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혁자들의 예배 신학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 개혁자들의 예배 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종교개혁과 예배
1.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계열
1) 독일미사에 나타난 예배순서
2) 루터의 예배에 대한 이해
2. 츠빙글리(Zwingli, 1484-1531)계열
1) 예배에 대한 개혁
2) 츠빙글리의 예배순서
3. 칼빈(John Calvin, 1509-1564)계열
1) 칼빈의 예배에 대한 개혁
2) 칼빈의 예배 순서
3) 칼빈의 예배 신학
4. 종교개혁자들의 비교

B. 개혁교회의 예배
1. 개혁교회 예배의 특징
2. 개혁교회 예배 신학
3. 청교도 예배
1) 에드워드 시대의 청교도
2) 메리 여왕 시대의 청교도
4.. 예배 회복 운동

본문내용

해 무릎을 꿇는 것을 없애고 앉은 자리에서 그냥 받게했다.
④ 세례 예식시 십자가 성호를 긋는 것을 금지시켰다.
⑤ 성경을 존중하여 강해설교를 권장했다.
⑥ 성인 축일, 사적인 세례, 대부 제도, 위경봉독, 환자에게 성찬 베푸는 것 등을 폐지
⑦ 특수하게 설정된 예전보다 예배 규칙서나 예배모범을 원했다.
다음으로 영국 청교도 예배의 기원은 제네바와 스트라스부르그의 교회 예식에서 찾는다.
1)에드워드시대의 청교도
섭정회의는 가장 유용한 결실로 에드워드 6세의[제1기도서]를 작성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았고 보다 철저한 개혁을 갈망했던 사람들에 의한 개혁의 움직임 여러 곳에서 나타났다. 1548년 인테림 칙령은 대륙의 개혁자들을 그들의 나라에서 추방시켰는데 이들 중 일부는 망명자로서 영국에서 오게 되었고 영국의 개혁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Martin Bucer와 Johnnes a Lasco, John Knox 등을 들 수 있다. 그들은 영국 교회의 예전이 하나님의 말씀과 사도들의 교회 예배에 완전히 일치하기까지 보다 철저한 개혁을 원했다. 그리하여 Edward 6세의[제2기도서]가 작성 되었고 이 기도서에는 Martin Bucer의 영향을 받아 오래된 예식과 의식들이 삭제되었다.
2) 메리여왕시대의 청교도
메리여왕이 등장하면서 개혁의 흐름은 커다란 시련에 부딪히게 된다. Cranmaer, Ridley, Hooper, Latimer와 Edward Ⅵ 시대의 감독들이 감옥에 수감되었고, 3년 동안 약 300명의 희생자가 화형대에서 불 태워진다. 이후에 제네바로 Knox는 이미 그곳에 있었던 영국 망명객들의 목회자가 되었다. 그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만들어진 ‘기도의 형태와 성례집전 형태’라는 제목의 일반 기도서[A Book Commomn Oder]를 사용했는데 이 책은 스코틀랜드와 영국에서 모두 청교도 예배의 아버지로 간주된다. 예배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주일예배 - 죄의고백, 용서의 기도, 운율시편, 조명을 위한 기도, 성서일과와 설교,
긴 기도와 주님의 기도, 사도신경-목회자 혼자, 운율 시편, 강복기도
② 주님의 만찬 - 성물의 준비와 함께 운율시편, 교훈의 말씀, 권면, 성변화, 성체 분할 분병 분잔, 성경 봉독하는 동안의 영성체, 영성체 후의기도, 시편103편, 강복기도
위의 두순서는 청교도 예배의 기본적인 특징이며 이들이 이룬 중요한 업적 가운데 하나는 이른바 [제네바 성경]으로 알려진 영어성경의 번역이다.
4. 예배 회복 운동
19C 후반부터 기독교 전체가 종파와는 상관없이 예배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855년 미국에서 예배 의식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시작한 해인데 이 해에 Charles W. Baird는 [장로교 예배의식]이라는 책을 발간함으로써 미국과 영국에서는 예배의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거의 같은 시기 펜실베니아 머서스버그에서는 독일 개혁 교회 내의 교회가 예배의식을 복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고 그 후 점차적으로 예배에 대한 많은 토의가 있게 되고 여러 종파의 교회에서 예전 개혁을 위한 산발적인 시도가 있었다. 1905년 처음 [일반 예배서]가 장로교에서 출간되었으며 초기 개혁자들이 실행했던 것을 예배의 표준으로 삼으려는 노력의 흔적인 1) 성소의 배치, 2) 미술과 상징의 사용, 3) 주님의 만찬의 대한 변화, 4) 주님의 만찬의 대한 변화, 5) 예배의식에 대한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 참고문헌
민장배, 「예배학」서울 :세화출판사, 2009
A.E. 맥그래스, 「종교개혁 사상입문」서울 : 성광문화사, 1998
리샤르 스토페르, 「종교개혁」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