에게서 질암을 발견하고 경악했다. 질암은 50대 이후라야 나타나는 병이었다. 비슷한 사례가 잇따라 발견됐고, 환자들의 어머니가 임신 중 유산방지제인 DES를 복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그 뒤 합성호르몬 제제인 DES로 인한 발암 피해자가 3백 명이 넘게 확인됐다. 주로 19세를 전후한 여성들이 암에 걸렸고, 남자들에게서는 소정자증이 나타났다.
III. 토양오염 : 중금속
- 수은 (Hg): 미나마타병
- 카드뮴 (Cd): 이타이이타이병
- 산업폐기물 매립에 의한 중금속이 채소나 어패류, 육류에 농축되어 먹이사슬을 타고 인체에 축적되는데 베토벤의 사인은 납중독으로 평소에 민물고기를 즐겨 먹었다는 설이 있다.
<실례> 미나마타병 (수은중독)
- 1952년 : 일본 남부 작은 어촌인 미나마타 연안이 검게 변하며 죽은 물고기를 먹은 까마귀가 허공을 맴돌다가 떨어져 죽고, 개나 돼지도 미쳐서 날뛰는 괴이한 일이 벌어짐.
- 1953년 : 연안 주민들도 손발이 뒤틀리고 혀가 마비되는 증상
- 1956년 : 바다로 공장폐수를 내보낸 '칫소사'의 부속병원에서 중추신경질환자 30명의 보고서가 처음으로 보고
- 1959년 : 이러한 원인은 수은 이 원인이라는 보고서가 구마모토대학에서 보고
- 1968년 : 일본정부가 처음으로 인정 - 보상 문제
- 1973년 : 주민이 첫 승소 판결 (추정인원 13, 000 명)
- 1996년 : 260만 엔/1인당, 보상비 지급
- 1997년 8월 29일 : 연안에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일반인에 공개
* 물고기의 이동을 막기 위해 대형그물 (높이 30m, 길이 2.1km)을 23 년간 설치하고 3 년간 물고기에서 수은의 양을 측정결과 발병 당시 50-100 ppm에서 1997년 5-6 ppm으로 감소되었다.
IV. 방사선오염
1) 혈구세포의 파괴:
- 적혈구 감소: 빈혈과 만성피로
- 백혈구 감소: 면역반응 저하
- 혈소판 감소: 출혈
2) 생식세포의 감소 : 불임
3) 유전자 이상 : 기형아 출산
V. 소음공해
가청주파수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는 20 - 20.000 Hz 범위이며, 소리의 크기(sound pressure level)는 0 ~ 130 dB 범위 이다. 우리가 대화시 말하는 소리의 크기는 40-70dB이며 사람이 낼수 있는 가장 큰소리는 120 dB 정도이다. 그러나 >90 dB 이상의 소리에 장기적으로 노출시 일시적 청각손실이 일어나므로 작업장에서 귀마개를 하고 작업해야 하며
>130 dB 이상의 소리는 통증동반하며 일시적 청각마비 및 비가역적 청각마비를 일으켜 청각을 소실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6.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