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사회 A형 사회가 ‘비만’을 멸시하면 안 되는 이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사회 A형 사회가 ‘비만’을 멸시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시대마다 달랐던 우리의 ‘비너스’

본론
1,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몸’ 2, ‘몸’이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
3, 한국 사회에서 ‘몸’의 의미
4, 다이어트 권하는 사회
5, 타인의 몸에 대한 이해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론’과 ‘외모 낙인’으로 인해 사회의 다양한 차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다른 몸’의 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결론: 사회란 무엇인가?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망치고, 우리에게 인스턴트식품을 먹으라고 말하며, 우리를 고지방이나 고염분에 화학적, 문화적으로 중독 시키려고 냄새와 정서로 끊임없이 유혹하는 이 문화에 짜증이 난다. 이 문화는 수십억 달러짜리 광고로 계속 좋은 소비자가 되라고 말하며 우리를 괴롭힌다."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FAT(팻) 340p 중에서
사회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흔히 ‘사회’라고 하면 둘 이상이 모여 사는 것을 이르며, 사전적인 의미의 ‘society’는 구성원 개개인의 주체적인 경제활동이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마을공동체든, 학교든, 동호인 모임이든, 혈연관계와는 무관한 사람들이 일정한 목적이나 규칙 하에 모여서 하나의 단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통 society라고 불린다.
과제를 준비하면서 내가 가지게 된 ‘사회’란 ‘서로 얽혀 있는 곳’이란 생각이 든다.
사회란 한편에서는 햄버거를 팔면서 또 한 편으로는 다이어트 약을 파는 곳이며, 3층 정신과 의사는 거식증(拒食症, anorexia)환자를 돌보고, 2층 가정의학과 의사는 비만 환자에게 체중 조절약을 처방한다. 이것은 가능한 것은 자본주의 사회가 가진 자유로움이자 다양성이자, 모순이기도 한 것 같다. 비만 환자가 대기하는 병원 로비에서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돕기 위한 국제구호기구의 공익광고가 방송되고, 정신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오늘도 야식으로 치킨과 피자를 주문한다.
우리가, 내가 사는 사회는 서론 돈으로 얽혀 있는 곳이다. 모든 것이 돈으로 통하고 물질로 소통한다. 이것이 비극이라는 것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우리는 돈을 위해 살고 죽는다.
후기 산업사회의 이데올로기는 다국적기업사회 후기자본주의 컴퓨터(정보)사회 대량소비사회 등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러한 현실세계는 총체적으로 문명과 인간의 위기로 나타난다. 푸코의 논리처럼 권력은 보다 은밀하게 인간을 지배하고 생태계는 파괴되며 폭력과 광기, 대참사, 지역분쟁 등이 난무하는 소위 ‘세기말적 세계’로 포스트모던 사회는 읽혀진다.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재앙으로 인식되고, 세뇌되어 우리의 인식을 지배한다. 비만은 결과이지 원인은 아니다. 비만은 기초 대사량 보다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여 생기는 몸의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부지불식간에 타인을 차별하고 편견으로 바라보는 원인이 되어 왔다. 비만인에 대한 멸시는 사실 부당한 것이다. 소비가 미덕인 사회에서 소비를 부추기던 사회가 비만한 사람을 부당하게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감안하더라도, ‘비만’을 비난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참고문헌>
- Fat 팻, 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돈 쿨릭/앤 메넬리 엮음, 김명희 옮김. 소동. 2011
-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카트린 드 실기 지음, 이은진/조은미 옮김. 따비. 2014
- 닭고기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김재민 지음. 시대의 창. 2014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