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사회의 동양에 대한 인식 연구 -할리우드 영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구사회의 동양에 대한 인식 연구 -할리우드 영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⑴ 연구의 목적
⑵ 연구 방법과 범위
⑶ 연구 과제의 이론적 배경
㉮ 사회정체성이론
㉯ 오리엔탈리즘
Ⅱ 서구사회의 동양에 대한 인식
Ⅲ 한국식 오리엔탈리즘
Ⅳ 해결책 및 변화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제 식민 통치의 역사를 밝힐 수 있어 일거양득이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전파에서 당부하고 싶은 것은 결코 신비한 이미지를 내세워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셋째, 옥시덴탈리즘에 대한 무조건적인 경계는 피해야 한다.8 옥시덴탈리즘은 정치적으로 나 경제적으로나 우리의 현실을 볼 때 불가피한 면이 없지 않다. 전략적 의미에서의 불가 피성을 인정하면서 그것을 넘어서는 길을 모색할 수 있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지역적 문화 적특성은 차별이 아닌 차이의 측면에서 오히려 적극적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또한 한 중일 세 나라가 가진 역사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공정한 경쟁과 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한 다.
━━━━━━━━━━━━━━━━━━━━
8. 이진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 [오늘의 문예비평], 2000년 봄호,
pp.149~182.
Ⅴ 결론
이와 같이, 서구사회의 동양에 대한 관점을 할리우드 영화를 관찰분석함으로써 알아보 았다. 위 연구를 통해 신비적인 관점이든 멸시적인 관점이든 동양에 대한 서양의 눈은 상 당히 뒤틀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비적 관점에서는 동양을 전체적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무술이나 여성, 철학 등 일부분에 치우쳐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반 면 멸시적 관점에서는 심리학의 사회정체성이론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자신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우위를 지키기 위해 일부러 동양은 미개하고 반문명적인 곳으로 인식하는 것의 문 제점을 지적했다.
위 논문은 미국 상업주의에 찌든 대중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자칫하면 놓칠 수 있는 동양에 대한 서양인의 왜곡된 시선을 찾아내고 그와 관련한 한국의 현실을 비판했 으며 그 해결책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한국 사회가 고질적인 한국식 오리엔탈리즘을 벗어 던지고, 동양과 서 양의 개념 없이 전 세계가 진정한 이해와 교류를 나눌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위 에서 제시한 해결책뿐만 아니라 여러 방안을 강구해 참된 의미의 지구촌이 형성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김성곤, 『영화로 보는 미국: 할리우드 영화의 문화적 의미』, 살림, 2003.
김성수, 『스타워즈의 형이상학』, 영화연대, 2004. 9. 12.
(http://www.yhyd.org/column/starwars/star05.htm)
김지석,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할리우드를 읽는다; 할리우드영화의 두 얼굴: 지배 이데올로기와 환상주의』, [영화연구] 제 8권, 한국영화학회, 1991.
박노자, 『하얀 가면의 제국』, 한겨레신문사, 2003.
안정효, 『동양의 빛과 그림자』, 들녘, 2003.
이옥순,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 푸른역사, 2002.
이진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 [오늘의 문예비평], 2000년 봄호.
한국비교사회연구회, 『비교사회학(방법과 실제[1])』, 열음사, 1997.
Edward W. Said, 박홍규 옮김,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1.
Marc Ferro, 주경철 옮김, 『역사와 영화』, 까치글방, 1999.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7.21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