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심리학 ) 다양한 진로선택이론과 진로발달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각 이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상담심리학 ) 다양한 진로선택이론과 진로발달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각 이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진로 발달과 선택 이론의 개념 및 비교
2.2 이론의 실제 적용 가능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으로 진로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각각의 이론과 적용하여 살펴 보려고 한다.
한 언론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된 이야기가 있다. 서울 법대 출신의 한 70대 노인(노숙인, 이하 A씨)에 대한 이야기 이다. 그는 명문 K고를 졸업하고 서울법대를 들어갔으나, 50년 동안 사법고시에 도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현재 사법고시가 패지 되어 그는 더 이상 사법고시에 도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긴즈버그의 이론을 통해 접근하면 A씨는 현실과 타협하지 못 하였다. 여기서 현실이란 사법고시를 합격할 확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분명 시험기(11~17세)와 현실기(17세~성인)초반에는 사법고시 합격이라는 현실에 대하여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50년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그는 현실에 대하여 인정하지 못 하였다. 그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나, 당사자가 아닌 이상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못 한다는 한계가 있다.
Holland의 이론으로 접근하면, A씨의 사법고시 합격 가능성에 대하여 판단하여 진로를 설계 하지 못할 것이다. 성격의 유형은 법률 관련 진로가 적성에 맞을 수 있으나, A씨가 사법고시에 합격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한다. 가령 A씨가 사법고시를 통과 할 수 있었다고 하여도, 사법고시가 폐지된다는 환경적 변화에 대한 반영이 힘들었을 것이다.
3.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진로 발달 이론과 선택 이론은 각각 장점과 한계가 있다. 긴즈 버그의 진로 발달 이론은 개인의 연령별 단계별 구분을 통한 진로 상담과 교육의 방향성은 제시하였으나, 객관적, 과학적 연구 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 Holland는 실용적인 이론이나, 변화하는 환경과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는 한계가 있다.
필자는 진로 발달, 선택 이론 두 가지의 이론을 알맞은 상황에서 혼용하여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각 연령에 맞게 성겨 유형 검사(Holland)와 그 결과에 맞게 현실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개개인에 대한 맞춤 교육과 상담(긴즈 버그)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4차 산업 혁명에 의해 사람을 대체하는 A.I와 로봇의 등장과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진로라는 것은 전 생애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미래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른 환경 변화로 인해 진로의 의미가 지금과 달라 질 수도 있다. 그 때에는 긴즈 버그, Holland의 이론이 현실과 맞지 않은 학문적인 이론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세상에 어떠한 이론도 완벽한 이론은 없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피드백을 통해 개선되고 발전 시켜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봉환 외, 「Holland」, 1996
(주)천재교육, 「과목별 학습백과 공업 고등」, 천재교육 편집부
Ginizberg. 1984. P.179
김춘경, 「상담학 사전 세트」, 학지사, 2016
곽필순, 김봉환, 「Holland의 직업성격과 직업환경의 일치도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상담학회, 2005년 6권 3호 pp.837-848
  • 가격4,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