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어린이집의 커리큘럼 - 어린이집 탐방보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녕 어린이집의 커리큘럼 - 어린이집 탐방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탐방 목표

Ⅱ. 탐방 방향
  창녕어린이집 전반적인 탐색
  창녕어린이집의 커리큘럼
  기독교교육과정과 보육과정과의 만남

Ⅲ. 탐방 내용
  1. 창녕어린이집 전반적인 탐색
    - 창녕어린이집의 소개
    - 창녕어린이집 운영 계획
    - 창녕어린이집 생활안내
  2. 창녕어린이집의 커리큘럼
    - 반별 연간계획안
    - 연간계획행사표
    - 주간 계획안
    - 지역사회 연계 활동 교육계획안
    - 스포키 움직임 프로그램 연간교육계획안 (3.4세)
    - 보육일지
  3. 기독교교육과정과 보육과정과의 만남

Ⅳ. 대안 제시
  창녕어린이집의 한계점
  한계점 보완을 위한 대안제시

Ⅴ. 느낀점

본문내용

들을 대하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자신의 자연스러운 목소리가 아닌 아기자기하고 예쁜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한다. 이런 목소리에 익숙해진 아이들은 허스키한 목소리를 가진 선생님을 대하게 되면 처음엔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호기심을 가진다.
③ 담임선생님의 성격에 따라 행동도 변한다.
선생님의 성격이 활발할 경우에는 그 반 아이들의 행동이 동적이다. 반면, 소극적인 선생님일 경우에는 아이들의 행동도 정적인 것으로 보였다.
④ 어린이집의 환경구조 - 높은 반에 올라갈수록 교실도 올라가져야 한다.
창녕어린이집의 구조에 보면 만1세, 만2세 반은 1층에 있다. 만3세부터 만5세까지의 반은 2층에 있다. 아이들은 나이를 먹고 높은 반에 올라갈수록 자신의 교실도 높은 곳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자기보다 높은 반이기 때문에 공부하는 공간도 자기보다 높은 곳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3) 영 교육과정
① 식전 감사기도
창녕어린이집에는 교회를 다니는 선생님과 다니지 않는 선생님들이 함께 다니고 있다. 그리고 일반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이므로 기독교적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 내용은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교회를 다니시는 한 선생님이 식전에 아이들에게 기도를 가르치는 것을 보았다. 그 반의 아이들은 선생님의 지도에 따라 식전엔 항상 하나님께 감사기도를 드렸고, 이 아이들의 사고에는 밥을 먹을 때에는 항상 신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어야 하며 신은 하나님밖에 없다는 것으로 인식된다.
② 인사 잘 하는 법
어느 교육 장소든 인사는 잘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창녕어린이집의 수업내용에도 인사를 잘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히 가르치고 있다. 특히, \"인사는 눈을 보며!\", \"배꼽에 두손 모아, 꾸벅!\" 등 수업내용에서 가르치는 것이 아닌, 선생님의 간단한 몸짓과 노래로 인사를 잘하는 법을 가르친다.
Ⅳ. 대안 제시
1) 창녕어린이집의 한계점
① 신앙적인 교육이 어렵다.
창녕어린이집의 이사장님은 교회의 장로님이시고, 몇 년 전에는 창녕어린이집에서도 예배를 드렸다고 한다. 하지만, 믿지 않는 교사와 학부모들의 반대로 인하여 중단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교사는 신앙적인 마인드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복음을 전해주기도 하지만, 아이들의 기독교적인 행동에 부모들의 반응이 좋지 않아 직접 적인 전도는 어려운 상황이다.
② 개별적인 교육이 어렵다.
교사가 모든 아동에게 관심을 가져줄 수가 없어서 아이들의 숨겨진 잠재력을 발견해 주는 데 한계가 있다.
③ 지역 환경의 특성상 폭 넓은 문화 교육을 받기가 어렵다.
지역 연계 활동을 통해 견학이나 관찰학습을 하고는 있지만, 아이들을 데리고 멀리 나가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도시 쪽에 사는 아이들에 비해 다양한 문화 교육의 기회가 적다.
2) 한계점 보완을 위한 대안제시
① 믿는 교사들이 신앙적인 문화로 이끌어 나간다.
앞서 말했듯이 21세기는 통합, 융합의 시대로 어린이집의 커리큘럼과 기독교적인 커리 큘럼의 융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창녕어린이집의 커리큘럼을 기독교커리큘럼 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그들의 마인드(정신)에 하나님의 형상을 심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것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히든 커리큘럼처럼 의도하지 않아도 이미 우리의 몸에 배인 하나님의 형상을 드러냄으로써 아이들의 모습 속에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켜 준다.
예를 들어, 먼저 양보 하기/ 사랑한다고 서로서로 말해주기/ 무엇을 하든 감사하기/
교사가 먼저 항상 밝은 모습 보여주기/ 교사들 사이에서도 언행을 바르게 하기 등 구별된 모습을 보여준다.
② 개별적인 교육
아이들마다 자라온 가정환경과 발달과정, 학습, 상호관계의 개인차가 있으므로 그 개인차를 인정하고, 수업의 선택권을 아이들 중심으로 하여 커리큘럼 방향성을
아이들이 원하는 교육방식으로 바꿔져야 할 것이다.
③ 더욱 폭 넓은 문화 교육으로 아이들의 눈을 크게 키우기.
자원봉사, 후원자들을 많이 연계하여 다양한 문화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원봉사자, 후원자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서는 홍보활동을 하며, 자원봉사 활동 시간을 인정해준다.
Ⅴ. 느낀점
◈ 창녕어린이집을 탐방하고 커리큘럼을 조사하며 느낀 것은 여느 어린이집이나 다를 것 없이 비슷한 커리큘럼 과정을 밟고 있었지만 수업 내용 중에 커리큘럼이란, 달리기 코스의 \'과정\'이고 \'내용\'이며, \'이미지\'라고도 했던 것이 생각나서 그것을 염두에 두고 커리큘럼을 바라보았을 때 결코 비슷한 게 아니라 어린이집 각각의 나름대로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커리큘럼을 개발한다는 것은 이미지를 새롭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아이들의 머릿속 지배적 이미지가 정말 어릴 때부터 하나님의 이미지, 형상으로 잘 심겨지도록 커리큘럼을 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래서 어릴 때부터 시작하는 커리큘럼의 \'과정\'이 참 중요하다는 것과 영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또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곧 있으면 어린이집 실습을 하게 될텐데 커리큘럼 조사를 통해 내가 어떤 마음으로 실습을 해야할지 미리 알게 되어 감사하다.
◈ 보육과정 발제를 준비하면서 커리큘럼의 중요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알게되었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히든 커리큘럼, 영교육과정이 숨어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중요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어릴때부터의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나도 언젠가는 엄마가 될 것이고 선생님이 될 수도 있을텐데 이 때 배우고 조사했던 것을 기억하면서 좋은 엄마, 좋은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 그 동안은 히든커리큘럼이 무엇인지, 영교육과정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는데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어린이집의 커리큘럼을 보면서, 또 실습을 하면서 느낀 아이들의 행동, 선생님들의 교육방식을 보면서 어떤 것이 영교육과정인지, 히든커리큘럼인지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어린이집에서 직접적으로 예수님에 대해, 기독교에 대해 언급할수는 없었지만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을 보면서 저 또한 세상에 나가 믿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분별된 모습을 보여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가격2,4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4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