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이 도가를 택한 까닭은 - 연암소설의 도교철학적 조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암이 도가를 택한 까닭은 - 연암소설의 도교철학적 조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암의 노장사상 수용양상과 신선관
 2. 연암이 도가사상을 받아들이게 된 계기
   1) 당시 시대상황과 관련하여
   2) 연암의 생애와 관련하여
   3) 도가의 특성과 관련하여
Ⅲ. 결론

본문내용

고 도교는 보다 개인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부분에 관심을 나타내었다. 아무래도 유가를 공부하며 자란 연암에게는 사상의 기저를 도가와 공유하고 있던 유교가 조선후기에 잘못된 이데올로기로 변화하면서 어떻게 도가의 사상과 멀어지게 되었는지 관찰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연암이 불교쪽이 아니고 장자쪽으로 기울어진 데에는 도가에서의 지상의 삶은 불교나 기독교에서처럼 내세적 삶의 추구를 위한 절제와 금욕이 아닌 현장세계에서의 이상실현 문영오, 위의 논문. p. 23
이라는 점에서 불교와 거리가 있고, 정치체제의 유지에 있어서 유교, 도교가 불교쪽보다 더 정치적이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들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유가가 되었건 불가가 되었건 국민통치라는 총론적 측면에서는 하등 다를 것이 없고 단지 방법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문영오, 위의 논문. pp. 16-17
이로써 연암은 당시 조선의 사회 전반에 퍼져있던 잘못된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도가사상을 통해 보완하려 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교 외의 사상은 이단으로 철저히 배척당하던 조선 후기의 사회에서, 연암이 왜 하필이면 다른 사상도 아닌 도가사상을 도입하여 당시의 유교문화를 비판하였는지 그가 살던 시대적 상황과 그의 생애, 도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해보았다. 이는 연암이 노장사상과 같은 철학적 의미에서의 도가사상을 받아들였다는 주장을 수용한 것인데, 때문에 실학사상을 중심축으로 한 풍자나 해학적 측면에 관한 연구가 아닌 주로 연암 소설에서 도교 철학과의 친연성을 주장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고를 작성하였다.
요약하면 애초부터 도가적 색조를 띠고 있던 성리학을 공부한 연암은 50세가 되기 전까지 정치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의 사회 체제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하였고, 이를 통해 잘못된 유교문화를 도가사상을 통해 비판하고 보완하려 하였다.
문학 작품 속에서 도가사상을 통해 조선의 유교문화를 비판하여 모든 생명은 차등없이 소중함을 역설한 연암 박지원의 사상은 맹목적인 경쟁을 통해 자신만의 이윤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연암의 사상에 힘입어 그의 작품을 도가적으로 접근할 때에 부디 본 자료가 그에 대한 이해의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고미숙, <『열하일기』, 숨은 보석을 찾아라!> 강의노트
김한식, ‘조선조 유학 정치이념에 대한 재조명’,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1995.
문영오, ‘연암소설에서의 도가사상 고구’, 『연암소설의 도교철학적 조명』, 태학사, 1993.
박수밀, ‘박지원의 노장사상 수용과 신선관’, 『도교문화연구』 제22집, 한국도교문화학회, 2005.
유승국, \'송대 성리학 형성의 연원적 고찰(상)\',『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
구원, 1964.
이용주, \'주희와 도교-주자학 성립의 계기를 통해 본 유교, 도교 사상의 교차점\', 『종교학연 구』,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997.
정륜, \'도가의 생명존중 사상\', 『범한철학』, 범한철학회, 2004.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