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언어와생활] 교재 1장에서 설명한 통신 언어의 특징을 A4 2매 이내로 요약하고,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1 언어와생활] 교재 1장에서 설명한 통신 언어의 특징을 A4 2매 이내로 요약하고,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기본 개요
    1) 통신언어의 개념
    2) 통신언어의 발달과정
  2. 통신언어의 특징
    1) 우연성
    2) 파편화
    3) 소비
    4) 간결성
  3.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인터넷
    2) 방송프로그램
    3) SNS와 이모티콘
  4. 통신언어의 자료에 대한 특징 분석
    1) 영어식 준말
    2) 한국식 준말
    3) 한국어와 영어 합성어
    4) 합성어 줄임말
    5) 상징어와 은어
    6) 유행어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되는 통신언어로서의 이모티콘에 관한 사용 사례이다.
4. 통신언어의 자료에 대한 특징 분석
1) 영어식 준말
통신언어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정리 분석해 보면 통신언어는 영어 단어의 발음이나 초성을 비슷한 발음의 한글로 바꾸어서 축약해서 쓰는 경우가 있었다. 예로 들어 \'Go Go\'를 발음에 따라 \'ㄱㄱ\'로 쓰는 경우이다.
2) 한국식 준말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앱 등 다양한 통신매체를 이용해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사용자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일상생활에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의 초성을 축약해서 쓰는 경우가 많았다. 이 중에 많은 부분은 10대와 20대 이상 다양한 연령층에서 욕설 등 비속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ㄱㅅ\'라는 언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감사합니다.\'의 준말이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욕설로 \'ㅅㅂ\' 등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시발 및 씨발\'이라는 욕을 줄인 말이다.
3) 한국어와 영어 합성어
다음으로 한국어와 영어 합성어의 준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ㄴㅇㅈ\'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것은 \'NO\'+\'인정\'을 합쳐 \'노인정\'의 준말이다. 공감하지 못하거나 인정을 하지 못할 때 주로 사용된다.
4) 합성어 줄임말
다음으로 음절을 줄여서 만든 합성어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빠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자들이 여러 단어의 첫 글자를 순서대로 합쳐서 쓰는 형태이다. 흔히 누구나 한 번쯤은 보았거나 들어 보았을 언어로 \'남사친\', \'여사친\'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것은 \'남자/여자 사람 친구\'의 준말이다. 좋아서 사귀는 감정 없이 단순히 성별이 남자/여자인 친구를 뜻한다.
5) 상징어와 은어
상징어와 은어 또한 통신언어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사회발전에 따라 새로운 사물이 생겨서 표준어 중 단어가 맞출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물이 표현하기 위해 존재하지 않은 단어를 대신에 표준어 중 특징 맞춘 단어를 사용해서 쓰는 신조어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수타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물속으로 잠수를 한다는 것이 어의상 맞는 의미지만, 통상적으로 통신언어로 이해하는 의미는 연락을 끊고 사라진다는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6) 유행어
통신언어의 일종으로 인터넷 유행어가 기준어가 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인기 있는 프로그램, 세간에 널리 알려진 유명한 사건 혹은 핫 이슈에서 사용된 말이 인터넷 유행어가 된 기준어이다. 인터넷을 통해 폭넓게 확산되어 많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퍼진 신조어 중 \'이거 실화냐?\'란 말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러한 단어는 믿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되는 통신 단어로 인터넷 지상파 방송 등을 통해 널리 퍼진 단어이기도 하다.
Ⅲ. 결 론
통신언어는 앞으로도 계속 생성되고 사용될 것이다. 어쩌면 정말 일상어와의 구분이 없어질 수도 있다. 통신언어는 과거 채팅 매체인 ‘버디버디’, ‘세이클럽’을 거쳐 현재 광역 커뮤니티 매체인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톡’에 이르기까지 많은 매체를 통해 발전되어왔고 이제 현실 생활로까지 유입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통신상 문어에서만 사용되던 것이 이젠 일상 대화의 구어로 확장되었고 이젠 사용해선 안 된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이런 통신언어들은 언어파괴의 주범이고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단절을 야기하는 그런 언어로 교육됐지만 현재 기성세대들은 신세대와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매개체로 통신언어를 활용하며, 언어파괴라고 했던 괴상망측한 언어들은 참신하고 창의적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실제로 그렇게 생성된 언어들이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광고에 활용되기도 하며 쉽고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신문에 사용되고, 유희가 목적인 드라마, 영화, 예능프로그램에서는 더욱이나 많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본문의 사례에서 밝혀 보았다.
통신언어는 이제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는 특정 사용자들의 언어가 아니다. 많은 사람이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고 인터넷 통신 사용자 대부분이 통신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그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통신언어가 일상에 큰 영향력을 끼칠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모든 세대로 늘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이제 인터넷 통신언어는 앞으로 한국어를 더 풍부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21세기 통신 시대에 다양한 삶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이다. 따라서 우리들은 통신언어의 사용에 대해 인정하고 사용자들이 그것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발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백수빈(2019), 인터넷 젠더 커뮤니티의 통신언어에 대한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2. 이종찬(2018), 통신언어의 교육현황과 어휘적 특성에 대한 고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3. 조양(2017), 한국어와 중국어 인터넷 통신언어의 성별에 따른 차이 연구,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4. 무더기 \'행정지도\', 2019-10-03 10:47:20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003_0000788490&cID=10601&pID=10600
5. 네이버 지식백과, 통신언어 [通信言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6. 네이버 지식백과, 통신 언어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2007. 8. 25., 송진우)
7. 고성환(2016), 언어와 생활, KNOU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8. Naver 검색엔진, https://naver.com
9. 공감언론 뉴시스 newsis, 한글 파괴 불통 국적불명 언어 방송한 지상파·종편 예능
10. SBS : 함께 만드는 기쁨 www.sbs.co.kr
11. TV보다 더 큰 세상 iMBC.com www.imbc.com
12. TV CHOSUN www.tvchosun.com
13. 카카오톡 [KakaoTalk]
14. 도움말 국민 커플앱, 비트윈, https://between.us/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2.28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