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육 방향 및 유아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육 방향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4차 산업혁명시대의 개념과 특징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2. 4차 산업혁명의 특징

Ⅲ. 4차 산업혁명과 유아교육
1. 슈밥의 4차 산업혁명과 교육
2. 교육에 접목되는 혁신 기술들

Ⅳ. 교육의 역할과 핵심역량
1. 시대 변화에 따른 교육의 역할과 핵심역량
2.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역할과 핵심역량

Ⅴ.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육 방향 및 유아교사의 역할
1.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육 방향
2. 유아교사의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우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유아교육에 관한 외국사례에 대한 자료수집이 어려워 사례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심층적인 분석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에서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물론 연구내용이 미흡하였음을 밝혀두며 본 보고서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성종(2021).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곽덕훈(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디지털 교육환경의 변화(연구보고 RM 2017-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교육복지정책국(2018). 유아교육 발전 기본계획(2018~2022)-공공성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교육복지 정책국.
관계부처합동(2016).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최종).
권귀염(2018).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4), 47-72.
김미성(2018). 4차 산업혁명과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준(2018).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김재인(2017),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서울: 동아시아
김진하(2016).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KISTEP InI(Inside and Insight) 15, 2016-8, 45-5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진형(2017).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STSS지속가능과학회 학술대회, 21-29.
김충일, 김호현(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과 누리과정 목표와의 연관성. 열린교육연구, 26(1), 79-94.
박선화 외(2017). 미래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연구(Ⅱ):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의 교수학습 방향을 중심으로(연구보고 RRI 2017-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손병호 외(2017).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주요 과학기술혁신. KISTEP Issue Paper, 2017-04.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윤정민(2019).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민(2017). 새로운 시대 인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4차 산업혁명시대와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7(3), 137-156.
이경상(2017).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동향. KESSIA ISSUE REPORT 2017-03, 임베디드소프트웨어 시스템산업협회.
이미란(2018).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의 미래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유아교육방향 탐색.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부미 (2001).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 서울 또하나의 문화.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이연승 (2014).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34(1), 327-341.
이재원(2016). 4차 산업혁명: 주요국의 대응현황을 중심으로. 국제경제리뷰, 2016-24. 한국은행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2013).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임은미(2017). 이미지와 시각 리터러시 교육. 교육의 새로운 비전 탐색: 시각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다매체적 접근 방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38-56.
정미라(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양성과 유아교육의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지, 제70호.
최진령, 이연승(2017).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1), 153-178.
한겨레(2017. 10. 23), 인간 도움 없이 독학한 알파고 제로, 범용AI 나오나,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15702.html.
한국일보(2017, 10, 19), 스스로 깨닫고 창의성까지…더 강력한 ‘알파고 제로’ 등장http://www.hankookilbo.com/v.aspx?id=00069a38e6f143c99ee796376fff896b&.
현재호 외(2016). 4차 산업혁명 정의 및 거시적 관점의 대응방안 연구.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산업통상자원부.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
Yuki Igarashi (2017), 「AI世代のデジタル敎育6歲までにきたえておきたい能力 55 : AI세대 디지털 교육이 6세까지 가르쳐야 할 핵심 역량」, 河出書房新社(Kawaride Shobo Shinsha).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p. 8.
  • 가격4,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1.12.29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0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