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훔과 하박국 구조분석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훔과 하박국 구조분석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한 대답은 2:4~5에서 주어진다. 갈대아 사람들은 교만하며 도덕적으로 타락하였으나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 또한 2:4절에 나타난 하박국의 확신과 믿음은 2:1과 3:16에서 견고하게 될 것이다. 2:6~20절의 다섯 개의 재앙에 대한 선언은 상당히 길게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반해 하나님과 선지자와의 대화는 두 번의 질문과 응답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진행된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선지자와의 대화라는 테두리 안에서 이 재앙에 대한 선포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 좀 더 깊이 연구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그렇게 분류할 경우에는 텍스트의 분량만을 놓고 보면 마치 재앙에 대한 언급이 여호와와 선지자 간의 대화의 목표 또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다. 재앙이 다 선포되고 난 다음 2:20절의 마지막에서 하나님의 무서운 심판과 위대한 구원을 기다리며 잠잠하라고 명령하며 3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3장의 하박국의 기도는 두 가지 점에서 1~2장과 연결된다. 첫째, 복과 저주를 약속했던 하나님께서 출애굽의 역사를 이루셨듯이 유다를 구원하시리라는 말씀에 대한 계획이다. 둘째, 여호아께서 진노 중에라도 긍휼을 잊지 말아달라는 기도이다. 이것은 단 한 줄로 된 기도로 나타났다.(3:2) 이에 대한 대답은 3:3~15절에 나타나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여호와의 분노에 대한 주제는 기도 전체에 나타나고 있다.
신학적 해석
_ 예루살렘의 멸망과 성전 파괴 그리고 많은 백성들이 포로 생활에까지 이르게 된 위기 상황에서 유다 백성들에게 하박국의 선포는 전해졌다. 유다는 악인이 의인을 핍박함으로 인해 생긴 투쟁으로 찢겨져 있었다. 율법도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하박국에게 더 심각한 문제는 무자비한 죄악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으시는 것 같아 보이는데 있었다. 신정론 문제는 여호와를 경배한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였다. 의로우시고 최고의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왜 계속해서 죄악을 징벌하지 않으시고 그냥 두시는가에 대한 응답은 2:4~5절에 요약되어 있다. 의인과 악인의 궁극적인 운명은 늦게 나타날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성품 때문에 그 결과는 분명하게 된다. 의인은 살 것이고 악인은 망할 것이다. 그 동안 비록 하나님의 함께하심이나 은혜의 증가가 눈에 보이지 않을지라도 의인은 계속해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 계명을 지켜야만 한다.
_ 욥기와 달리 하바국서는 하나님의 공의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범 세계적인 차원으로 확장시켰다. 하박국서는 역사적으로 악인들이 번성하는 이유를 다룬 유일한 선지서이다. 주변의 상황들이 아무리 하나님의 주권과 공의에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것은 일시적인 것일 뿐 하나님께서는 역사를 공의로 다스리심을 믿어야 한다. 하나님은 하박국에게 재확인 시켜주셨다.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2:4) 믿음과 사실은 항상 보이는 곳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눈에 띄는 이 세상이 전부가 아니다. 하나님만이 이해하시는 공의로운 세계가 있다는 것을 믿음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_ 하박국 이후 수백 년 후인 신약 시대에서 다시 악과 불의는 흥왕했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성전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조롱하며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고 물었다.(마27:41~43) 하나님은 그를 구원하시기 위해 오시지 않으셨으며 다시 한 번 악은 승리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예수는 하나님을 신뢰했으며 하나님께서는 그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으키심으로써 변호하셨다.(롬1:4) 신약의 예수의 부활은 하나님이 멀리 계시지 않으며 악이 승리하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구약의 하박국에게 주신 것처럼 동일하게 하나님 자신의 선언을 선포 하신 것이다.
나훔과 하박국
나훔과 하박국은 동시대인이었으며, 하박국이 나훔보다 약간 후기의 사람이었다. 두 책과 메시지 사이에는 대조적인 면도 있지만 유사한 면도 있다. 두 책 모두 3장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나훔은 시로 시작한데 비해 하박국은 시로 마친다. 각자 위기 상황에 대해서 말했고, 여호와가 우주와 역사의 주가 되심을 확신했다. 내용면에서 나훔은 백성들에게 니느웨가 곧 멸망할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그 말씀을 기록하였다. 그 원수와 압제자는 멸망할 것이다. 나훔의 메시지는 근본적으로 이방 나라에 대한 신탁이었다. 하박국은 바벨론에게 다섯 가지의 재앙을 전하고 잔인한 불신앙의 폭군이 국경 지방에서 그 땅을 공격할 자세를 취했을 때 그의 주요 메시지는 여호와께 의지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키워드

  • 가격9,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2.11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