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만점> 교육공학 1-4장 중 흥미로운 주제의 핵심내용 요약 및 적용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8]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만점> 교육공학 1-4장 중 흥미로운 주제의 핵심내용 요약 및 적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1장에서 선정한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 및 적용방안
1) 1장 핵심내용
2) 1장 적용방안
2. 2장에서 선정한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 및 적용방안
1) 2장 핵심내용
2) 2장 적용방안
3. 3장에서 선정한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 및 적용방안
1) 3장 핵심내용
2) 3장 적용방안
4. 4장에서 선정한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 및 적용방안
1) 4장 핵심내용
2) 4장 적용방안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활동목표
동화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활동내용
항구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항구란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항구는 배가 안전하게 드나들도록 강가나 바닷가에 부두 따위를 설비한 곳을 말해요.
-항구에 가본 적 있나요?
동화를 감상한다.
-동화 제목은 항구의 세 친구예요. 표지에서 항구의 세 친구는 누구누구일까요?
-동화를 감상해볼까요?
동화내용을 회상하며 이야기 나눈다.
-어떤 배가 나왔나요?
-왜 선장님이 놀랐을까요?
-바다 위를 달리던 챔은 왜 멈추었나요?
-비가 어떻게 멈추었나요?
-항구의 세 친구는 누구누구 인가요?
항구의 세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을 이야기해본다.
-항구의 세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표 4.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활동 세부계획표 (노래)
활동주제
노래) 더 빠른 것, 더 느린 것
활동목표
즐거운 마음으로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배우고 불러본다.
활동내용
다양한 교통기관을 이용했던 경험을 회상한다.
노래를 감상한다.
노래를 감상한 느낌을 이야기 나눈다.
한 가지 소리로 노래를 불러본다.
가사판을 보며 노랫말을 넣어 부른다.
다양한 방법으로 친구들과 함께 노래를 불러본다.
율동을 만들어 노래를 불러본다.
활동을 평가한 후 마무리한다.
▶ 위와 같이 계획할 뿐 아니라, 실제로 4번째 단계인 수업자료 및 매체의 활용 단계(U)를 거치고, 교육이 잘 이루어졌는지 파악해보며, 제시된 활동표대로 진행하며 스스로 자체적 평가를 진행해보도록 한다.
▶ 또한 교육 중에 학습자들의 자발적 참여(R)가 이루어 졌는지 판단해보며, 유아들 주변의 소재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이해도를 높이거나, 좋아하는 동작을 응용하여 이것이 노래에 반영되도록 진행하는 등, 아이들이 직접적 참여와 반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ASSURE 모형의 마지막 단계인 평가 및 수정단계(E)에서는 위 계획표에 맞추어 수업을 진행하고, 차질은 없었는지 효과적으로 아이들이 학습되었는지에 대해서 평가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수업의 난이도 및 수업방법과 활용한 매체가 아이들에게 적절하게 선정되었는가와 함께 유아들이 이번 활동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학습의 효과를 나타내었는가에 대해서 평가를 해봐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이들이 참여를 어려워하였거나 집중하지 못하고 학습효과가 저해된 경우, 수업 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조정이 이루어 져야 하겠다.
Ⅲ. 결론
교육공학에 대해 전부를 공부하진 못했고 비록 1~4장의 내용들을 주로 학습해봤지만, 지금까지의 내용만 보아도 교육공학이란,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으로 분류할 수 없고 다양한 개념이나 지식을 포괄하는 범주로 느껴졌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의 발전 또 한 매우 빠르게 변화되고 나아가고 있다. 그리하여 한 가지 영역이더라도, 타 학문의 이론이나 연구 성과를 활용해 그것의 영역을 폭넓게 확장하면서 학문적 개념을 재정립하기도 하고, 더 많은 정보들을 흡수하는 다각적인 움직임 성향이 강한 것을 또한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의 교육공학이란 내용을 학습하고, 실제 내가 속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것 역시 다각적인 학문을 직업 업무에 접목한다고 생각되었다.
평소에 유아 교육을 할 때, 이전년도 자료나 선배의 도움 등으로 비슷비슷하게 유지해나가거나 조그마한 소재나 주제변화만 꾀하며 그저 ‘수업을 행하는 일’에만 몰두하기 쉬웠고, 이는 종종 매너리즘에 빠지도록 만들었다. 또한 이런 상황에서 이름만 들어도 갑갑하고 어려울 것만 같던 ‘교육공학’을 접하게 된 처음의 소감은 굉장히 버거웠다고 털어놓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공학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왜 그렇게 적용해야 좋은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지 공부하고 나서는 작은 교육하나에도 이론과 체계가 담겨있으며 이것을 절대 무시하거나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음에 새삼 교육의 위대함을, 그것의 내포된 체계를 실감했다.
교육공학에서 강조하는 내용들은 유아교육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유아교육 흐름상, 보다 적극적이고 자주적이며, 아이와 교사만이 아닌 다양한 상호작용 과정이 중시되는 현 시대의 유아교육에서, 교육공학의 본질을 기억하고, 이를 항상 실제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위와 같은 공부를 해보면서 앞으로 어떤 교육자가 되어야 할지를 되짚어 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 권성호 (1998), 교육공학 탐구, 양서원.
- 나일주 (1998), 교육공학 탐구의 동향과 전망, 한국교육공학회.
-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07),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 이동주, 임철일, 임정훈 (2011),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이동주 (2009),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 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20(3).
- 이동주, 임철일, 임정훈 (2009), 원격교육론,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이민정, 김정희 (2012), 영유아교수매체교육, 공동체.
- 이종연 (2004), 교육공학의 이해와 적용, 원미사.
- 임철일 (2003),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 교육과학사.
- 임철일, 이지현, 장선영 (2007),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간편 교수체제 설계 모형에 관한 개발연구, 기업교육연구, 9(2).
- AECT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 AECT.
- Dick W, Carey L, Carey J (2009),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 Sharon E. Smaldino, Deborah L. Lowther (2011),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Academypress.
  • 가격5,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8.12.06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