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의세계 2022 교재와 강의 1, 2, 3, 4, 5장을 공부하고, 그 중 세 강의를 골라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 (신화의세계 2,3,4 장 요약 서술)제2장 올륌포스 신들의 탄생과 신들의 전쟁, 제3강 올륌포스의 신들 (1), 제4강 올륌포스 신들 (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화의세계 2022 교재와 강의 1, 2, 3, 4, 5장을 공부하고, 그 중 세 강의를 골라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 (신화의세계 2,3,4 장 요약 서술)제2장 올륌포스 신들의 탄생과 신들의 전쟁, 제3강 올륌포스의 신들 (1), 제4강 올륌포스 신들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화의세계 2022 교재와 강의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

1. 제2장 올륌포스 신들의 탄생과 신들의 전쟁
1) 제 자식을 삼키는 크로노스
2) 티탄들과의 전쟁
3) 튀폰과의 전쟁
4) 거인들과 알로아다이
5) 판도라와 인간의 다섯 시대

2. 제3강 올륌포스의 신들 (1) - 제우스 중심의 올륌포스 신들 가운데 윗세대의 신
1) 제우스
2) 헤라
3) 데메테르
4) 포세이돈
5) 하데스
6) 페르세포네

3. 제4강 올륌포스 신들 (2) - 올륌포스 신들 가운데 젊은 세대의 신
1) 아폴론
2) 아르테미스
3) 아테네
4) 헤파이스토스
5) 아프로디테
6) 아레스
7) 헤르메스
8) 디오뉘소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에서 태어난 후 스틱스강에서 처녀 신이 될 것이라고 맹세했다. 그런데 한 번은 헤파이스토스에게 거의 강간당할 뻔했던 일화에서 그녀는 치마에서 정액을 닦아 땅에 던졌다. 그 결과 헤파이스토스의 정액에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가 잉태되어 에릭토니우스가 태어났다.
4)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헤라의 자식으로 절름발이이며 대장장이이다. 헤파이스토스는 못생긴 얼굴과 신체장애를 가진 신으로 묘사되며, 신체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거나 사고로 장애 신이 되었다고 한다. 불속에서 농기구와 무기를 자유자재로 만들어 내는 기술을 가진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의 아이기스, 아킬레우스의 방패, 신들의 잔치에 쓸 솥, 사이보그 하녀 등을 만들었다. 이 외에도 헤파이스토스는 기술의 한계를 넘은 신으로 다른 온갖 기술에도 능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손재주로 번개를 만들어 제우스에게 주었고 제우스는 그 대가로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주었다. ‘일리아스’에서는 우아함의 여신인 카리스와 함께 살았던 것으로 묘사되지만, ‘오디세이아’에서는 헤파이스토스와 아프로디테가 부부로 그려지고 있다.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가 무기를 만들기 위해 그의 대장간을 방문했을 때 아테나와 사랑에 빠지고 아테나를 덮쳤다. 그때 아테나는 헤파이스토스를 물리치고 허벅지에서 정액을 닦아내고 땅에 던졌고, 이로 인해 에릭 토니오스를 낳았다.
5) 아프로디테
아프로디테는 우라노스의 성기가 잘려 바다에 떨어진 핏방울이 거품을 일으키면서 태어난 신이다. 그녀의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아프로디테는 사랑의 여신, 특히 육체적인 사랑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가 좋지 않은 제우스와 헤라 사이에서도 잠시 화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사랑의 힘을 가지고 있다. 아름다운 몸매를 지닌 아프로디테는 황금의 여신, 웃음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아프로디테는 아레스, 앙키세스, 아도니스와의 사랑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앙키세스와의 관계에서 그녀는 로마의 발원지인 나라를 세운 아이네이아스를 낳는다. 아도니스는 아레스의 질투 때문에 사냥을 하던 중 멧돼지에게 죽임을 당한다.
6) 아레스
제우스와 헤라 사이에서 태어난 전쟁의 신 아레스는 디오메데우스에게 패하고 아테네에게 패했다. 그는 아버지 제우스의 가장 미움받는 아이로 알려져 있다.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아레스에게는 두려움과 두려움을 의미하는 아들 데이모스와 포보스가 있다. 로마신화에서는 ‘마르스’라고 하며 그 위상이 높아져 ‘Mars’라는 이름은 ‘마르스’에서 따온 것이다. 호전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외모를 지닌 아레스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았다. 아레스와 아프로디테는 남편인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를 피하기 위해 종종 비밀스러운 만남을 가지고 있었다.
7) 헤르메스
헤르메스는 경계의 신이자 경계를 넘는 자의 신이다. 도둑의 신, 영혼 인도자 능력을 발휘했다. 따라서 헤르메스는 경비 목자를 지키고 국경을 넘는 상인이나 여행자를 지키는 수호자 역할을 한다. 제우스와 여신 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헤르메스는 제우스의 전령이자 이계와 저승의 경계를 넘나드는 전령을 역임했다.
8) 디오니소스
박쿠스로 더 잘 알려진 디오니소스는 포도 또는 포도주의 신이었다.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세멜레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헤라의 계략으로 임신을 하고 제우스의 벼락에 화상을 입었다. 디오니소스는 머리에 담쟁이덩굴, 손에는 보통 칸토러스라고 불리는 큰 잔, 몸에는 표범 가죽, 큰 솔방울로 장식된 지팡이를 든 것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디오니소스는 수염이 없는 아름다운 얼굴에 중성적인 매력으로 그려졌다.
4. 참고문헌
강대진 (2019) 신화의세계.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4.08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6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