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2021년 방통대 성인간호학 기말 과제, 덤핑증후군,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간호중재, 대장암 장루 환자, 혈액투석 시 혈관접근통로, 복막투석의 장단점 -방송대 성인간호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2021년 방통대 성인간호학 기말 과제, 덤핑증후군, 당뇨병의 급성합병증 간호중재, 대장암 장루 환자, 혈액투석 시 혈관접근통로, 복막투석의 장단점 -방송대 성인간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기말 과제]

1. 위절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덤핑 증후군(dumping syndrome)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서술하시오.
1) 덤핑증후군(dumping syndrome)에 대해 설명
2) 덤핑증후군(dumping syndrome)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
2. 당뇨병의 급성합병증과 각각의 간호중재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1) 고혈당과 케톤산증 설명 및 간호중재방법
2) 비케톤성 고삼투성 혼수 설명 및 간호중재방법
3) 저혈당증 설명 및 간호중재방법
3. 대장암으로 장루를 보유하게 된 환자와 가족에게 퇴원 시 제공해야 할 장루 간호교육의 내용을 제시하고, 장루를 보유한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서술하시오.
1) 장루를 보유하게 된 환자와 가족에게 퇴원 시 제공해야 할 장루 간호교육
2) 장루를 보유하게 된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
4. 혈액투석시 혈관접근통로의 형태와 방법, 위치, 처음 사용 가능 시기에 대해 비교해서 설명하시오.
5. 복막투석의 장단점에 관해 설명하시오.
1) 복막투석의 장점 설명
2) 복막투석의 단점 설명
6. 심장 수술 후 간호 목표를 제시하고, 목표별로 구체적인 간호관리 방법을 설명하시오.
7. 뇌압상승 환자의 보존적 치료 방법에 대해 영역별로 설명하시오.
1) 체위
2) 과호흡
3) 약물요법
4) 저체온요법
8.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 위생이 필요한 임상 상황을 제시하고, 손 위생 이행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자신의 손 위생 수행 지식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판단하는지와 의료인의 손위생 이행을 저해하는 요인과 이를 해결하는 방안에는 어떠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제시하시오.
9. 욕창분류단계를 제시하고 단계별 특성을 기술하시오.
10. 암성 통증의 약물적 관리와 비약물적 관리 방법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암환자 간호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와 이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여 기술하시오.
1) 약물적 관리 방법
2) 비약물적 관리 방법
3) 암환자 간호 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방해하는 요인 및 해결책

