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뇌수막염 신생아 케이스보고서 case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패혈증 뇌수막염 신생아 케이스보고서 case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질병에 대한 기술(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3. 대상자 간호문제
4. 대상자 간호과정 (우선적인 간호문제 2개 선정)
5. 퇴원 시 부모교육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야 한다.
⑦ 수분 및 충분한 영양을 준다.
⑦-1) 처방된 수액요법을 시행한다.
⑦-2) 구강으로 3시간마다 규칙적으로 수유해준다.
⑦ 적절한 단백질-칼로리 섭취는 감염에 대한 숙주의 저항력을 높이고 화학요법에 대한 신체 방어 능력을 증진시킨다.
⑧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감염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⑧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면 감염이 되었을 때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으므로 그로인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⑨ 보호자에게 대상자 면회시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일회용가운 착용, 마스크 착용 등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⑨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일회용 가운 착용, 마스크 착용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중재
①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였다.
② v/s 측정 시 마다 수술부위와 나온 분비물의 색깔과 수술부위의 부종, 발적 여부를 관찰하였다.
: 소량의 혈성의 분비물을 제외하곤 특별한 소견은 없었다.
③ 대상자의 WBC수치와 CRP, PCT 수치를 확인하였다.
검사항목
4/28
4/30
5/2
WBC
22.29▲
11.62
8.82
PCT
0.45▲
0.34▲
0.15
CRP 정량
133.07▲
57.1▲
15▲
④ PCVC 적용부위와 IV site에 부종, 발적, 침윤, 열감 등의 감염증상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⑤ 대상자에게 간호 수행 시 철저한 무균법을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1) 대상자에게 간호 수행시 손을 씻고, 손 소독제를 사용하였다.
⑤-2) 대상자에게 들어갈 수액병의 주입구를 포비돈, 알코올 솜을 이용하여 철저히 소독하였다.
⑥ 처방받은 항생제 펜브렉스 주 (inj. IV side)를 투여했다.
⑦ 수분 및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주었다.
⑦-1) 처방된 수액인 5% 포도당주사액(DW)을 공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⑦-2) 3시간마다 whole milk와 모유를 병행하여 수유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38도 이상의 고열과 보챔, 늘어짐, 체온 불안정, 관류 장애, 저혈압, 구토 등의 비특이적 증상)과 감염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⑨ 보호자에게 대상자 보호자에게 손씻기 방법을 설명하고, 면회 시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일회용가운 착용, 마스크 착용 등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
평가
- 수술 후 체온은 36.5~37.5로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 대상자의 보호자는 감염의 위험성과 그 예방법에 대해 이해한다고 말하였고,면회 전 손씻기 및 손소독을 철저히 하려고 노력했다.
- 대상자의 임상검사 결과 감염을 나타내는 WBC와 CRP등의 수치가 수술 후에 정상 범위에 가깝게 회복하였다.
- 대상자의 수술부위 분비물이 거즈에 묻어나오지 않았으며 Hemovac속 분비물도 감염의 증상을 띄지 않았다.
- 대상자의 PCVC 적용부위와 IVsite에 부종, 발적, 침윤, 열감 등의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수술로 인한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5. 퇴원 시 부모교육
날 짜 : 2018. 05. 04
교육자 : 박상희 학생 간호사
주 제 : 수술 후 수술부위 관리 및 감염예방에 관련된 교육
대 상 : 이름 류 0 0 나이 32
교육방법 및 도구 : 교육 인쇄물 및 시범
교육장소 : NICU
교육내용 :
- 수술 절개부위 관리 : 수술 후 첫 주 목욕은 스폰지를 이용해 물과 비누로 세척하며 로션과 연고 등은 피하도록 하며 직접 시범을 통해 교육
- 수유 및 영양에 대한 관리 : 발달단계에 알맞은 고칼로리 분유 제공
- 약물복용 관리 : 처방약 사용목적, 올바른 투여법, 부작용 등을 설명하고 서면으로 제공
- 합병증 징후 및 증상 관리 : 절개부위 발적, 부종, 압통, 분비물 증가, 발열, 호흡수 변화, 구토, 활동량 변화, 식욕감소,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내원하도록 함
- 감염 예방 관리 : 치과, 호흡기계, 소화기계 등의 시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하도록 함
- 정상발달 교육 : 뇌수술 환아이므로 비정상 신경발달에 대한 위험성과 정상발달에 대한 정보 제공, 뇌수술 후 신경학적 문제가 올 수 있으므로 추후 검사를 주기적으로 f/u 하도록 함.
평가 및 부모의 반응
- 모르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다시 한 번 질문하여 확실히 이해하였다.
- 잊어버리거나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메모하여 기억하려했다.
- 시범을 보이는 동안 열심히 귀 기울여 들었으며 그 방법을 그대로 말할 수 있었다.
- 뇌수술로 인해 추후에 신경학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도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 매우 슬퍼하셨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긍정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관리방법을 확실하게 교육 받고 가려고 노력하였다.
Ⅲ. 결론 및 제언
처음에 환아를 만났을 때 아픈 아이라고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다. 다른 아이들처럼 평범하게 울었고, 수유 시에도 문제없이 밥을 잘 먹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의사선생님이 와서 하시는 얘기와 EMR 차트를 확인하고 환아가 뇌수막염으로 인해 뇌수술을 받았다는 것을 알았고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집도의 선생님의 표현으로는 이 아이의 뇌가 상당히 많은 부분이 녹아있었다고 한다. 아마 이 아이는 신경학적인 손상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내가 이 아이에게 간호학생으로서 도와줄 수 있는게 없다는 것이 매우 마음이 안 좋았다. 그렇지만 그 아이에게 내가 해줄 수 있는 최선을 해주기 위해서 아이가 울고 있을 때 달래주려 노력하고 이 아이에게 드레싱을 가는 등 어떠한 의료적 처치가 시행될 때 조금이라도 덜 아팠으면 하고 마음속으로 바랬다.
이번 경험으로 인해 신생아가 감염에 얼마나 취약하고 이것이 얼마나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일으키는지 직접 보고 경험해 보니 더 와 닿았다. 때문에 신생아의 관하여 내가 얼마나 더 공부하고 알아야 하는지도 깨달았다. 앞으로 공부를 더 확실하게 하여 이러한 아이를 만났을 때 조금이라도 더 빨리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노력 것이다.
Ⅳ.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 양선희 저. 기본간호학 1,2(2017). 현문사
- 김미예, 구현영 외 3명저. 신생아 간호학(2014). 수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8.09.10
  • 저작시기201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2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