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장르연구 - 판타지에 대한 잘못된 이해 그림형제(판타지 어드벤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장르연구 - 판타지에 대한 잘못된 이해 그림형제(판타지 어드벤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빗나가 있다. 그 이유는 우리들의 시선은 그림형제가 모험의 과정에서 겪는 직접적인 두려움과 역경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그림형제는 직접적으로 거울여왕에게 두려움을 느낄 필요가 없다. 거울여왕이 찾는 직접적인 대상이 그림형제가 아닐 뿐만 아니라 거울여왕은 자신의 미의 유지하고 숲을 방해받지 않는 데에만 관심이 있는 존재이므로 형제는 직접적인 피해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그림형제의 목숨을 좌지우지하는 프랑스 정부와의 갈등이 모험 내내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못해 우리들의 시선과는 틀어지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반지의 제왕>을 예로 들면 주인공인 프로도는 절대반지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우론의 공격을 받는다든지 등의 직접적인 두려움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프로도와 동일시적으로 모험을 하는 동안 긴장감을 느낄 수 있다.
5. 결론
장르 영화가 관객들에게 재미를 느끼게 하는 요소는 극적 긴장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판타지 영화가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는 모험이다. 모험은 단순한 여행의 의미가 아니라 주인공이 빼앗긴 자신의 욕구를 찾아오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판타지 어드벤쳐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을 자신의 소유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이 아닌 타인이 이를 파괴하는 것을 싫어한다. 자신의 안정성을 무너뜨리는 타인에게 거부감을 느끼는 것이다. 때문에 상대가 아무리 강해도 빼앗긴 자신의 소유물을 되찾기 위해 모험을 강행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상대는 초현실적이고 이성적으로 예측이 불가능한 존재여서 자연스럽게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감정들을 관객들이 주인공과 동일하게 느낄 때 판타지 어드벤쳐의 긴장감이 조성이 된다.
<그림형제>는 전형적인 판타지 어드벤쳐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위와 같은 장치를 설치하지 못해 극적 긴장감을 주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소재의 신선함을 주기 위해 곳곳에 사용한 동화 속 인물들이 오히려 스토리를 방해하게 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들어온 빨간망토, 헨젤과 그레텔이 사라진 숲은 더 이상 어른들이 느끼는 공포의 공간이 되지 못했고, 두려움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라푼젤은 우리들의 기억 속에는 너무나 선한 존재이다. 낯선 공간과 대상으로부터 두려움을 조성하는 판타지에서 우리들이 익숙하게 알고 있는 대상들의 등장은 그 곳을 더 이상 낯선 공간으로 만들지 못했다. 그래서 우리들은 미지의 대상이 드러나자마자 긴장감이 풀리게 되고 정작 중요한 클라이막스에서 스토리의 흥미를 느낄 수 없었다.
<그림형제>가 장르 영화로서 관객들의 동의를 얻지 못한 이유는 내러티브의 연구부족이 아니라 내러티브 속에 존재하는 각각의 장치들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다. 내러티브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완성된 내러티브마저 제대로 된 마무리를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앞으로의 판타지 어드벤쳐물들이 <그림형제>와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장르에 대한 연구가 내러티브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치에 대한 이해도 동시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05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