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문) 이슬람문화 비상계엄령, 고대 이집트 문화 미이라 1, 터키문화 하렘, 베트남문화 인도차이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감상문) 이슬람문화 비상계엄령, 고대 이집트 문화 미이라 1, 터키문화 하렘, 베트남문화 인도차이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슬람문화 <영화 : 비상계엄령>

고대 이집트 문화 <미이라 1>

터키문화 <하렘>

베트남 문화 <인도차이나>

본문내용

그를 포착한 프랑스군이 그를 체포한다. 계곡 위에서 그런 모습을 보던 까미유는 소리를 지르려다가 까미유와 아기의 생명이 위험하여진다고 하면서 제지하는 유랑극단 단원 때문에 고통을 삼키면서 그와 아기가 프랑스군의 손에 끌려가게 놔둔다.
65 : 장 밥띠스뜨와 그의 아들인 아기가 체포되는 과정을 장의 성장한 아들에게 이야기하여주는 엘리안느. 그들은 서로가 생각을 하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찾지를 않았다.
66: 강의 포구에 들어서는 장과 그의 아기, 그리고 장 밥띠스뜨를 체포 압송하는 프랑스군. 배고파하는 장 밥띠스뜨의 아기를 위해 프랑스군 병사가 젖을 줄 수 있는 베트남 여인을 데리고 온다. 이런 식으로 장의 아기는 베트남 여인들의 젖을 먹고 크게 되며, 장 밥띠스뜨와 까미유, 그들의 아기는 전설로 바뀌어 간다. 그들의 이야기는 인도차이나 전체에 퍼지게 된다. 강에서 반쯤 누운 상태에서 노를 젓는 여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67: 장과 까미유의 이야기를 상연하다가 체포되는 유랑극 단원들. 까미유가 체포되었다고 하는 경찰국장. 100개의 극단이 장과 까미유의 이야기를 상연하고, 까미유는 공산주의자의 영웅이 되어버렸다. 엘리안느는 까미유의 석방을 부탁하나, 이미 경찰 국장도 어떻게 할 수 없을 정도로 까미유는 공산 민족주의자들의 중요한 영웅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68: 수녀와 해군 장교와 함께 엘리안느의 집으로 오는 장 밥띠스뜨의 아기. 아기를 보자 하인 아줌마는 실제 마음과는 달리 그 아기가 못생기고, 잘못된 옷을 입었다고 한다. 그녀의 말에 엘리안느도 맞장구를 친다. 그것은 아기가 예쁘면 악령들이 질투해서 아기에게 해를 끼칠 까 두려워 그런 식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베트남의 풍습이다.
69: 체포된 장 또는 르겡을 넘겨 줄 것을 해군 사령관에게 요구하는 경찰국장. 해군 사령관은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면서 이를 거부한다. 그러나 협조를 요청하면 도와주겠다고 한다.
70: 친구 앞에서 자식을 보기 위하여 입을 여는 장. 브레스트 수용소에 보내지기 전에 24시간의 자유를 허락받는 장 밥띠스뜨. 엘리안느 앞에 나타난 장 밥띠스뜨는 아기를 그녀에게 부탁한다. 장 밥띠스뜨는 엘리안느의 과거에 그가 엘리안느를 만났고, 엘리안느가 컸던 집에서 아기와 함께 밤을 보내게 된다. 발코니에서 아기를 안고 밖을 보는 장 밥띠스뜨. 그리고 다음 날 거기서 그는 권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쏘고 죽은 상태로 발견된다.
71: 엘리안느가 장 밥띠스뜨가 묵고있는 집에 오자, 쉐충 노인은 장 밥띠스뜨는 자고, 아기는 울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장 밥띠스뜨가 죽은 것을 발견한 엘리안느는 경악을 한다. 엘리안느는 장의 죽음은 형태는 자살이지만, 자살이 아니라고 확신한다.