본문내용

, 전해질 균형 유지
수술 후 심박출량감소로 급성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당 소변량을 확인하고 BUN/Cr 검사를 실시한다. 부정맥을 막기 위해 K, Mg 수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보충한다.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 유지를 위해 적절한 수액공급을 유지하며 필요 시 수혈을 실시한다.
5) 통증조절과 안위증진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심장에 부담을 주어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정맥을 유발한다. 따라서 자가통증조절기를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하며, 충분한 설명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안위를 증진하도록 한다.
7. 뇌압상승 환자의 보존적 치료 방법에 대해 영역별로 설명하시오.
1) 체위
침대머리 부분을 30°정도 올리는 체위가 적절하다. 목과 둔부를 심하게 굴곡시키는 자세는 피하며, 2시간마다 체위 변경과 피부간호를 시행한다.
2) 과호흡
인공호흡기나 앰부백 등을 이용하며 PCO2를 30~35mmHg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약물요법
삼투성 이뇨제인 만니톨을 주로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제로는 덱사메타존을 주로 사용하는데, 특히 혈관부종을 조절하는 데 효과적이다.
4) 저체온요법
심부체온을 낮추어 신경보호와 뇌부종 감소를 유도하는 치료법으로, 뇌의 열 축적을 막고 뇌혈류량을 줄여 뇌압을 감소시킨다.
8.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 위생이 필요한 임상 상황을 제시하고, 손 위생 이행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자신의 손 위생 수행 지식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판단하는지와 의료인의 손위생 이행을 저해하는 요인과 이를 해결하는 방안에는 어떠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제시하시오.
1) 활력징후 측정 전, 체위변경 전, 신체검진 전, 물리치료 전 등 환자 접촉 전
2) 혈관카테터 삽입·관리 전, 혈관 약물 주입 전, 시술 전, 검체채취 전, 호흡기관리 및 분비물 흡인 전, 상처 드레싱 전 등 청결·무균술 시행 전에 시행한다.
3) 체액 또는 분비물, 점막, 상처 부위와 접촉하는 경우 또는 상처소독 후, 검체 채취 후, 배설물·토사물을 다룬 후, 호흡기 분비물 접촉 후, 배액 관련 행위 후 등 체액 노출 위험행위 후에 실시한다.
4) 활력징후 측정 후, 체위변경 후, 신체검진 후, 물리치료 후 등 환자 접촉 후에 시행한다.
5) 호흡기 치료기구 접촉 후, 수액펌프 또는 모니터 접촉 후, 침상 및 환자 주변 물품 접촉 후 등 환자의 주변 환경이나 물품과 접촉한 경우에 손위생을 실시한다.
6) 손위생 이행도 모니터링 방법 : 직접 관찰하는 방법, 자가보고 방법, 환자에 의한 직접 관찰 방법, 손위생용 제품 사용량 확인, 자동모니터체계 등이 있다. 손위생 행위별 이행도는 무균술 전, 환자 체액 노출 후 등과 같은 손위생 시행이 필요한 개별 행위를 분모로 하고 실제로 실시한 손위생 행위 건수를 분자로 하여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다.
7) 손 위생 수행 지식수준 : 최하
8) 의료인의 손위생 이행을 저해하는 요인 : 시간 부족, 피부 트러블, 깜박 잊음, 환자 상태가 깨끗함, 손소독제 부족, 윗사람의 낮은 수행률 등을 꼽을 수 있다.
① 의료인력의 충원 ② 반복적인 모니터링
9. 욕창분류단계를 제시하고 단계별 특성을 기술하시오.
1) 욕창 Ⅰ 단계(국소적 손상이 없는 발적)
뼈 돌출 부위에 피부 손상 없이 불게 발적된 상태로 표피가 손상된 상태이다. 피부를 눌렀을 때 하얗게 변하지 않는 홍반, 즉, 비창백성 홍반이 있으며, 이 발적 부위는 압력을 제거한 지 30분 후에도 정상 피부색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2) 욕창 Ⅱ 단계(부분층 피부손상)
피부가 일부 손상되어 붉거나 핑크빛의 얕은 상처를 보이는 단계로 표피와 진피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부분층 피부손상을 말한다.
3) 욕창 Ⅲ 단계(전층 피부손상)
노란 지방충, 즉 피하층이 드러나 있지만 근막, 근육, 뻐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4) 욕창 Ⅳ 단계(전층 조직손상)
뼈, 인대, 근육층까지 손상된 상태로, 죽은 조직이 상처 바닥에 있을 수 있는 전층 피부 및 조직손상 상태를 말한다.
5) 분류 불가능 단계
전층 피부 손상상태이지만 부유조직이나 건조가피조직으로 상처 기저부가 덮여 있어 조직의 손상 깊이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단계를 분류할 수 없는 상태이다.
6) 심부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단계
피부의 일부분에 보라색 또는 갈색의 변색이 벗겨지지 않은 피부상태를 말한다.
10. 암성 통증의 약물적 관리와 비약물적 관리 방법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암환자 간호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와 이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여 기술하시오.
1) 약물적 관리 방법
(1) 1단계 : NRS 1~3점의 경한 통증으로, 비마약성 진통제인 아스피린, 타이레놀 등을 우선사용
(2) 2단계 : NRS 4~6점의 중증도 통증으로, 마약성 진통제인 코데인, 트라마돌 등을 추가한다.
(3) 3단계 : NRS 7~10점의 중증 통증으로, 마약성 진통제인 모르핀, 옥시코돈, 펜타닐 등을 사용한다.
2) 비약물적 관리 방법
이완용법, 심상요법, 전환요법, 유머, 기도, 심리치료, 최면술, 바이오피드백, 냉치료, TENS, 침술 등 다양한 심리사회적 중재를 적용하여 통증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암환자 간호 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방해하는 요인 및 해결책
암환자 간호 시 효과적인 암성통증 관리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진통제에 대한 잘못된 오해, 의료진과의 심리적 갈등,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한 걱정, 슬프거나 우울한 감정, 가족 또는 보호자에 대한 불편한 진실 등이 있다. 해결책은 진통제에 대한 잘못된 진실에 대해 교육하며, 의료진을 귀찮게 하는 존재가 아닌 나와 함께 하는 존재라는 인식을 주는 것이다.
11. 참고문헌
최윤경, 정성희 저(2018).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송복례(2009). 당뇨병 합병증 검사의 종류와 주의사항. 대한당뇨병학회.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2009).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정문각.
대한당뇨병학회(2007). 단계별 당뇨병 관리. 대한당뇨병학회.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병원간호사회 www.khna.or.kr
  • 가격6,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1.05.24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