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정신건강증진 위기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정신건강증진 위기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1. 1차예방 모형
2. 간호과정

- 위기중재
1. 위기
2. 위기중재
3. 위기간호사정

- 양조자님 order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로 구성됨
위기 또는 재해 정신간호중재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개인의 감정적, 신체적 요구를 사정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얻어내는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능력임
치료적 관계는 유지하면서 혁신적이고 전인적인 체계를 제공함
Fiona(2009) - 위기 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지지기술의 5가지 요소(1) 경청하기 (2) 대상자가 판단 또는 평가를 받는다고 느끼지 않도록 하기
(3) 온정, 친절과 존중으로 대하기 (4) 안정적인 환경 제공 동료의 지지
3. 위기간호사정
1) 사정
위기중재 동안 대상자 사정은 위기상황 심각도, 위기에 대한 대상자의 지각과 행동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함
class 1
즉각적인 행동을 필요로 하는 기질적 또는 상황적인 위기
ex. 노숙자들이 영하로 기온이 떨어졌을 때 집을 구해야 하는 것
class 2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동안에 일어나는 과도기적 또는 성숙위기
ex. 대학진학을 위해 집을 떠나는 것, 계획된 임상 등
class 3
갑작스럽고 예상하지 못한 외상적인 사건 또는 재해로 발생하는 상황위기 ex. 허리케인, 지진
class 4
내적 스트레스와 심리 사회적 쟁점을 포함하는 성숙 또는 발달 위기 ex.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한 질문, 감정적 독립능력이 부족한 것
class 5
여러 방면에서 개인의 일상활동을 방해하는 우울 또는 불안과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로 인한 상황위기
class 6
예측할 수 없는 행동 또는 급성정신질환 발병을 일으킬지 모르는 자살시도, 약물 과복용 또는 극도의 초조와 같은 정신과적 상황위기 또는 응급
위기 심각성에 따른 분류
대상자의 증상과 행동 특성, 촉진사건, 사건에 대한 지각, 지지체계와 자원, 대처기전, 자해가능성 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중재를 계획할 필요가 있음
2) 간호진단
위기상황에 적용가능한 간호진단의 예
비효과적인 대처, 불안, 공포, 사고과정장애,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사회적 고립, 자아개념장애 등
3) 간호계획 및 수행
위기중재는 빠른 해결목표를 달성하여야 하며 시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접근해야 함
개인들은 위시 상황에서 성장에 대한 잠재력을 깨닫고 도움을 구하는 것을 배워야함
간호사는 촉발요인과 위기 사이의 관계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개인이 위기에 대해 이해하게 함
대상자가 대처기전을 탐색할 수 있게 하고 과거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대처 방법을 기억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대처기술을 고안할 수 있게 함
불안으로 유발도나 부동성을 줄이고 느낌을 말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간호사에게 우선 목표가 됨
치료적 중재에 반응하지 않는 대상자의 경우 불안 또는 우울의 임상증상안정을 위해 투약도 필요할 수 있음
대상자의 사회적 관계를 다시 열기 위해 지지적이고 의미있는 새로운 인간관계와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시도도 이루어져야 함
긍정적 관계수립을 위해 수용과 관심을 보임
부정, 죄의식, 비애 또는 분노 같은 현재의 감정에 대해 토의하도록 대상자를 격려
대상자의 다양한 감정들이 위기로 인한 정상적 반응임을 설명함
무조건 안심시키는 것은 삼감
위기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이해시킴
4) 간호평가
위기 후 재적응을 위한 평가사항
환자의 기능이 위기 이전 상태로 회복되었는가?
사건으로 인해 위협받았던 욕구가 충족되었는가?
증상이 감소되었는가?
건설적인 대처기전을 사용 중인가?
적응적인 위기반응을 보여주고 있는가?
의지할 수 있는 자원이나 대처기전을 가졌는가?
다른 의료기관에 의뢰할 필요가 있는가?
check V/S(R)
T-D(Tolerable diet, 내성식)
Free Ambulation(자유 보행)
Lab
- NP routine(Lab검사로 신경정신과로 routine)
- CBC(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
- UA(urinaysis, 뇨분석)
- T3 free T4(갑상선 호르몬)
-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갑상선 자극호르몬)
- HBS((hepatitis B virus, B형 간염)
- Ag&Ab(항원antigen & 항체 antibody)
- VDRL(venereal disease researchlaboratories test, 매독검사)
- chest PA(chest posterial -anterial, 흉부단순촬영)
- EKG(electrocardiography, 심전도)
H/P 1/2a, ATV 1/2a side iv haloperidol 정신분열치료제
medication PO(경구투여)
- lithium 900mg(300-300-0-300) 항우울제
- olanzapine 20mg (5-5-0-10) 항정신병약물
- valproate 1200mg (600-0-600) 간질치료
- xanax 0.7mg (0.2-0.2-0-0-0.3) 신경안정제
- chlorpromazine 300mg(50-50-0-200) 교감신경계 억제
- halcion 0.25mg (0-0.25) 최면진정제
supportive pychotherapy 지지적 심리치료
면회금지
family pychotherapy 가족 심리치료
activity therapy 활동적 심리치료
close obs.(철저한 감시)
p.r.n : H-P 1/2a im ATV1/2a im ATV 1mg p.o h.s olanzapin 1mg h.s취침시 IM
p.r.n : 정신과적 응급처치 (P-R/I) 행동문제시
양조자님 order지
Ⅲ. 결론
우리는 기양조 package part2에서 양조자님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과 위기예방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는데 이것을 통해 정신건강증진에서 1차 예방모형으로는 공중보건모형, 의학예방모형, 간호예방모형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른 건강사정으로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사정과 대상주민사정과 간호계획과 수행으로는 건강교육, 환경변화, 사회적지지 등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위기중재에서는 감정정화, 제안, 조작, 강화행동, 명료화, 방어기제의지지, 자존감 고양, 해결책의 탐색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Ⅳ. 참고문헌
1) 도복늠 외 11인(2012).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