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불안정형 협심증 Case study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자료] 불안정형 협심증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
사정
객관적 자료
- 흉통이 있으나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해 2년간 병원을 오지 않음
- NTG의 투여 목적에 대해 잘 모르심
- 질병에 대해 명확히 모르며 심장병 정도로 생각함.
주관적
자료
“아팠다 안 아팠다 하니까 괜찮은 줄 알았지”
“그거 뭐지 폐 검사했어. 심장 검사랑”
간호
목표
단기
목표
질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며 NTG으로 올바른 방법을 통해 자가관리를 할 수 있다.
장기
목표
협심증과 관련된 정보를 알고,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 요인을 조절할 수 있다.
간호
계획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질환과 관련된 지식을 사정한다.
불안정형 치료의 목적은 협심증 증상을 완화시키고 심근경색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환자는 심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집중관리를 받게 된다.
대상자의 투약에 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평소 건강습관에 대해 사정한다.
NTG는 설하정이나 설하 분무제는 협심통 발작의 응급상황에서 투여한다. 혀 밑에 넣어 녹여서 흡수되도록 하거나 NTG 분부도 점막흡수가 빨라 투약 1-2분이 지나면 흉통이 완전히 사라진다.
영양, 흡연, 알코올 섭취, 운동, 투약 등에 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영양에 관해서는 특히 열량, 콜레스테롤, 염분에 대해 사정해야 하고, 흡연과 알코올에 대한 정보를 사정할 때는 빈도 뿐만 아니라 기간에 대해서도 질문해야 한다.
치료적 계획
흉통이 발생되면 nitroglycerin을 즉시 투여하도록 한다.
NTG는 구강점막에서 빠르게 흡수 되어 20-30초 후에 작용이 시작되어 1-2분 내에 씻은 듯이 통증이 사라진다.
교육적 계획
약물 투약의 필요성과 적절한 투약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투약의 이유와 방법들에 대해 교육하여 대상자가 스스로 중요성을 알고, 올바른 방법으로 투약을 하고, 거르지 않게끔 하기 위하여 교육한다.
대상자의 질환과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조절가능 위험요인: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비만, 당뇨, 운동부족, 스트레스, 호모시스테인
재발 가능성과 함께 자가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자가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해야 재발방지를 할 수 있다.
간호
수행
대상자의 질환과 관련된 지식을 사정한다.
대상자가 알고 있는 협심증에 관련된 정보를 사정한 결과 협심증은 통증이 심하고 흡연 음주 하는 사람에게서 호발 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시술을 하면 완치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재발 위험성이 높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함을 사정하였다. (by.SN)
흉통 발생 시 NGT 설하 투여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NGT를 혀밑에 넣고 녹여먹는 것이 아니라 씹어먹는 것으로 알고 있었음을 사정하였다. (by.SN)
대상자는 DM과 HBP를 인지하고 있으나, 육류위주의 식사를 즐기시며, 하루 반갑의 흡연과 3회/주 음주도 하신다고 말씀하셨다. (by.SN)
흉통이 발생되면 참지 않도록 하며 즉시 투여하도록 하고 5분 간격으로 3회까지 투여한다. 투여 후에도 흉통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을 찾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투약을 하는 이유와 약의 효능·효과, 투여시간, 투여방법, 주의사항, 약을 모두 복용하여 약이 부족할 경우에 대하여 교육한다.
협심증과 관련된 비약물적 요법인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이행할 수 있는 조절가능 위험요인에 대해 교육하고, 저콜레스테롤 식이 및 저염식이에 대한 안내문을 제공하였다. (by.Dr,RN,SN)
심호흡을 통해 통증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려주었으며, 심호흡을 격려하였다.(by RN)
기능
고혈압
- 정기적인 혈압측정
- 처방된 혈압약 복용
- 염분섭취 감소
- 금연
- 체중감소
- 규칙적인 운동
지질상승
- 동물성 지방섭취량 감소
- 총열량섭취량 조절
- 규칙적인 운동
- 복합탄수화물과 식물성 단백질 섭취증가
흡연
- 금연교실 참여
- 흡연대체방법 마련
- 가족의지지
운동부족
- 일주일 3-4회 운동시행
- 운동처방 수준에 맞는 운동증가
스트레스
- 건강에 위협이 되는 행위 인식
- 스트레스 유발행위 변화
- 현실적인 목표 설정
- 건강욕구의 우선 순위 재사정
- 대응전략 학습
- 하루 20분간 명상
- 적절한 휴식과 수면
비만
- 식습관 개선
- 열량 섭취량 감소
- 규칙적인 운동
- 폭식 금지/ 야식금지
- 과식금지
당뇨병
- 권장식이 준수
- 체중감소와 식이조절
- 규칙적인 혈당측정
간호
평가
단기 : 질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며 NTG으로 올바른 방법을 통해 자가관리를 할 수 있다.
통증 발생 시 NGT를 설하 투여하는 법에 대해 시범 보일 수 있었다. 협심증 재발 위험 요인에 대해 설명 할 수 있었다.
장기 : 협심증과 관련된 정보를 알고,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 요인을 조절할 수 있다.
대상자는 활동을 지속할 때 호흡곤란이 완화되었다고 표현한다.
- 대상자는 협심증 재발 위험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위험요인을 평생 관리 해야 함을 인지 하였다.
Ⅳ. 참고문헌
권선양 외, 1,2급 응급구조사를 위한 임상실습기록지, 군자출판사. 2015
김금순 외, 핵심 건강사정 임상증상별 접근,수문사. 2015
김양호 외, 병리학, 현문사. 2016
병원간호사회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Kathleen Deska Pagna, Timothy James Pagana, 「Mosby’s 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정담미디어』, 정미역 외 공역. 2011.
강현숙 외 15명,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11.
강현숙 외 15명,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11.
김금순 외 7명,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2.
심혈관 연구원 http://cvrc.kr/
홍영해 외 2명,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코리아』, 2006.
LAB TESTS ONLINE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
서울 아산병원 의학정보 http://www.amc.seoul.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의학용어 검색엔진 http://www.kmle.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mw.go.kr/
  • 가격2,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2.11.25
  • 저작시기201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