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2011년 대학생들의 대북통일 의식 조사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사방법론] 2011년 대학생들의 대북통일 의식 조사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성별
2. 병역여부
3. 이념성향
4. 연령
5. 출신지역

Ⅱ. 설문 내용 분석
1. 성별
2. 이념성향
3. 연령

Ⅳ. 결론
1. 성별
2. 이념성향
3. 연령

본문내용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이 324명(33.4%),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가 238명(24.5%)이다.
1. 성별
남성
여성
1순위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2순위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3순위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4순위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5순위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성별에 따른 내 삶을 이롭게 하는 통일을 위해 선결돼야 할 사항의 복수응답 결과 남성과 여성의 순위가 같음이 나타났다.
2. 이념성향
진보
보수
중도
1순위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2순위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3순위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4순위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5순위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이념성향에 따른 내 삶을 이롭게 하는 통일을 위해 선결돼야 할 사항의 복수응답 결과 진보, 보수, 중도의 경우 1순위, 5순위가 같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 강화\"의 경우 진보와 중도는 2순위, 보수는 3순위로 나타났다.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의 경우 진보는 3순위, 보수와 중도는 4순위로 나타났다.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의 경우 진보는 4순위, 보수는 2순위, 중도는 3순위로 나타났다.
3. 연령
만 19세
만 20세~25세
만 26세~29세
만 30세 이상
1순위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2순위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3순위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4순위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5순위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연령에 따른 내 삶을 이롭게 하는 통일을 위해 선결돼야 할 사항의 복수응답 결과 진보, 보수, 중도의 경우 1순위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가 같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만 19세의 경우 2순위가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3순위가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4순위가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 5순위가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 20세~25세, 만 26세~29세, 만 30세 이상의 경우 2순위는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협력강화\", 3순위는 \"남한의 실업과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 4순위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 5순위는 \"강대국의 개입축소와 국제관계의 평화\"로 나타났다.
Q21.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어느 정당이 가장 기여할 것 같으신가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 설문 결과 \"별 차이없다\"가 624명(64.3%), 민주당(15.7%), 한나라당 90명(9.3%), 민주노동당 49명(5.0%), 진보신당 28명(2.9%), 국민참여당과 자유선진당이 14명(1.4%)씩 응답하였다.
1. 성별
남성
여성
1순위
별 차이없다
2순위
민주당
3순위
한나라당
4순위
민주노동당
5순위
진보신당
6순위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7순위
자유선진당
국민참여당
성별에 따른 성별에 따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는 남성과 여성이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가 같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의 경우 6순위가 국민참여당, 7순위가 자유선진당인 반면, 여성은 6순위가 자유선진당, 7순위가 국민참여당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의 교차분석 결과가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유의확률이 .027으로 .05보다 작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이념성향
진보
보수
중도
1순위
별 차이 없다
2순위
민주당
한나라당
민주당
3순위
민주노동당
민주당
한나라당
4순위
진보신당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5순위
한나라당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진보신당
6순위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7순위
자유선진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이념성향에 따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의 교차분석 결과 1순위 \"별 차이 없다\"를 제외한 모든 정당의 순위가 다름을 파악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의 교차분석 결과가 이념성향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유의확률이 .000으로 .05보다 작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연령
만 19세
만 20세~25세
만 26세~29세
만 30세 이상
1순위
별 차이 없다
2순위
민주당
3순위
민주노동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4순위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5순위
진보신당
6순위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자유선진당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
국민참여당
7순위
연령에 따른 성별에 따른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는 연령이 1순위 \"별 차이 없다\", 2순위 \"민주당\", 5순위 \"진보신당\", 공동 6순위, 7순위로 \"국민참여당\", \"자유선진당\"로 나타났다.
\"민주노동당\"의 경우 만 19세의 경우 3순위였지만, 만 20세 이상의 경우에는 4순위로 나타났다.
\"한나라당\"의 경우 만 19세의 경우 4순위였지만, 만 20세 이상의 경우 3순위로 나타났다.
모든응답자가 6순위가 \"국민참여당\", 7순위가 \"자유선진당\"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당 기여도의 교차분석 결과가 연령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유의확률이 .058로 .05보다 크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가격3,2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9.01.13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