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전국에서 진행되는 평생학습 축제 중 한 곳을 선정하여, 축제의 주제와 주요내용을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론] 전국에서 진행되는 평생학습 축제 중 한 곳을 선정하여, 축제의 주제와 주요내용을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평생학습마을만들기

2. 참0슬 평생학습 축제의 주제

3. 참0슬 평생학습 축제의 주요내용

4. 참0슬 평생학습 축제의 가치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터, 사회, 사이버공간까지. 특히 가정과 마을은 평생동안 함께하는 공간이다. 사람이 함께하는 공간에서는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 장소 자체가 주는 교육적 요소가 있다. 가정교육이라면 가정에서 부모나 형제들에게서 배우는 컨텐츠 외에 가정이라는 마당이주는 교육요소가 있다. 즉 가정이 주는 안전함, 안락함, 따뜻함과 같은 분위기, 부부간 또는 부모 자식 간, 형제지간에 느껴지는 사랑, 우애, 긴장감까지 가정교육의 내용으로 담아내지는 않지만 분명 가정이라는 공간이 주는 교육력이 있는 것이다. 마을 공간 역시 그렇다. 마을 밖에서 활동하다가 마을 동구에만 들어서도 벌써 자세가 바르게 정돈되고 마을사람들과의 관계에 신경을 쓰게 된다. 이와 같은 것이 보이지 않는 마을의 교육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참이슬마을에서 평생교육사가 평생학습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마을 주민들에게 가장 먼저 인식시킨 부분이 ‘마을이 학교다’라는 것이다. 먼저 마을공간이 학습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것, 마을어른이 마을아이들을 지도할 수 있다는 것, 마을주민이 서로 알고 지내는 관계가 되면 마을력이 생긴다는 것, 마을공동체의 힘으로 마을의 문제를 스스로 해소해 갈 수 있다는 것, 마을자원이 교육컨텐츠가 될 수 있다는 것 등을 인식시킨 것은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핵심이 되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전국에서 진행되는 평생학습 축제 중 한 곳을 선정하여, 축제의 주제와 주요내용을 조사하여 작성해 보았다. 일 년에 한 번씩평생학습마을축제를 개최하여 그동안 진행되었던 학습성과들을 전시 홍보하며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을주민들은 마을축제에서 학습성과 공유는 물론, 각 동 대항 주민 친목경기를 펼침으로써 이웃과의 정을 나누었다. 참이슬주민들은 축제나 마을공동체 행사를 통하여 서로 소통하는 가운데 마을공동체의 힘을 느끼고 있다. 평생교육사는 마을만들기 활동 하나 하나에 마을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고민하며 기획에 교육적 요소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을 하는데 이 역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참고문헌
김성균(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서울: 지식의 날개.
고영상.(2008).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구축 성과분석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김남선.(2004). 평생학습도시 운영사례집. 서울:한국교육개발원.
국토연구원(2013). 마을만들기지원센터 전국적 현황과 전망. 서울: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지원센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7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