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COVID-19 이후의 소매업 사업계획서 (Post COVID-19 Retailing Business Plan)를 개인별로 작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 )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COVID-19 이후의 소매업 사업계획서 (Post COVID-19 Retailing Business Plan)를 개인별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과목명]

[주제]
1. 과제 배경:
① Retailing business의 성공 (예: http://premium.mk.co.kr/view.php?no=21805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2/2018041201759.html) 은 개인이나 사회에 큰 기여를 함.
② COVID-19 환경에서 매출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예: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938387/,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05/2020100502447.html), COVID-19 환경은 소매업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예: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16/2020101600405.html).
③ 그러나 COVID-19 백신 접종의 확산으로 COVID-19의 부정적 영향도 마침내는 지나갈 것으로 예상됨 (예: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Deloitte/kr/Documents/insights/deloitte-korea-review/17/kr_insights_deloitte-korea-review-17_08.pdf)

2. 과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COVID-19 이후의 소매업 사업계획서 (Post COVID-19 Retailing Business Plan)」를 개인별로 작성하여 제출할 것.

3. 과제 형식 및 내용: 과제의 구체적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a) 어떤 점포(store)/無점포(non-store) 소매업 (=what) 을
* 기존 상품(혹은 서비스상품)을 취급하는 소매업 혹은 나만의 새로운 상품(혹은 서비스상품)
을 취급하는 소매업 모두 가능 (국내외 on/off-line 관련 자료/보도, 서적, 논문, 개인적 경험/관찰 등 참조).

(b) 어떤 입지 (location) 에서,
[예] 상권분석 결과, 00구 00동 00아파트상가 1층 10평 점포로 입지 결정
* 필요시, 소상공인 상권정보시스템 (https://sg.sbiz.or.kr/godo/index.sg);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 (http://golmok.seoul.go.kr/sgmc/main.do);

혹은 지오비전 (http://bizanalysis.geovision.co.kr:8080/main.do) 등을 이용

(c) 왜 (=why: 환경분석 [사업 item이나 입지가 경쟁업체 대비 유리함], 예상 마케팅 성과 [ROA, Margin, Asset Turnover 등이 (동종) 경쟁업체 대비 유리함] 등을 이용한 사업 추진이유 설명 필요),
[예1] COVOD-19 환경에도 불구하고 내가 선택한 소매업 관련 인터넷탐색 횟수가 “0000건/월”이고, 내가 선택한 입지는 하루 유동인구/차량이 0000명/000대 이어서 market potential이 크고, 임차료도 월 000 원 으로 저렴한데다가, 반경 000 m내에 동종 경쟁업체가 없어서 기존 (유사) 소매업의 마케팅 성과(매출, 비용, 이익, ROA, Margin, Asset Turnover 등으로 설명)를 상회 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추진.
[예2] 내가 선택한 소매업과 입지는 COVID-19 환경하에서 충족되지 못했던 소비자의 필요나 욕구(needs/wants)를 충족시킬 수 있어 높은 마케팅 성과 (매출, 비용, 이익, ROA, Margin, Asset Turnover 등으로 설명) 가 예상되고, 소비자의 안전욕구(safety needs)도 상당한 수준으로 충족시킬 수 있기에 (혹시 있을 수도 있는) 새로운 pandemic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추진.

(d) 어떻게 (=how=retail mix) 성장시킬 것인지 설명하되, 교재 “소매유통경영”의 Retail Market Strategy (5장 참조) 와 Financial Strategy (6장 참조) 개념을 필히 활용하고, 기타 적절한 마케팅/유통관리/소매경영 개념 (예: 경쟁우위, franchise 등) 이나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해서 자신의 주장(argument)을 논리적으로 정당화(justification)할 것.
* “소매유통경영” (오세조 등 번역, Levy, Weitz & Grewal 저, Retailing Management, 10th ed.) 그림 5-5 (p.174)와 5장 V절 (pp. 173-183) 활용 가능.

과제 평가: 「COVID-19 이후의 소매업 사업계획서」는 “보고서에 제시된 개인의 주장(argument)이 개념적/논리적/경험적으로 정당화(justification)되었는지”를 기준

목차
COVID-19 이후의 소매업 사업계획서

1. 점포 형태와 상품의 종류
2. 입지
3. 왜 (=why: 환경분석 [사업 item이나 입지가 경쟁업체 대비 유리함], 예상 마케팅 성과 [ROA, Margin, Asset Turnover 등이 (동종) 경쟁업체 대비 유리함] 등을 이용한 사업 추진이유 설명 필요)
(1) 코로나 사태 이후 여행 수요의 증가 예상
(2) 코로나 사태 이후 청결과 위생
(3) 비대면 서비스에 관한 관심 증가와 온라인 매장
(4) 대기업 활동 참고
(4)-1 스타벅스의 가방 관련 마케팅 성공 사례
(4)-2 유니클로 등 SPA 브랜드의 온라인 스토어 및 오프라인 대형 매장 입점 계획
(5) 명동 입지
(5)-1 명동 상권 임대료 하락
(5)-2 관광객 대상 명동 상권의 상징성
4. 어떻게 (=how=retail mix) 성장시킬 것인지 설명하되, 교재 “소매유통경영”의 Retail Market Strategy (5장 참조)와 Financial Strategy (6장 참조) 개념을 필히 활용하고, 기타 적절한 마케팅/유통관리/소매경영 개념 (예: 경쟁우위, franchise 등)이나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해서 자신의 주장(argument)을 논리적으로 정당화(justification)할 것.
(1) 사업 SWOT 분석
(1)-1 Strength
(1)-2 Weakness
(1)-3 Opportunity
(1)-4 Threat
(2) SWOT 분석을 통한 사업의 성장 방향성 제시

