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pneumonia unspecified Asthma unspecified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pneumonia unspecified Asthma unspecifie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진통제를 투여한다.
5. 보호자는 불안의 원인을 이해하고 심한 불안을 나타내지 않고 현재의 의학적 상황에 대응하고 적절한 지역사회 자원과 접촉한다.
1. 환아 및 보호자의 불안 원인을 묻는다.
2. IV 제거한 부위에 냉찜질을 제공하여 불안을 완화시켰다. 또한 통증부위를 보거나 만지지 못하게 한다.
3. 퍼즐, 비디오 시청을 통해 주의를 전환시켰다. 대상자의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전환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켰다. 아이가 통증을 느낄 시, 보호자에게 손을 잡거나 머리를 쓰다듬거나 안아주는 등의 행위를 하게하여 대상자의 불안과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
4. FACE pain rating scale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하였다. 또한 불안한 모습이 나타나는지 사정하였다.
▲FACE pain rating scale
5. 보호자와 환아가 불안해 하는 원인을 함께 토의하고 환아의 팔이 부어오르거나, 간지러움을 호소하거나, 열감이 느껴지면 바로 call bell을 울리도록 보호자를 교육하였다.
1. 환아는 처음 질문 시 현재 22m로 낯선 환경과 바늘을 무서워 하는 상태였다. 간호사를 보면 바로 울며 도망가며, 11.10 Vital sign측정 결과, tachycardia나타났다
방문 시, 아이가 울거나 보채고 있을 때가 많으며, 할머니가 거의 늘 업고 있었다.
2. 환아가 계속 불안을 호소하고 보채었다. 불안을 해소해 주기위해 학생으로서 제공할 수 있는 ice bag을 대 주었다. 대상자의 팔의 붓기가 다른 팔과 비교했을 때 정상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3. 대상자는 퍼즐, 비디오 시청에 집중하는 동안에는 울거나 보채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웃는 표정을 지었다. 대상자는 보호자에게 안기며 계속 울었다.
4. FACE pain rating scale을 이용한 결과 대상자의 통증은 0점이다. 더 이상 보채거나 울지 않는 것으로 보아 불안이 완화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보호자는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해 보호자 스스로도 아이가 어느 정도 통증을 느끼는지 가늠해 볼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하며, 아이가 불안하여 상대적으로 더 통증을 느꼈던 것 같다고 대답하였다. 보호자는 팔이 부어오르거나, 간지러움을 호소하거나, 열감이 느껴지면 바로 call bell을 울리겠다고 대답하였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간호하는 날 (11월 10일)부터 실습이 끝나는 날 (11월 11일)까지
대상자는 전환요법으로 인해 울고 보채는 횟수가 줄어들었고, IV제거 부위의 붓기와 통증이 없었다. 보호자는 아이가 더 이상 보채지 않는다고 하였다.
간호문제/간호진단 5번: 연령, 부모의 감시 소홀,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의 낙상 위험성이 줄어들 것이다.
행동성과 목표:
간호하는 날 (11월 10일)까지
- 보호자는 대상자의 낙상 위험 요인에 대해 말할 수 있다.
- 보호자는 대상자의 낙상 위험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실습이 끝나는 날 (11월 11일)까지
- 대상자는 낙상 위험사정도구 결과, 0점으로 측정될 것이다.
간호전략(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 대상자의 침상난간을 사정한다.
2.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환아를 혼자두지 않는 것, IV Line이 길게 늘어져 꼬이지 않는 것, 환아가 침상에서 일어나 있을 때 잡고 있을 것 등)을 조성한다.
3. 대상자가 침대에서 활동적인 경우, 투명한 침상난간 덮개를 적용한다.
4. 보호자에게 침상난간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5. 보호자에게 소아 낙상의 위험성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6. 낙상 사고가 일어났을 시, 바로 call bell을 눌러 간호사를 부를 수 있도록 call bell의 위치를 알려준다.
7. 대상자의 체형에 맞는 환의를 입도록 한다.
1. 수시로 대상자의 침상난간이 4개 다 올라가 있는지 사정하였다.
2.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3. 투명한 침상난간 덮게는 제공되지 않았다.
4. 보호자께서 침상난간의 사용법에 대해 문의하셔서 교육해드렸다.
5. 보호자에게 소아낙상위험성과 예방법(보호자에게 환아를 혼자 두지 말 것, 반드시 침상 난간을 모두 올릴 것, 이동용 폴대 사용시, IV line이 꼬이지 않게 정리할 것, 아이가 침상에 있을 때는 창문을 닫게 할 것, 아이가 침상에서 일어나 있을 때는 난간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잡고 있을 것 등)을 교육하였다.
6. 낙상 사고가 일어난 경우 반드시 call bell을 눌러 간호사에게 보고해 줄 것을 교육해드렸다.
7. 대상자의 체형에 맞는 환의를 입히도록 하여 바지가 바닥에 끌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1. 침상난간이 4개가 올라가 있었다.
2. 보호자께서 신경써주셔서 고맙다고 말씀하셨다.
3. 투명한 침상난간 덮게는 제공되지 않아 특별한 사항은 없었다.
4. 보호자께서 방법은 쉬운데 뻑뻑해서 사용하기 힘들다고 말씀하셨다.
5. 보호자께서 “내가 감기도 심하게 걸리고 애들도 둘이나 입원해 있고 그래서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잘 돌보지를 못했네.”라고 말씀하시며 숙지할 것을 약속하셨다.
6. 보호자께서 알겠다고 call bell누를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7. 대상자의 체형에 맞는 제일 작은 사이즈의 환의로 교환해 드렸고, 고맙다고 말씀하셨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간호하는 날 (11월 10일) 보호자는 대상자의 낙상예방 위험요인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습이 끝나는 날 (11월 11일) 대상자의 낙상위험사정도구 사정결과 3점으로 측정되었으나 저 위험군을 유지하였다.
*참고문헌
·IGNATAVICIUS WORKMAN(2009). 성인간호학1. 서울시 : 엘스비어코리아.
·S.R.JAMES(2009). 원리와 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서울시 : 현문사.
·S.R.JAMES(2009). 원리와 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서울시 : 현문사.
·김태임 외 4인(2014). 성장발달과 건강. 경기도 : 교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8.06.30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