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논술 7) 직장갑질 (예 양진호 사건 간호사 태움 등)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상읽기와논술 7) 직장갑질 (예 양진호 사건 간호사 태움 등)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갑질의 의미
2, 갑질 (Customer incivility & Abusive supervision)의 개념과 영향 가. 손님의 갑질 (Customer Incivility) 나. 상사의 갑질(Abusive Supervision)3, 감정소진(Emotional Burnout)4, 반생산적 업무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5, 고객의 갑질과 감정소진과의 관계

결론: 평가 및 해결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될 경우 오히려 개인의 능력과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최근의 연구결과(Corvette, 2007년)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로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 상사로 부터 오는 스트레스나 갑질로 인한 긴장감 조성을 통하여 역기능뿐만 아니라 조직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순기능적 역할까지 함께 보는 상호작용 주의적 관점(interactionist view)으로 조심스러운 추측을 해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전체적인 외식산업에 일반화시키기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 연구의 결과의 해석이 외식기업에서의 갑질을 용납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구조상상사로 부터로는 갑질 같은 갈등을 피할 수 없다면 긍정적인 기능에 관심을 두며 부정적 기능에서 오는 문제를 조직공정성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이상적인 갑질로 인한 문제의 해결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최근의 인구통계학적인 결과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외식기업 구조가 20대 30대 미혼 젊은이들이 1년 미만으로 종사하는 다시 말하자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직장을 잡기위한 인생 경험을 위한 직장이라는 개념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바와 같이 20, 30대 젊은이들이 잠시 거쳐 가는 직업에서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나 직장에서의 자존감이 없는 상태에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갑질 상황을 겪게 된다면 번거롭게 반생산적 업무행동을 통하여 문제를 만드는 일을 택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덮고 넘어가려는 의도로 풀이될 수도 있겠다. 한국사회에서 외식 기업에 종사하는 주요 연령층이 젊고 사회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사회의 구조상 직장 상사와 교류나 의견을 쉽게 말하고 대화할 수 있는 권력간격(Power distance)이 멀기 때문에 상사나 고객에서 갑질을 당했어도 부정적인 행동을 표출 할 수 없다고도 보인다. 또한 일하고 있는 직원은 자신이 비생산적인 업무행동을 할 때 그 결과 가 자신에게 어떠한 형태로든지 돌아올 것을 알기 때문에 직원들은 비생산적인 행동의 쉽게 하려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이상과 같은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문화의 변화다. 경직되고 상의하달식 의사전달 체계는 권위적인 조직문화가 상존할 수밖에 없다. 둘째, 우리사회에 만연한 왕따 행태를 바로잡아야 한다.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사회에서는 약자와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증오와 편견이 깊게 자리하기 시작했다. 서로의 마음을 헤아리는 역지사지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는 기업 내 상담 혹은 심리적 치료 체계의 마련이다. 중소기업 자체로 어렵다면 건강검진에서 서비스업계 종사자들에 대한 정신과 진료를 의무화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넷째는 제도적 예방책과 감정노동자 보호 대책 마련이다. 갑질 및 직장폭력과 관련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한 논의가 시급하다.
참고자료
김명자, & 정유미. (2013). 간호사의 억압집단행위에 관한 개념분석.
김시아. 2019, 미디어에스알, 을들의 반란①] 대한민국 만성적 갑질의 뿌리는 어디에서 기인할까?
류형서, 류기상 (2017). 외식산업에서 손님의 갑질이 종업원의 감정소진, 반생산적
업무행동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6(7), 39-54.
김유경, 2019, 중앙일보, 직장 갑질 … 권력 쥔 상사가 스스로를 돌아보라
문용갑, 김월화 (2005). 한국인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향에 관한 연구. 인간연구,
(9), 151-182.
박은재, 2013, 대검 미래기획단, 갑을관계, 갑갑관계, 갑을 자본주의, 복지국가로 해결하자
오세조·이병훈·김경무·황치오, 2013, 나라경제, 갑을관계 아닌 상생관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박은영, 윤창훈, 박종원 (2012). 부정적 사건 이후 기업평가 회복을 위한 CSR활동.
소비자학연구, 23(4), 175-191.
김윤지, 성민정 (2012). CSR 적합성과 위기 발생 영역,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3(8), 61-85.
김정교, 김태곤, 신찬휴 (2016).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70, 93-128.
서구원, 진용주 (2008).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유형과 기업 평판의 관계에
대한 대학생과 일반인의 비교. 광고학연구, 19(6), 195-209.
김미영, 2013, 이투데이, 갑에게도 이익 안되는 갑을관계- 이성구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사무소장
박노자. 2018,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한국, 안과 밖 갑질의 뿌리
  • 가격3,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28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