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운동치료는 운동을 통해 질병이나 손상, 장애로부터 기능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1) 운동처방의 4가지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2) 55세 박씨의 안정 시 심박수(resting heart rate)는 분당 85회이다. 운동 강도를 최대 산소섭취량의 40%로 할 경우, 박씨의 목표 심박수(target heart rate)는 분당 몇 회인가? 계산 공식, 과정, 정답을 모두 기술하시오(15점).
2. 피부의 기능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상처 치유의 단계를 염증기, 증식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4.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병태생리적 차이점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시오(10점).
5.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흡재활 방법 중, 호흡운동 3가지를 제시하고 각 시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6. 참고자료

본문내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주요 발병 나이
40대~70대에 흔하다.
40대 이상 나이 들수록 점점 많아진다.
남녀 발병률 차이
여자가 약 3배 많다.
여자가 조금 더 많다.
원인
자가면역질환, 가족력
나이에 따른 노화, 비만 등
발병 부위
손가락, 손목, 발가락 등 작은 관절에서 점차 큰 관절로 진행
무릎, 손, 고관절
진단 방법
증상 관찰, 혈액검사
(염증 수치, 자가항체 반응)
관절 모양 확인, 방사선 검사, 혈액검사
치료법
비스테로이드성소염제, 스테로이드제, 항류마티스약제 등 주로 약물치료
생활습관 교정, 체중 조절, 약물치료, 물리치료, 수술
증상
통증, 발열, 피로감, 체중 감소 등
통증, 관절 변형 등
예방법
금연, 치주염 예방
규칙적인 운동, 체중 조절
(자료: 조수경(2017). 관절염 양대 산맥 퇴행성관절염 VS 류마티스관절염 어떻게 다를까?. 2017년 06월 건강다이제스트 푸름호)
5.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흡재활 방법 중, 호흡운동 3가지를 제시하고 각 시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1) 횡경막호흡(복식호흡)
복식호흡이란 횡경막의 수축이 주가 되는 호흡운동이며 횡격막의 하강운동이다.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배의 내장을 아래로 밀고 그 결과 흉강안의 부피가 증가하고 흉곽내압이 감소해서 허파로 공기가 들어오며 동시에 복강의 부피는 약간 줄어 복강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른 훈련방법은 1-2-3을 세면서 깊이 숨을 들이마시고 들숨을 5초간 멈추며 다음 8까지 세면서 숨을 천천히 내쉬는 것을 말하며 적어도 30분 정도 하루에 2-3회씩 코를 통해 호흡하는 운동을 복식호흡 운동이라 한다.
복식호흡은 횡격막의 강력한 수축에 의한 호흡법으로 비교적 부작용이 없으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운동조절도 용이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생리학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복식호흡은 숨을 깊고 크게 들이마셔 폐 밑에 위치한 횡격막을 아래로 밀어내고 이로 인해 배가 앞으로 나오면서 가슴에 부분적인 진공상태를 만들면 그 자리에 공기가 들어오고 횡격막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방법이다. 복식호흡은 가장 쉬우면서도 전통적인 이완요법으로 일명 횡격막호흡이라고도 한다. 서영교,정민수,이진환,민동기,이재홍(2012). 복식호흡 운동이 초등학생의 요통에 미치는 영향
2) 입술오므림호흡(호기)
입술 오므리기 호흡운동은 대상자가 코로 들이쉬고 입술로 휘파람을 불듯이 입술을 오므려 내쉬는 방법이다. 오무린 입은 기관지를 열린 상태로 유지, 폐포내압 증가, 길게 내쉼으로써 폐안의 공기와 이산화탄소의 배출 증진시킨다. 이런 운동은 입안에 생긴 양압이 기도 내로 전달되어 작은 기도의 패쇄를 막아주어 폐포 환기를 증가시키고 분비물 척도도 방지해 준다. 김금순(2017). 성인간호학. 수문사
3) 유도 폐활량계 훈련법(incentive respiratory spirometer)
유도 폐활량계 훈련법은 생체 되먹이기를 통한 일호흡량(tidal volume)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흡기 호흡운동이다. 환자는 올라오는 공의 높이나 튜브의 높이를 되먹이기의 척도로 하여, 3~4번의 느리고 편안한 호흡을 한 뒤 네 번째 호흡에서 최대로 숨을 내쉰다. 그 후 환자의 입에 폐활량계를 위치시키고 폐활량계를 통해 최대로 숨을 들이마시게 하고 몇 초 동안 흡기를 유지하게 한다. 처음에는 2~5분 정도 시행하며 점차 시간을 늘린다. 정성희,최윤경(2019). 재활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6. 참고자료
정성희,최윤경(2019). 재활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임순길(2009). 운동처방. 광림북하우스
강섬심,김문주,배정하,이승자,최정희,하명희(2001). 피부과학. 훈민사
김금순(2017).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혜옥(2017). 상처 관리. 포널스출판사
서영교,정민수,이진환,민동기,이재홍(2012). 복식호흡 운동이 초등학생의 요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2, vol.10, no.3
조수경(2017). 관절염 양대 산맥 퇴행성관절염 VS 류마티스관절염 어떻게 다를까?. 2017년 06월 건강다이제스트 푸름호
권이각(2001). 체질에 따른 운동처방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삼광의료재단(2020). 류마티스 관절염. 삼광의료재단
대한정형외과학회(2011) 골관절염. 대한정형외과학회
충북대학교 u-헬스케어 홈페이지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5.03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94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