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에 입각한 성경적인 예배의 이론과 실재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혁주의에 입각한 성경적인 예배의 이론과 실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문제제기
B. 연구 목적

Ⅱ. 예배의 성경적 역사적 고찰

A. 예배의 성경적 역사적 고찰

1. 종장시대의 예배
2. 율법시대의 예배
3. 성전예배
4. 회당예배
5. 예수님 시대의 예배
6. 사도시대의 예배
7. 초대교회 예배
8. 초기 기독교 시대의 예배

Ⅲ. 한국 개혁주의 교회예배

A. 칼빈의 예배의식

1. 칼빈의 예배 의식의 특징

B. 웨스트민스터 예배 모범

1. 웨스트민스터 성회(Westminster Assembly of Divine)
2.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의 구조와 내용

a. 공적예배를 위한 회중의 모임과 그 태도에 대하여
b. 성경봉독에 대하여
c. 설교전의 기도에 대하여
d. 말씀의 선포에 관하여
e. 설교 후 기도에 관하여
f. 세례 성례전에 관하여
g. 성만찬 성례에 관하여

Ⅳ. 개혁주의 예배의 제요소

A. 개혁주의 예배와 설교
B. 개혁주의 예배와 고백
C. 개혁주의 예배와 헌금
D. 개혁주의 예배와 기도
E. 개혁주의와 성례전

Ⅴ. 결론

본문내용

했고, 오늘날은 복음성가를 많이 부르고 찬양의 스타일이 다양해 졌다. 찬송은 하나님께 드리는 찬송으로 뿐만아니라, 성도들간에 영적인 교통의 시간이 되는 것이다.
D. 개혁주의 예배와 기도
기도는 예배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주님께서 성전을 깨끗케 하시며, 성전을 기도하는 집이라고(마 21:13) 말씀하신 것은 성경을 통해서 기도가 회당의 예배 중심이 되었다는 사실을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기도는 주일 예배뿐 아니라, 성도들이 모이는 모든 집회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종교개혁 이후 목회기도가 예배 시간에 있게 되었고, 칼빈은 기도에 대하여 축시적인 기도문 작성을 반대하는 입장이며, 기도의 주제는 신령과 진정한 예배를 드리도록 성령께 도움을 요청하고 죄의 고백,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에 대한 감사, 모든 은총에 대한 감사, 중재의 기도였으며, 주기도문 사용과 사도신경 암송을 좋아했다. Ralph.G.Tunbull, 박근원 역, 「실천신학 사전 3권」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346-347.
기도는 예배의 가장 필수적인 요인인 동시에 건강한 교회를 이루어 나가는데 최우선적으로 교회가 해야 할 일이다. 기도는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을 받는 방편이며, 하나님의 뜻을 깨달을 수 있는 통로이다.
E. 개혁주의와 성례전
칼빈은 성례는 “하나님의 은혜를 외형적인 표로 확인하는 증거이며 동시에 우리는 하나님께 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Calvin, ins, Ⅳ.14.1.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가 성례전을 정하셨다. 우리는 실제로 이것이 우리의 믿음을 유지하며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고 있다. 성례전을 통해서 하나님의 은총이 우리 몸에 인침을 받게 되며 “우리의 신앙이 유지 되고 강화되고 확고해지며 증강이 된다.” Ins., Ⅳ.14.11.
우리는 성례전을 통하여 중보자와 연합하게 되며, 그의 죽음을 통해서 구원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칼빈은 세례식이 틀별 목적으로 정해진 주일에 하지만 성찬식은 매 주일마다 거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성찬성례전은 외형적인 표시로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은혜의 증거이며 또 한편으로는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경건의 입증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초대교회부터 현대교회에 이르는 여러 가지 예배의 형식을 알아보았다. 때로는 너무 형식적이거나 예배자가 알 수 없는 예배가 되는 것도 있고 너무 예전적인 형식을 가진 예배도 있다.
예배의 올바른 자세는 예배자의 마음이 하나님을 경배하고 있는지 아니면 그렇지 못한지에 달려있다. 한국교회의 예배는 내적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예배의 불균형과 부조화로 인하여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새로운 예배의 정신과 내용을 성경적이고 개혁주의 정신에 맞는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목회자 혼자만의 예배, 설교중심의 예배였던 한국 개신교회의 예배가 이러한 계기를 통해서 교회 공동체 전체가 참여하는 예배, 함께 하는 예배로 자리를 잡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한국 개신교회는 앞으로 예배를 위한 예배순서와 형식에 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완과 수정을 거쳐 한국개신교 설정에 맞는 예배의 정착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예배는 예배 집례자 혼자만이 모두 감당할 문제가 아니다. 모든 성도들이 예배를 보다 잘 드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예배의 준비와 계획하는 일을 위해 많은 투자와 관심을 갖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한국개신교회가 지향해야 할 것 중에 하나는 받는 예배에서 그리는 예배로의 변화라고 하겠다. 그동안 한국의 교회는 은혜 받기만을 원해왔다. 그러기에 예배에 대한 경외감이 없었고, 개인중심적인 예배의 참여가 되므로 인해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와 인간과 인간과의 조화있는 관계가 무시되었던 것이다. 이제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가 되어야 하며 이웃에게 나누는 예배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득룡. 「현대교회 예배학 신강」.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6.
김동수. 「예배학 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7.
김소영. 「예배와 생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4.
김소영. 「현대예배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4.
김소영. 「예배의 위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김수학. 『「주교 예배학」.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0.
김연택. 「건강한 교회와 예배」. 서울: 프리셀트, 2000.
박은규. 「예배의 재발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이종기. 「교회사」. 서울: 세종문화사, 1979.
오덕교. 「장로교회사」.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995.
정승훈. 「말씀과 예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 종로서적, 1985.
정장복. 「예배의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김병원. “신구약 성경에 나타난 예배의 본질적 의미”. 「월간고신」, (1990, 11)
은준관. “예배의 본질과 형식에 대한 반성”. 「기독교사상」1972년 31권 9호.
Abba, R.「기독교 예배의 원리와 실제」. 허경삼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C.V.Wedgwood. 「The King\'s War」. New York:Macmillan, 1959.
Franklin M. Seger. 정진황역 「예배학 원론」. 정진황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73.
Ralph.G.Tunbull.「실천신학 사전 3권」. 박근원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Ronert G. Raybirn. 「예배학」. 김달생, 강귀봉 공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2.
Thomson, Bard. Litergies of the Western Church, Philadelphia:Fortress Press, 1980.
William. D. Maxwell.「예배의 발전과 그 형태」. 정장복 역. 서울: 춤란출판사, 1996.
Wilbelm Niesel. 「칼빈의 신학」이종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예배의식”
http://blog.naver.com/ydjman?Redirect=Log&logNo=80018402604
  • 가격2,2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