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 도시재생 사례 및 국내의 도시재생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의 도시재생 사례 및 국내의 도시재생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시재생의 개념과 목적


1. 도시재생의 개념

2. 도시재생사업의 목적

3. 해외의 도시재생 사례

문화시설을 통한 도시재생전략의 도입배경
도시재생전략 추진 체계
문화적 기반과 개발 전략
계획 특성
주변과의 연계성
도시재생의 효과

4. 국내의 도시재생 사례

※ 출처 및 참고자료, 참고 사이트 ※

본문내용

<1970년대 서울역 고가도로의 모습>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서울로 7017’ 서울로 7017의 가장 큰 목적은 끊어진 동서를 잇고 주변 지역으로 스며드는 보도를 조성하는 것이다. 서울로 7017은 시민들이 걷고 쉬면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활력 있고 매력적인 공간을 조성하여 사람을 모으고 머무르게 하고 스며들게 하여 서울역 일대의 활기를 되찾는 것을 그 목표로 삼았다. 또 이 프로젝트는 서울역 주변의 역사, 문화, 쇼핑을 연결하는 새로운 도보 관광의 트렌드를 제시하였고 서울역, 남대문시장, 명동, 남산, 회현동, 서소문 공원 등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관광 코스로 이어져 편리하게 서울역 주변을 걸으며 둘러볼 수 있게 되었다. 걷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자연스레 사람들이 모여든다면, 이를 통해 남대문시장, 명동 등 주변 상권도 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서울시는 서울역 일대가 낡은 고가도로로 인해 침체되고 쇠퇴하는 현상을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서울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시민들과 소통하면서 그들의 요청 사항을 적극 반영하면서 차근차근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갔다. 서울역 고가를 시민을 위한 도심 속 휴식처로 만들고, 이를 동시에 주변 지역의 문화와 상권 재생의 촉매로 활용한 것이다.

<많은 시민들의 발길을 끌고 있는 서울로7017>출처 : 연합뉴스 \'공원된 고가도로\'…서울로7017
개장 10만 인파 \'북새통’
2. 순천시 도시재생지난 2014년부터 순천시는 향동과 중앙동 일원 3800㎡ 부지에 4년간 사업 진행을 목표로 본격적인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착수했다. 이 사업을 위해 순천시는 ‘자연의 씨줄과 문화의 날줄로 엮어가는 천가지로(天街地路) 정원도시(情園都市)’라는 비전을 만들고, 네 가지 목표를 내걸었다.
향동과 중앙동 일원의 주요사업은 ‘역사문화와 창작예술이 살아나는 문화컨텐츠 공작소 순천 부읍성’이라는 주제로 부읍성을 상징화하고 주변 경관 개선, 에코지오 생태마을 조성, 테마거리 조성, 주민역량강화 등을 목표로 삼았다. 순천 부읍성은 역사자원을 활용한 시민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특히나 주민이 소통하는 청정 에너지 마을인 ‘에코지오 마을 조성’과 빈 건물을 활용한 ‘청년 창업’ 활동공간은 그간 낙후되어 사람들의 발길이 드물어진 원도심 중심가에만 67% 점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 상권이 커지고 매출도 늘어 청년 창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순천부읍성 위치도 조감도>출처 : (주)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일석이조, 상권활성화 청년유입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이루어지는 순천시 원도심 재생사업은 사업 추진 3년차인 지난 4월 들어 그 성과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지난 10월 조사결과에서는 사업시행 전과 비교할 때 순천 원도심 중심가 내 점포 수는 67.4%, 하루 평균 매출액은 11.2% 증가했으며, 반면 빈집은 85.9%가 감소했다. 2014년 396개소였던 점포수는 2016년 663개소로 증가하며 향동에서만 학원, 병원, 음식점, 건설업, 제조업 등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중앙동에서는 음식점, 서비스업소, 건설업, 제조업이 거의 세 배 증가하였다. 이들 업소의 하루 평균 매출액도 2014년 25만원에서 2015년 27만 8천 원으로 늘었다.
<순천 문화거리 청년 창업>출처 http://i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23.uf.tistory.com%2Fimage%2F2770B743563481DE2BFF22

뿐만 아니라 2013년 78개에 달했던 빈집 수는 2015년엔 11개로 줄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청년 인구의 유입이다. 빈 점포를 활용한 청년 창업사례가 속속 선보이면서 순천시 중앙로에는 오랜 기간 버려진 점포를 활용, 크로켓 마켓을 창업한 청년 창업소가 생겼다. 그밖에도 카페, 골목서점, 공방, 문화예술공작소 등 청년 창업은 아홉 곳 더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2013년 10건에 그쳤던 순천 도심의 건축허가 건수도 2015년에는 20건으로 대폭 늘어났다.

<중앙동, 향동 건축신고 현황>출처 : 네이버 포스트, 건설경제신문, ‘도시재생사업이 살린 순천’

※ 출처 및 참고자료, 참고 사이트 ※
http://www.riss.kr/index.do
김동영(2009) 「Gateshead 문화주도 재생(Culture-led Regeneration)의 시사점」전북발전연구원
오동훈,권구황(2007) 「도시재생전략으로서의 도시문화마케팅 해외사례 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국토계획, 제 42권 제5호
이나은(2010) 「대규모 도시공원 및 주변부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설계연구」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논문
주현영(2012) 「도심재생을 통한 문화창조도시 기반조성 방안」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최현숙(2009) 「文化施設에서 나타나는 都市再生 事例에 關한 硏究」홍익대학교 대학원 논문
신종복(2009) 「도시재생을 고려한 도심인접 해안의 수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창원대학교 대학원 논문
배수철(2008) 「미술문화공간을 통한 도시재생의 방안 연구」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논문
김상현(2007) 「지방도시재생사업 발전방안의 연구」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박형철(2005) 「독일과 영국의 도시재생에 관현 연구」대진대학교 대학원 논문
강현구(2008)「도시재생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가치관리 방안」
네이버 포스트, 건설경제신문, ‘도시재생사업이 살린 순천’
(주)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연합뉴스 \'공원된 고가도로\'…서울로7017 개장 10만 인파 \'북새통’
서울로7017 공식 홈페이지
경향신문 2009.09.08
건설경제신문, 2011.03.23
한국경제TV, 2012.04.02.
매일경제, 2012.05.30.
http://i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23.uf.tistory.com%2Fimage%2F2770B743563481DE2BFF22
http://oldwebzine.dgucenter.or.kr/webzine/
  • 가격4,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3.19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7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