본문내용

계가 정상적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그 이후에도 2년 이상의 준비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한다. 선진국 위주의 백신 공급으로는 백신의 효과가 활성화되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여행 수요를 급격히 늘리는 것은 여전히 새로운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처럼 미래의 상황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적은 자본력으로 소매점을 운영한다는 것은 매장을 낮은 확률 속에 내던지는 것과 같다. 도박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대기업 등 자본이 충분한 회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황을 조금 더 오래 견딜 수 있겠지만 저자본의 소매점으로는 버티기가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것이 해당 사업의 약점이다.
또 맞춤형 사업을 위한 높은 제품 가격대가 약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커지는 소비에 따라 여행 시장의 규모 역시 커질 가능성이 크지만 그럼에도 영세한 규모의 업체로서 충분할 만큼의 제품 품질을 얻기 위해선 상당히 높은 금액의 가격을 받아야 할 것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기회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높은 가격은 약점으로 꼽힐 수 있다.
(3)-3 Opportunity
앞서 명동 상권 입지를 선정한 이유로 언급했다시피 팬데믹 사태가 끝이 나고 돌아올 외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을 해당 사업의 큰 기회로 꼽을 수 있다. 명동 상권이 특색을 잃었던 것은 이들 외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으로 인하여 상권에서 다루는 상품의 종류가 줄어들고 독특한 가게들이 높아지는 임대료를 버티지 못하고 상권에서 이탈하였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반대로 보면 관광객의 수요만으로도 거대 상권을 이룰 수 있었다는 얘기도 된다. 이처럼 거대한 상권을 형성했던 코로나 사태 이전의 명동 상권이 가지는 위상과 향후 코로나 사태가 정상화된 후 돌아올 가능성이 큰 명동 상권의 위상 자체가 이 사업의 기회로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4)-4 Threat
해당 사업의 위협은 우선 향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기업과 같은 대형 자본의 시장 참여를 들 수 있다. 지금은 신규 사업을 시도한다든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비교적 꺼리는 시기이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소비가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 이후 회복되는 경제는 소자본 창업가들에게도 호재이지만 대기업들에도 역시 호재로 작동한다. 따라서 코로나 사태 이후를 대비하여 새로운 매장을 개점하였지만 충분한 이득을 얻기 전에 대기업이 더 좋은 기술과 더 큰 자본력을 바탕으로 고급화된 항균 여행 가방 용품 시장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 대기업 등의 거대 자본이 시장에 참가하기 전에 충분할 만큼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지 못하고 안정적인 제품 공급망을 만들지 못한다면 향후 시장을 잠식당할 위험성이 매우 크다.
(2) SWOT 분석을 통한 사업의 성장 방향성 제시
앞선 SWOT 분석을 통하여 사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점은 새로운 경쟁자들의 등장 등의 요인으로 사업에 주어진 시간이 그리 길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선 사전에 경쟁우위를 얻을 수 있는 요인들을 충분히 확보해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장 선점 브랜드의 이미지를 공고히 하는 것을 노려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사업의 강점은 첫째,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위생, 청결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여 항균 기능이 포함된 기능성 소재를 제품의 원단으로 하고 둘째, 대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통해 쉽게 제공할 수 없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셋째, 새로운 종류의 시장에 선진입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잘 조합해 좋은 브랜드를 탄생시킬 수 있고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낸 후 회복되는 명동 상권과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의 공고화를 노려볼 수 있다. 또 향후 해당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거대 자본과 맞설 수 있는 경쟁 우위를 확보하여 진입장벽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의 공고화는 중요할 것이다.
한편, 소매점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현재의 팬데믹 환경요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노려볼 수 있다.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의 자영업자들에 대한 지원이 큰 폭으로 늘어난 환경요인을 이용하여 시장 선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상품과 기능성 원단, 브랜드 로고 등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명동 상권을 통하여 관광객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향후 해외 진출에 이점을 가지고 해외 진출을 통하여서 사업 성장의 기회를 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소매유통경영” (오세조 등 번역, Levy, Weitz & Grewal 저, Retailing Management, 10th ed.)
한영준, 사람 사라진 명동..서울 중구 유동인구 78% 감소, 2020,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003161813123942
강다은, 중국만 쳐다보다… 명동 1층 공실률 60%, 2021, 조선일보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EC%A4%91%EA%B5%AD%EB%A7%8C-%EC%B3%90%EB%8B%A4%EB%B3%B4%EB%8B%A4-%EB%AA%85%EB%8F%99-1%EC%B8%B5-%EA%B3%B5%EC%8B%A4%EB%A5%A0-60/ar-BB1gtHOh
김소영, 스타벅스, ‘사재기’ 방지 위해 1회 주문 최대 20잔으로 제한한다, 2021, 비즈니스인사이트
https://biz.insight.co.kr/news/337750
한다원, 작아지는 유니클로, 국산 SPA 브랜드 반격카드 통할까, 2021, 시사저널 e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776
김성태. \"코로나19 이후 여행시장 변화와 전망.\" 한국관광정책 -.81 (2020): 70-73.
http://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c555a472e10e0db547de9c1710b0298d
  • 가격4,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