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와예술 ) 코로나 19의 확산 이후 자신이나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생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취미와예술 ) 코로나 19의 확산 이후 자신이나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생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취미의 기원
2. 언택트 취미 활동
3. 자연 속의 취미 활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질 추구 등이 원인이 되어, 지속 가능하고 자연 친화적인 웰빙 라이프(Well-being Life)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로서, 최근 휴양 및 체험교육, 레포츠, 치유활동 등 산림 및 자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자연 속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실제로,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면, 국민의 41%가 월 1회 이상 숲을 방문하고 자연휴양림 방문객은 연간 약 1,300만명에 달하며 연 평균 13%정도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만성·환경성 질환에 대한 예방의학적 측면에서 산림의 치유기능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건강을 증진 회복하고자 치유의 숲을 이용하는 방문객은 연간 45만명에 달한다. 김종호, 산림휴양분야 6차산업 활성화 방향, 국립산림과학원, 2014.
더하여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 후 여가생활을 자연 속에서 보내고 싶어하고, 젊은 세대는 도시의 삶에 회의 느끼고 귀촌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아짐으로써, 자연친화적이며 건강한 삶이 가능한 산촌이 주거공간으로 각광받고 있었는데,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밀집 지역의 위험도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실제로 자연 속 힐링 활동을 즐기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필요를 느끼고 산림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데, 정부에서 지원하는 전국 각지의 산림분야 사회적 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처럼, 전국 각지에 퍼져 있는, 산림 분야 기업 등을 통해 우리는 코로나 19로 인해 금지된 밀집 활동에서 자연 속의 활동으로 그 취미 활동을 옮겨갈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코로나 19는 우리의 삶을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황폐화시켰다. 전세계 경제가 무너졌고,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생계를 위협받고 있으며, 사람들 간의 접촉이 끊어져 서로 간의 연대마저도 희미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우울감과 분노 등을 호소하고, 개인의 일상은 축소되고 제한되어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 듯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상황에 적응하고 그러한 상황을 우리에게 유리하게 역이용할 수도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문화 생활의 파괴가 새로운 분야의 개척, 언택트와 자연 활동 등의 개척을 가져온 것을 보면 그러한 인간의 뛰어난 적응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우리는 대면 모임 위주의 활동을 중심으로 취미 활동을 이어나갔지만, 이제는 비대면 중심의, 사람 간의 모임이 아닌, 자연 속의 또는 개인 중심의 취미활동을 이어가야 할 때이다.
Ⅳ. 참고문헌
김경영, ““랜선여행부터 AI홈트까지” 코로나 시대 ‘언택트’ 취미 생활 앱 알아보자”. 테크엠, 2020.09.05
국립산림과학원 http://www.kfri.go.kr
산림청 http://www.forest.go.kr
국립산림과학원 보도자료, 우리나라 산림 공익가치 100조원 시대!, 국립산림과학원, 2012.
김종호, 산림휴양분야 6차산업 활성화 방향, 국립산림과학원, 2014.
  • 가격4,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9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