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의 이해 -항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물류의 이해 -항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글로벌 항만산업 현황
1)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 체제의 재편
2)그린포트

2.주요 항만 기업
1)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위치

3.주요 항만 이슈
1)파나마 운하 확장
2) 4차 산업혁명과 항만물류
3) 물류를 이끌 선도 기술 블록체인
4) 한진해운 사태와 부산항

4. 결론

본문내용

1. 글로벌 항만산업 현황

1) 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 재편
2017년 4월 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가 재편되었다. 2M, O3, G6, CKYHE, 4개의 해운 얼라이언스가 2M, 오션 얼라이언스, 디 얼라이언스, 3개의 해운 얼라이언스 체제로 재편됐다. 독일의 함부르크쉬드를 머스크가 인수했으며 NYK, MOL, 케이라인, 일본 3대 선사는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cean Network Express)’, 통칭 ONE이라는 통합법인을 설립했다. 기존 4개의 해운 얼라이언스가 3개로 축소, 재편되면서 얼라이언스들이 비용우위를 점하기 위해 초대형선박의 발주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규모도 커졌다. 재편된 3개의 얼라이언스는 아시아-유럽항로에서 2M은 34%, 오션 얼라이언스 33%, 디 얼라이언스 30%를 기록했고 아시아-북미항로에서는 2M 17%, 오션 얼라이언스 35%, 디 얼라이언스 39%를 차지하며 세계 해운시장을 주도 중이다.

<그림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월간동향(해운항만) 제1호, 49p>

2) 그린포트
아프리카,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발전으로 해운업의 비중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해운 및 항만업계 차원의 온실가스절감이 이슈화되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에너지효율 및 친환경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고, 선박이 접안하는 항만차원에서도 해운업계의 기후변화대응 성과를 지원해줄 수 있는 정책 및 기반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정책수립 및 기반시설 운영을 통해 항만자체의 에너지 효율향상, 항만주변의 환경개선 등을 도모하는 ‘그린포트’라는 개념이 생겼다. 미국의 Longbeach, 네덜란드 Rotterdam 등 세계 각 국 항만에서 그린포트 관련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부산항 또한 온실가스의 원인 야드트랙터를 친환경 에너지원인 LNG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국제적인 선박에 대한 규정이 강화되는 추세와 연동해 그린포트 구축에 실패한 항만은 해운 물동량의 경쟁력을 잃는다. 그린포트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적인 항만의 경향을 보여준다. 그린포트와 연계된 다양한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8.09.22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063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