72: 경찰 국장의 집에 간 엘리안느는 당국이 권총을 주고 자살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사실 자살을 가장한 암살임이 확실하였으나, 식민지 당국은 자살로 결론을 내버린다. 그러고 나서 그의 시신은 알루미늄 관에 넣어져 배를 타고 사이공을 떠나버렸다. 장 밥띠스뜨는 프랑스 군인으로 군대에 갔으나 프랑스에 저항하다가 죽어버린 것이었다.
73: 까미유의 자식이 5살이 되도록 까미유의 소식은 없었다. 대통령, 법무장관, 식민지 장관, 총독에게 사면을 요청했으나 아무런 답을 받을 수가 없었다. 그녀는 주변의 프랑스인들에게 공산주의자라는 소리를 들을 지경에 이르렀고, 심지어는 아이한테 돌팔매질을 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까미유의 아들은 엘리안느의 소왕국에서 어린 왕자처럼 성장하였다. 은행은 엘리안느가 그녀의 왕국을 팔도록 압력을 넣었으나, 그녀는 돌아올 까미유와 그녀의 아들을 위해서 버티고 있었다.
74: 유랑 극 단원 체포 후에 3년 동안 엘리안느와 제대로 만나지 않았던 경찰국장 기 애슬렁은 좌천에 해직으로 사이공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엘리안느를 잊지 못하면서 떠났고, 그의 애인 노릇을 하였던 엘리안느 농장 전 감독 부인은 기 애슬렁 옆에 있게 되었다.
75: 기 애슬렁이 간 후에 정치 상황이 급박해졌으며, 공산 인민전선이 반 항구까지 왔고, 포로들이 사면되었다. 그 속에서 까미유도 사면이 되었다. 엘리안느는 까미유를 만날 수 있었으나, 그녀는 이미 완전히 인도차이나인이 되었으며,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그녀는 자기 자식 엔티 엔에 대해 물어보고, 엘리안느 가슴 속으로 울기는 했으나, 엘리안느를 멀리하고, 베트남 독립 운동 세력인 공산주의자들의 인민전선 측으로 가버렸다. 장의 아들과 운전 기사가 날리는 창공의 연이 몹시 아름답다.
76: 까미유가 오지 않을 것을 안 엘리안느는 농장을 정리한다. 엘리안느는 농장에 애착이 있어 고무나무의 라텍스를 만져본다. 엘리아느는 모든 것을 민탐 부인에게 넘기고, 불안해하는 하녀 아줌마의 가족을 그곳에서 그대로 생활하도록 조치를 취한다. 엘리안느와 에티 엔은 프랑스로 돌아왔다. 1954년 7월 제네바 협정이 열리고 있는 스위스의 호수에 떠있는 선상에서 지난 과거를 이야기하는 엘리안느와 까미유의 아들 에티 엔. 그들은 베트남의 소왕국을 남에게 넘기고 다른 세계로 와 있었다.
77: 프랑스는 인도차이나를 해방시키기로 한다. 에티 엔은 제네바 협정 협상 베트남측 대표단이 묶고 있는 체결장인 호텔 안에 들어갔으나, 까미유는 그를 찾지 않았고, 그래서 그는 호텔에서 나왔다. 까미유와 그녀의 아들은 서로 다른 세계로 들어가 서로 다른 세계의 사람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엘리안느는 까미유를 잊지 못하나, 까미유와 에티 엔은 서로가 남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까미유는 떠나가고, 에티 엔은 엘리엔느의 아들과 같은 존재가 되어 남아 있게 된 것이다.
78: 1954년 7월 체결된 제네바 협약은 베트남을 갈라놓았듯이 이 가족을 영원히 갈라놓았다.
* 하롱베이 : 하롱 베이(Ha Long bay : 下龍灣)은 1994년 UNESCO가 세계의 문화 유산으로 지정한 베트남의 절경이다. 1베트남어 발음으로 하롱(下龍)의 뜻은 용이 내려온 곳이라는 뜻인데,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의 옛 이름이 탕롱(昇龍)이니 하노이에서 승천한 용이 동쪽으로 날아가다가 바다에 내려와 용의 비늘이 모두 바위섬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6.02.13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