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사회경제사』-조선후기농민경영에서 주호-협호 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조선후기농민경영에서 주호-협호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호정의 개관
2. 협호의 의미와 존재형태
3. 주호-협호관계의 경제적 제형태
4. 소농민경영의 불안전성과 주호-협호관계의 발생
5.국역체제하에서 주호-협호관계의 재생산
6. 19세기 호정과 협호의 자립화
7. 종합과 제언

본문내용

협호경영의 자립적 소농민경영으로의 발전에 따라 그와 같은 수직적 예속관계는 해체되어가고 협호는 주호와의 수평적인 관계에서 이정제 또는 호포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촌락공동체의 성원으로 되어갔다. 지역마다 사정은 다양하여 양반신분과 그의 주호경영이 강고하게 존속하고 있었던 곳에서는 그들은 여전히 영세한 소작지와 결합된 예속노동으로 존재하였으며 그 잔재는 일제시대까지 내려오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협호는 자립적인 소농민경영으로 존재하였고 다른 한편 성장해 오는 사적 지주제의 생산적 기초로서 의미를 강화하고 있었다.
7. 종합과 제언
이상 조선전기 사적 대토지소유자의 존재형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요컨대 호간의 관계로서 부차적인 범주로 존재한 약간의 방작제를 동반하면서 기본적으로는 주호-협호 관계의 호를 그 법적 형식으로 하는 그리고 양자 상호간의 예속노동의 수취를 전제하여 주호의 대규모 자작경영=주호경영과 협호경영이 성립하는 관계가 조선전기 사적 대토지소유의 기본적인 존재형태요, 그 생산관계적 실체였다. 조선전기 사적 대토지소유 또는 그에 성립하는 사적 착취관계로서 사적 지주제는 그 일정한 역사적 발전단계에도 불구하고 결국 조선국가의 국역수취의 기초단위인 달리 표현하여 전통적인 국가적 토지소유의 재생산단위인 호의범위를 벗어나지 못한 호내의 관계로만 머물고 있었다. 사적 착취관계는 협호경영이라는 그 생산적 기초의 소농민경영으로서이 저발전단계로 성립하지 못하고 어디까지나 국가적 토지소유하의 하급소유로서 존재하였고 또 하급소유로서의 존재조건인 호의형식을 그 사회적 존재조건으로 용인하고 있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