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주해론 - 아모스 4장 1절 - 5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경 주해론 - 아모스 4장 1절 - 5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몸에 발랐다.
이스라엘은 정치적인 안정과 경제적인 번영에 따라 국제적 교역과 상업이 번창하였으며 상인 계층이 발달하고 노동 인구가 시골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그 결과 이스라엘의 사회 구조는 도시 사회로 바뀌게 되었과 이와 관련해서 빈부의 첨예한 대립이 생기게 되었다.
부자들의 사치와 가난한 자들의 비참함의 대조적인 차이가 아모스의 메시지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아모스는 그 당시 사회구조 속에서 핍박받는 자들에 대해서 반복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들을 의인, 가난한자, 궁핍한자, 겸손한자 등로 부르고 있음을 보게 된다.
착취자와 착취당하는 사람으로 나누어진 바로 이때에 아모스는 약하고 가난한 자들이야말로 하나님의 긍휼과 관심의 대상이 됨을 선포했던 것이다. 사회에는 정의가 결핍되어 있어서 재판관들은 뇌물을 받고 부당한 판결을 내리고, 장사꾼들은 속이고 됫박을 속여서 부당한 이득을 취했다. 저들이 호화스러운 삶을 살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약자들에 대한 강압적 착취에 기인한 것이었다.
7. 종교적 배경
당시의 종교 생활은 사회적, 도덕적 상황보다 더 심했다. 모세의 가르침에서 벗어나 우상 숭배와 형식주의로 치우쳤다. 또한 바알 종교의 영향과 이스라엘 종교의 형식적인 예배로 종교생활은 크게 부패하고 있었다. 그러나 겉으로 보면 저들의 종교적 활동은 대단히 열심이었다. 제사를 드리기 위해서 벧엘과 길갈에 있는 성서로 갔고, 더욱 열광적인 사람들은 브엘세바에 있는 성서로 가기도 했다. 그러나 제단 위는 희생 제물이 높이 쌓였고, 비파 소리와 다른 악기 소리가 흘러 넘쳤음을 볼 수 있다. 타락하고 부패되어 가는 종교 지도자들은 물질적 번영이 하나님의 구원의 증거요 표시하고 여기는 양적인 하나님 예배에 치중했다. 그러나 더욱 나쁜 것은 자기들의 열심 있는 종교 활동이 하나님을 기쁘게 하실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모스는 이와 같은 외적인 종교 의식에 대해서 하나님이 그러한 종교적 열심을 원하지 않음을 분명히 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사회적인 정의를 실현하지 않는 한 형식적인 종교 의식과 고백은 오히려 하나님을 노하게 만드는 결과가 된다는 것을 아모스는 역설하였던 것이다. 진정한 신앙은 이웃에 대하여 정직히 행하고 특별히 곤궁한 자를 보살피는 일이 수반되어야 함을 일깨워준 것이다. 이종훈 「아모스의 신분을 중심으로 한 아모스」(광신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p9-13.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