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의 다문화 선교의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교회의 다문화 선교의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주 노동자, 국제결혼 여성, 다문화 가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
Ⅲ. 한국의 다문화1) 정책 그리고 정책의 문제점
Ⅵ. 다문화 상황의 선교에 관한 연구 성과
Ⅴ. 한국교회의 다문화 선교 활동
Ⅵ . 한국교회의 다문화 선교 과제
Ⅶ. 나가는 말

본문내용

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선교 사업을 넘어 사회변화와 문화변화와 이념변화에 대한 논의가 Ibid. 275p
포함된다는 저자의 의도가 명백히 드러나는 제안이었다.
7) 한국 국민과 기독교인을 상대로 다문화적 다양성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교회에서 다문화 가정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 이번 보고서의 서론에서도 밝힌 방 있듯이, 근래 한국 국민이 이전에 비해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과 공감이 확대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다문화 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팽배한 사회이다. 이러한 상회에서 한국 교회가 한국 국민과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다문화적 다양성 교육을 하는 것은 일종의 소명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8) 동화주의를 넘어선 다문화주의 담론의 진척을 위한 선교 실천이 필요하다. 한국 상황이 비슷한 나라의 다문화주의 정책을 논의하여 정책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한국의 다문화 정책 중, ‘동화 주의적 사회통합’ 정책은 일방적으로 외국이주민을 한국 문화와 편입시키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동화 주의적 사회통합은
외국이주민 고유의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아서, 결국에는 자신들의 사적인 영역을 제외하고는 문화 정체성을 잃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저자가 제안한 ‘동화주의를 넘어선 다문화주의 담론 진척’이라는 제안은 그 의미가 굉장히 크다고 할 수 있다.
Ⅶ. 나가는 말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이주노동자, 국제결혼 여성, 다문화 가정에 대해 살펴보고, 그들에 대한 한국의 정책 그리고 그 정책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는 이러한 다문화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선교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그 미미한 부분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한국 교회 선교의 과제를 찾을 수 있었다. 한국 교회는 이주민에 대한 다문화 선교를 실시함에 있어서, 기존 정부나 민간단체에서는 관심을 가지지 못했던 사안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겠다. 이것이 앞으로 한국 교회가 다문화 선교를 해야 할 방향이며, 또한 논저에서 밝힌 것처럼 이 방향을 통해서 우리 한국 교회는 사회경제적 다문화주의를 시행하여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김은수(Kim Eun-Soo), 「한국교회 해외선교정책」,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28호 2008.3
강순원,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담론으로서 다문화사회의 인권교육」, 진보평론, 통권 제42호 2009.12
오경석 외,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37-38p. 재인용, 임희모,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동동남아시아 중심」, 케노시스, 2011
임희모,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동동남아시아 중심」, 케노시스, 2011
행정안전부(자치주민과),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결과」(2009.7) 재인용, 임희모,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동동남아시아 중심」,케노시스, 2011, 274p
황홍렬, 「고용허가제 이후 이주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세계선교연구원 엮음, 「선교와 신학」,20집(2007), 155-184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9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