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미디어 인터넷 개인방송의 특성과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인 미디어 인터넷 개인방송의 특성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1인 미디어의 이해
1) 1인 미디어의 개념과 발생과정
2) 1인 미디어의 특성
2. 인터넷 개인방송
1) 인터넷 개인방송의 특성
2) 콘텐츠 크리에이터
3. 발전전망
1) MCN의 장점과 단점 및 한계점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콘텐츠 또한 높은 인기의 이유일 것이다.
3. 발전전망
1) MCN의 장점과 단점 및 한계점
인터넷 개인방송이 인기를 얻으면서 최근에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지원해주고 관리해주는 ‘멀티채널네트워크(MCN)’서비스까지 생겨났다. SM이나 JYP처럼 스타를 위한 기획사와 비슷하긴 하지만 직접 콘텐츠제작에 참여하고 공급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CN은 유튜브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유튜브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수익을 내는 채널이 많이 생기자, 이들을 묶어서 관리해주는 곳이 생긴 것이 출발이다. MCN의 등장으로 인하여 1인 콘텐츠 시장은 더욱 활성화 되었다. 미디어 수용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미디어를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고, 콘텐츠 제작자들 또한 안정적인 수익창출과 더불어 더욱 질 높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됐다.
<사진1> 다이아tv 소속 bj들
출처: 다이아TV 홈페이지, 2016,04,30.
대기업 중 가장 먼저MCN 사업에 뛰어든 곳은 CJ E&M이다. CJ E&M은 2013년부터 콘텐츠 창착자 마케팅, 유통 등의 지원을 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창작자로는 ‘대도서관’과 ‘씬님’이 있다. CJ E&M은 브랜드 명을 ‘다이아TV’로 바꾸고 현재 약 400팀의 크리에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유튜브에서 12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양띵’을 비롯해 ‘악어’와 ‘김이브’등 유명 크리에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트레져헌터, 아프리카TV, 다수의 페북스타들을 보유한 비디오빌리지 등 많은 MCN기업들이 생겨나 콘텐츠를 생산 중이다.
싸이를 글로벌스타로 만들어준 ‘강남스타일’의 흥행배경에도 유튜브 25억 뷰가 있었다. 이제는 대형 스포츠 중계 뿐 아니라 뷰티와 게임 등 다양한 분야들이 일반인들의 영역으로 넓어져, 누구나 채널을 등록하고 실시간으로 방송 할 수 있어졌다. 이처럼 MCN 시장은 유튜브가 갖는 글로벌 영향력과 이에 따른 전망의 기대로 인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한편에선 MCN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인터넷 콘텐츠가 짧은 동영상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에 아직은 일정 클릭 건당 낮은 수준의 광고수익만 보장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일부 인기 채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정 수익 담보조차 힘든 실정이다. 또한,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 자극적이거나 가학적, 선정적 내용의 콘텐츠가 시장의 질적 하락을 가져온다는 비판적 시각도 제시되고 있다. 수익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외 MCN 사업자들은 기존 방송사·IPTV·모바일 플랫폼 등에 영상을 제공해 수익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콘텐츠에 대한 심의규정이나 내부가이드라인은 비약할뿐더러, 현재 1인 미디어 주 수요층이 10~20대임을 고려했을 때, 그들이 경제활동과 사회적 영향력을 갖춘 10년후에 까지도 사업을 지속할 수 있는 꾸준한 수익 모델 발굴은 여전히 절실하다. 하경대, 「‘인터넷 콘텐츠 창작자?’‘크리에이터?’‘MCN’의 모든 것」,위클리오늘, 2015, 11, 16.
Ⅲ.결론
최근 1인 미디어 시대의 등장으로 미디어 이용자들은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며 능동적인 미디어 이용자로 변화하고 있다. 1인 미디어시대에 급부상 하고 있는 인터넷 개인 방송의 이용자들은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찾아서 시청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방향적인 시청방식을 벗어나 방송 도중 bj나 다른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시청 방식을 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개인방송의 잠재적 사업성과 문화적 파급력에 주목한 기업이나 방송사들이 방송 콘텐츠 제작자들을 관리해주는 MCN사업도 점차 활성화 되고 있다. 한명우,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들의 시청만족도 및 재시청의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 2016.
저렴한 비용으로 빠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1인 미디어 산업은 앞으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 예상되지만, 한편에서는 콘텐츠의 선정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한계점에 대한 제시가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1인 미디어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조사와 평가를 중심으로 순기능은 살리고 부작용은 최소화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논문
김재하, "웹 2.0 환경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전망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 5호, pp452-459, 2007.
강진숙, "1인 미디어, 블로그의 확산과 이슈". <통신정책연구원>, 제16권 22호, pp31-43, 2010.
황정선, "1인 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관한 연구: 싸이월드 타운홈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박상필, “1인 미디어의 영향력 확대”, <부산발전포럼>, 제132권, pp42-43, 2011.
최영, “인터넷 방송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1호, pp297-329, 2000.
한명우,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들의 시청만족도 및 재시청의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 2016.
참고기사
이준호,「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발표」,업코리아, 2015, 11, 24.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54473
임수연, 「씬님vs포니, 뷰티 유튜버는 어떻게 스타가 되었나」, 매거진아이즈, 2015, 10, 23.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5101813137272418
하경대, 「‘인터넷 콘텐츠 창작자?’‘크리에이터?’‘MCN’의 모든 것」,위클리오늘, 2015, 11, 16.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2635
웹사이트
다이아TV ,http://diatv.com/, 파트너소개, [2016,04,30 인용됨]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isis.kisa.or.kr/,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6,4,28 인용됨]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24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