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1 ) 단종신화와 관련된 유적에 조사하고 그것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1 ) 단종신화와 관련된 유적에 조사하고 그것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사약을 차마 단종에게 내밀지 못하고 괴로워했다고 한다. 단종을 영월로 유배한 후 그 심정을 노래한 시조 1수가 전하는데, 초장이 \"천만리 머나먼 길 고은 님 여희옵고 / 둘 업셔 냇의 안자시니 / 져 물도 여 우러 밤길 녜놋다\"이다. 그 뒤 김지남이 금강에 이르러 여자아이들이 부르는 노래를 듣고 한문으로 단가(短歌)를 지었다고 전한다. 〈청구영언〉에 이 시조가 실려 있다.
-관음송
천연기념물 제349호. 관음송은 영월의 청령포 안에서 자라고 있으며 나이는 6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줄기가 두 갈래로 갈라져 하나는 위로 하나는 서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자라고 있다. 청령포는 세조 2년(1456)에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유배되었던 곳으로 단종은 유배생활을 하면서 둘로 갈라진 이 나무의 줄기에 걸터앉아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관음송이라는 이름은 단종의 비참한 모습을 지켜보았다고 해서 ‘볼 관’자를, 단종의 슬픈 말소리를 들었다 하여 ‘소리 음(音)’자를 따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단종어가
2000년 4월 5일 단종문화제와 때를 맞춰 건립된 단종어가는 승정원일지의 기록에 따라 기와집으로 그 당시의 모습을 나름대로 재연했다. 어가에는 당시 단종이 머물던 본채와 궁녀 및 관노들이 기거하던 사랑채가 있다. 밀랍 인형으로 당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가 담장 안에 유지비각이 있다.
3. 결론
단종설화는 단종의 유배와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수용하여 강원도 영월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설화다. 영월지역에서 단종설화의 형성은 단종과 관련된 유배와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그러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해 단종설화가 형성되었다. 특히 ‘정치적 폭력’에 의해 희생된 인물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정확한 역사적 기록물이 거의 전하지 않고 있으며, 영월의 지역민들은 단종설화 자체를 ‘역사적 사실’로 믿고 전승하고 있다. 또한 단종설화는 영월지역에 남아 있는 구체적 증거물들을 통해서 단종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설명하고 있어, 허구성이 강한 내용조차도 사실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그러나 단종설화가 역사적 사건을 사건 그 자체로 전승하지는 않는다. 단종설화는 영월 지역민들의 의식에 따라 단종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다양한 허구적 요소를 내용으로 수용하였으며, 이를 확대해 단종을 태백산신으로 만들었다. 단종이 태백산신으로 좌정하였다고 하는 믿음과 이것을 드러낸 문화적 현상 곧 마을신앙, 무속신앙, 지역축제 등으로 인해 신화로서의 단종설화도 함께 전승한다. 단종설화는 단종의 죽음이라고 하는 역사적 사건 이후 ‘단종의 신격화’라고 하는 내용의 설화를 새롭게 형성하여 신화로 정착된 것이다. 그것도 당신의 유래를 설명하는 ‘당신화’라고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이상일, <설화의 역사화와 역사의 전설화>, 《설화와 역사》, 집문당, 2000.
2) 영월군, 《영월과 단종사》, 1997.
3) 영월군청, <단종의 발자취를 따라>
4) 최명환(2006), <단종설화의 전승양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1.17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