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부모교육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의 부모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현대 가정의 위기 진단과 교육적 과제
(1).현대 가정의 위기 진단
(2).현대가정의 교육적 과제

Ⅲ.기독교 부모교육
(1)교회에서의 부모교육

Ⅳ.부모의 이해
(1).부모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이해
1. 성서적 이해
2. 신학적 이해
(2).부모에 대한 일반적 이해
1. 부모 됨의 의미
2. 부모 됨의 단계(부모 발달 과정)
3. 부모역할

Ⅴ.부모교육의 이해
(1).부모 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
(2) 부모 교육의 이론적 기초

Ⅵ.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의 관계에서 누구의 행동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면 하는 지 목 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비물: 필기도구, 이름표
*방법: 1,자신의 소개와 다른 사람들의 소개하기
2,자녀와의 관계에서 경험했던 문제가운데 효과적으로 대처했던 것과 대처하기 어려운 것을 토의 한다.
3, 자신이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목표를 적어보고 서로 토의한다.
4.피드백 나누기
<2째주>
2,단계-반영적 경청
*목적: 자녀의 표현 뒤에 감추인 느낌을 올바르게 반영적 경청을 하게 하고자 한다.
*준비물: 필기도구
*방법: 1.서로 역할을 번갈아 가며 실시한다.
2.두 사람 짝끼리 서로 피드백을 한다.
3.전체로 느낀 점을 서로 피드백 한다.
<3째주>
3,단계-“나-전달법”
*목적: 부모가 수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비난이 섞이지 않는 서술과 그에 대한 감정, 그리고 명백하고 구 체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표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준비물: 필기도구
*방법: 1.나 전달법의 3 가지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2.이야기를 나누고 나서 서로 피드백을 가진다.
<4째주>
4,단계-“제 3의 방법”
*목적: 기초가 되는 욕구의 측면에서 갈등을 살펴보고 가능한 해결책들은 찾기에 앞서 욕구를 정의하는데 도 움을 줄 것이다.
*준비물: 필기도구
*방법 :1,상황을 읽고 당신이 그 상황에 처해졌을 때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되는 욕구들을 쓴다.
2,자녀가 가질 수 있는 욕구도 써본다.
3,마지막 칸에는 양측의 욕구를 고려하여 가능한 해결책을 세 번째 칸에 쓴다.
<5째주>
5단계-의사소통 훈련
*목적-이 단계는 제 3의 방법을 하고 나서 평소에도 자녀와의 구체적인 관심과 대화를 할 수 있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준비물: 필기도구
*방법: 1. 3명씩 짝을 지어 한명은 이야기, 한명은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 한명은 관찰자로 둔다.
2. 이야기 하는 사람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고, 듣는 사람은 열심히 온정을 표하고, 관찰자는 이야기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관계와 그 상황을 유심히 관찰한다.
: 시선접촉, 얼굴 표정, 손짓, 몸짓, 신체적 접촉 등을 관찰한다.
3. 이야기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을 바꾸어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4. 전체 둘러 않아서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Ⅵ.나오는 말
“문제아는 없다. 있다면 부모가 있을 뿐이다.” 이 말은 영국의 교육 실천가인 니일의 주장이다. 이는 자녀 교육에 앞서 부모교육이 먼저 강조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고용수 ,“신앙 공동체 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6쪽
현대 사회가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십대들의 문제 (탈선, 미혼모 ,원조교제 등)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바로 가정이 교육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의 부모 교육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에 대해 기독교 가정의 부모들은 정체성을 바로세우고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아이들을 신앙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자기 발전과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부모들을 바르게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회가 나서야 한다. 올바른 부모 교육을 위해 교회에서는 신앙 교육에 걸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부모 교육을 활발히 진행할수 있는 그러한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참고도서
방현덕.『기독교 가정 교육론』,(서울:바울서신사), p.71-77 )
부모 교육 프로그램,『문제아이 문제사회』,(서울:한국 청소년 연구원, 1999),
사미자,『종교 심리학』,(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2001),
은준관,『기독교 교육현장론』(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8),
이재연 ,김경희 공저, 『부모교육』(서울:양서원,1989),36쪽.
정갑순,『부모 교육론』(서울:창지사,1999)
정웅섭,『기독교 교육 개설』 (서울:대한기독교교육협회),
한국부모 교육학회편,『부모교육학』(서울:교육과학사,1997),
2,번역서적
Ellen Galinsky, 권영례 역, 『아이의 성장 부모의 발달』(서울:창지사,1997),
Haim Ginott,Between Parent and Child, 김순희 역,『부모와 아이들 사이』,(서울:종로서적 1980),pp.9-19
R.Dreikues and Vicki Soltz, Children: the Challenge, 김선경 역, 『우리아이 바르게 키우는 법』(서울 : 민지사, 2002)
Sherill, The Rise of Christion Education, 이숙종역,『기독교 교육의 발생』(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1988),
System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이경우 역,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서울: 창지사,1993),
Thomas Gordon and Judith Gordon Sands,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in action, 김인자 역 『부모역할 배워지는 것인가』(서울: 한국심리 상담 연구소,1989),pp.18-21
3,논문/학술지
고용수, “목회자와 가정목회”『장신대교육지도자연수과정』(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사,1998),
김판선,“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교회에서의 부모교육”(미간행석사학위논문,장로회신학대학교, 2002),
김미선,“예비 부모를 위한 부모 교육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장로회신학대학교)
김미선, “교회와 가정을 연계하는 부모 교육에 관한 연구”(미간행석사학위논문,장로회 신학대학교, 2004)
류종상,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교육교회』제223권 (1996.2):
부모 교육 프로그램,『문제아이 문제사회』,(서울: 한국 청소년 연구원, 1999),
사미자,“가정과 기독교적 양육”『교육교회』132호,(1987.3)
양금희, “아동성장 발달에서의 부모역할과 부모 교육에 관한 연구” 『2003년 교회교육 정책세미나 자료집』 (서울:장로회신학대학
기독교 교육연구원, 2003),
이영진, “교회의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4년)
정성호, “기독교 가정의 부모를 통한 자녀교육방법론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총회 신학대학 대학원,1996
  • 가격2,8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4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