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례연구. 서울시 심야버스 운행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정사례연구. 서울시 심야버스 운행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왜 이 주제를 선정하였는가?
2. 이 과제의 연구목적, 연구주제는 무엇인가?

Ⅱ. 본문
1. 심야버스의 개념
2. 심야유동 인구의 특성
1) 올빼미족
2) 직업상 특성
3. 심야버스의 긍정적요인
1) 안전성과 경제성
2) 택시 승차거부 감소
3) 택시보다 안전한 N버스(심야버스)의 이용
4) 심야버스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대중교통
막차시간 압박 스트레스
5) IT 기기를 활용한 대기시간의 편리성
4. 문제점 및 개선사항

Ⅲ. 결론
1. 과제를 수행하면서 도출된 결론 및 나의 견해

본문내용

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5) 대기시간(IT기기로 이용 편리성)
심야버스의 경우, 평균 배차 간격이 45분 정도로 짧지 않은 시간이다. 긴 배차 간격으로 사람들이 많이 불편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웹,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서 실시간으로 도착시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 시켜준다.
4. 문제점 및 개선사항
문제점으로는 심야버스의 정류장을 찾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서울시에서는 심야버스 정류소를 식별하는 방법으로 부엉이 스티커를 정류장에 붙이는 방법을 쓰고 있다. 하지만, 부엉이 스티커가 없거나 손상된 정류장이 많았고, 부엉이 스티커의 크기가 매우 작고, 어두운 버스정류장에서는 눈에 잘 띄지 않아 식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G버스(광역버스)는 G-BUS라는 조형물이 설치되어있어 버스를 타는 이용자들이 쉽게 정류장을 찾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서울시는 심야(N)버스를 탑승하는 이용자를 위해서 심야에 불이 들어오는 간판이나 조형물을 정류소에 설치 할 필요가 있다. 두번째 문제로는 노선이 너무 적다는 것과 배차간격을 예로 들 수 있다. 노선을 확대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리고 배차간격이 45분이라는 이유에서 배차간격에 대한 불편함을 나타내는 연구 데이터가 나왔다. 따라서 유동인구와 이용자가 많은 시간에 심야버스의 노선을 확대하고 배차 간격을 줄이는 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3. 결론
1. 과제를 수행하면서 도출된 나의 견해
서울은 우리나라 대한민국 수도이자 문화의 중심지이다. 직장인은 퇴근시간에 맞춰, 학생들은 수업종료 시간에 맞춰 비슷한 시간대에 길거리에 쏟아져 나온다. 이들은 바로 집으로 귀가하지 않고 약속 장소를 서울의 중심지에 잡는가하면 유흥의 메카로서 자정을 훌쩍 넘긴 시간까지 문화생활을 소비하곤 한다. 경제적 여유가 없는 학생들과 한푼이라도 아껴 가정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직장인들에게 심야버스는 더할나위 없는 좋은 사례이다. 또한 갈수록 흉흉해져가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묻지마 살인이라던가 여성에 관한 악질적 범죄들이 판을 치고 있는 세상이다. 특히 술에 취한 여자가 택시를 혼자 탄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범죄예방과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라는 점에서 서울시 심야버스 운행 취지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며 더욱 더 많은 노선배치와 빠른 배차간격 그리고 전국적 지역으로 확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6.11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