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예산제도를 활용한 마을 평생학습축제 기획 실습보고서 제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활용한 마을 평생학습축제 기획 실습보고서 제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 분리수거안내 홍보물 배포하기
6) 예산(500만원 내에서 제시할 것)
사용항목
세부 내용
소요예산(원)
축제 추진위원회 회의비
총괄기획, 외부 자문료 등
550,000
홍 보 비
축제행사홍보물 제작 및 기념품 증정
언론 및 매체 홍보
8,00,000
체 험 부스 & 전시회 강연회, 재료비
환경명사강연
재활용유리로 장신구 만들기 부스 운영
페트병화분 만들기 부스 운영
기념품 증정 부스 운영
2,000,000
기자재 임대료
테이블대여, 의자대여, 텐트설치
1,150,000
기 타
(먹거리 외)
재활용화분만들기 공기정화식물
분리수거가방, 재활용 가방
500,000
합 계
5,000,000
4. 주민참여예산제를 활용한 마을 평생학습축제를 기획(실습보고서) 하면서 느낀 점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중요 관건은 주민들의 의견이 적극 수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정적인 주권을 갖게 되고 그간 지방 예산이 제대로 쓰이는지 의심스러웠던 부분이 해결됨은 물론이고 재정 이용의 투명성이 함께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구시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민참여예산제는 간접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의 집합체이다. 필요한 부분에 대해 시민들이 직접 의사를 내고 의견을 수렴한다. 대구에서는 참여예산제를 공모하고 온라인투표로 선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주민참여예산제의 가장 큰 강점은 주민이 스스로 지역사회의 미래를 결정한다는데 있다. 개인적으로 늘 문제가 있다고 여긴 부분에 대해 고민하고 자료를 찾아보면서 꼭 필요한 프로그램을 짜보려 많이 고민하였다. 가상의 예산이지만 마치 실제 예산처럼 느껴졌고 그 때문인지 운영위원들보다는 지역주민에게 혜택이 더 돌아가는 방향으로 예산을 고민하게 되었다. 예산 하나 하나가 지역 주민을 위한 혜택이 되어야 하기에 이것이 정말 필요한 사업인가를 곱씹어 고민하게 되었다.
지역의 많은 축제들이 정책 홍보용 대상으로만 쓰이고 막대한 지역 예산을 낭비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주민참여예산제를 통한 지역축제의 운영은 꼭 필요한 곳에 꼭 필요한 자원을 쓸 수 있다는 점과 시민참여를 통한 대의민주주의 한계를 넘어 지역 사회의 발전에 주민 모두가 참여하고 관심을 갖게 만든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축제가 일회성의 의미 없는 행사로 끝나지 않고 평생교육프로그램 중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내 지역의 교육 수준을 올리고 나아가서는 앞서가는 지역 문화를 형성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으면 하는 바람도 생겼다. 많은 평생교육축제들이 평생교육을 홍보하는데 그치고 지역주민 참여를 유도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축제를 통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바탕을 마련하고 실질적으로 지역 사회에 꼭 필요한 인력을 개발할 수 있고, 새로운 일자리가 되어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출처 및 참고문헌
대구광역시주민참여예산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주민참여예산제
대구달서구평생학습센터 http://www.dsedu.go.kr/m/
대구축제닷컴 http://daegufestival.com/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1.17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