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동향 사례 및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블록체인의 동향 사례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블록체인이란?

2. 블록체인의 특성

3. 블록체인의 유형

4. 블록체인의 구조

5. 블록체인의 동향
1) 주요 국가의 블록체인 동향
2) 경제적 협력상황
3) 블록체인의 금융 분야에서의 응용
4) 블록체인의 생태계

6. 블록체인의 비즈니스 사례
1) 암호화폐 거래소
2) 탈중앙화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s)
3) 빔(VEEM)의 국제 송금 서비스
4) 음악 등 디지털 컨텐츠 거래와 저작권 수익 배분

7. 블록체인 기술의 문제점

8.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시스템의 활성화 방안
1) 가상화폐 인프라 구축 및 세제 혜택
2) 금융당국과 기업의 적극적 대응
3) 정부와 대기업의 스타트업 지원 및 기술 제휴

참고자료

본문내용

을 주도하고 있는 대기업들과의 제휴이다.
2016년 1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CES 2016에서 삼성전자는 C랩 과제로 개발된 제품 3가지를 선보였다. 링크(Rink): 모바일 VR용 컨트롤러, 웰트(WELT): 스마트벨트, 팁톡(Tip Talk) 인체 음성 전송기술. 특히 팁톡은 CES에서 전세계 참가자들에게 주목을 받았으며 올해 상용화를 위해 개발하고 있다. 팁톡을 개발한 ‘이놈들 연구소’는 창업자 전원이 삼성 출신으로 사내 벤쳐로 시작하고 삼성전자가 육성한 스타트업이다. 팁톡은 2018년 클라우드 펀딩 투자를 받을 예정이고 스마트폰에서 스마트워치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삼성전자는 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타 스마트워치와의 경쟁력에서 한발 앞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타트업 육성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없었다면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의 개발은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좋은 예로 대기업들의 관심과 투자 그리고 스타트업 지원이 제고되어야 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산업은 다양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그리고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 가전, 반도체, 자동차전장과 현대기아차의 스마트카, SK텔레콤의 통신 및 스마트홈 등 사물인터넷(IOT) 시대에서 만물인터넷(IOE)로 확산되는 스마트 시대에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고 편리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물인터넷에도 지불결제가 필요하고 향후 사물이 스스로 결제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인간의 생활패턴을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점점 스마트해지는 사물이 인간의 노동을 줄여 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사물이 스스로 결제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가상화폐의 유용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인도에서는 ‘스타트업’ 열풍이 불고 있다. 인도소프트웨어 개발자협회 (NASSCOM)에 따르면 인도의 스타트업 수는 현재 4200여개로 1위 미국 4만7000여개, 2위 영국 4500여개에 이어 전세계 3위이다. 이 중 작년에만 1200여개의 스타트업이 작년에 생겨날 정도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의 비약적인 스타트업 확산에는 ‘당일에 창업 등록절차를 완료해주고 신생업체에게는 3년 간의 소득세 납부와 세무조사 면제혜택 등’ 규제를 파격적으로 완화한 모디 총리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정부의 지원으로 인도는 세계 152개 유니콘 기업 리스트에 플립카트(Flipkart:전자상거래), 올라캡스 (OlaCabs:택시서비스), 스냅딜(Snapdeal: 전자상거래), 원97커뮤니케이션즈 (One97Communications: 온라인결제), 샵클루스 (Shopclues: 전자상거래), 조마토미디어 (Zomato Media: 레스토랑 정보서비스), 퀵커(Quikr: 전자상거래) 이상 7개 기업의 이름을 올렸다.
이와 같이 인도 스타트업 발전에는 정부 지원과 더불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중국미국에 이어 약 1억 3천만 명으로 전 세계 3위의 규모라는 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인도의 낮은 인터넷 보급률과 광대역 사용률이 전자상거래 사업에는 큰 장벽이 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사용률과 세계적인 IT인프라를 이미 구축하고 있어 정부와 글로벌 대기업들의 전격적인 지원과 기술 제휴가 뒷받침 된다면 모바일전자상거래온라인결제와 함께 가상화폐 스타트업이 타국 스타트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스타트업의 육성을 위한 방안에는 첫째, 스타트업의 부족한 연구 환경을 위해 단순한 MOU체결 차원이 아닌 대기업들의 다양한 네트워크와 연구실, 인적자원을 동원하고 기술 제휴 및 투자금을 지원하여 연구 및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정부는 스타트업 열풍이 거품으로 그치지 않게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대기업에게 각종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을 하여 일방적인 지원이 아닌 협력과 상생의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셋째,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1:1 또는 1:多의 매칭을 통해 형식적인 지원이 아닌 공식적인 관계의 틀을 갖추고 스타트업이 글로벌을 대표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때 까지 발 벗고 지원할 수 있는 제도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이 성장하여 기업 존재의 안정적인 궤도에 진입하였을 때엔 또 다른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유기적 협업 구조의 스타트업 지원 문화와 제도를 모색하여야 한다(이호, 2016).
참고자료
강승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개발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제13호, 2018.
고윤승최흥섭,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와 그 활용 방안, 한국과학예술포럼, 2017.
금융보안원, 블록체인 응용기술 개발 현황 및 산업별 도입 사례, 2017.
김동섭, 분산원장 기술과 디지털통화의 현황 및 시사점, 지급결제조사자료, 2016.
김성준, 블록체인 생태계 분석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김예구, 블록체인 기술과 금융의 변화, KB지식 비타민, 2015.
김재성임성철, 국제 무역거래에서 블록체인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2017.
김정석,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송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김정석김광용, 블록체인 기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2017.
김진화 외, 블록체인의 기술적 이해 및 도입을 위한 찻걸음. (주)코빗, 2016.
박수민,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한 핀테크 서비스 정책 제언,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송상화, 블록체인이 물류를 바꾸는 3가지 시나리오, CLO, 2017.
윤승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2013.
이호, 블록체인 기술 국내 도입 전망,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2016.
정승화, 블록체인 기술기반의 분산원장 도입을 위한 법적 과제, 금융법연구, 2016.
한화투자증권, 블록체인, 이상과 현실, 어디쯤 와 있나, 한화리서치, 2018.
홍승필, 블록체인기술 금융분야 도입방안을 위한 연구, 금융위원회, 2016.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9.01.03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