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심리학 온라인 상에서 채팅하면서 친숙해진 상대방을 오프라인에서 처음 만나기로 하였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심리학 온라인 상에서 채팅하면서 친숙해진 상대방을 오프라인에서 처음 만나기로 하였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정체성의 의미
2) 사이버공간에서 정체성의 표현 수단과 방법
2. 본론
1) 인공지능과 정체성
2) 로봇과의 채팅
3) 인공지능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하고 더 친해지고 싶었지만 사람이 아니기에 상대에게 학습 이상의 화학적 감정을 기대할 수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3. 결론
결국 정체성은 본인이 갖는 고유한, 본인의 감정과 경험이 결합되어 자신의 성향과 합쳐진 하나밖에 없는 개념이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쉽게 바꿀 수 없을뿐더러, 강제적으로 단번에 바뀌기란 물론 불가능하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이러한 개념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모든 기기에 같은 경험을 시키고 비슷한 호불호 키워드를 넣는다면 그들은 모두 같은 정체성을 갖게 되는 셈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니 말이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모두 다르기에, 그들과 인공지능의 정체성은 전혀 다른 수준에 자리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 인공지능이 사람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기는 이르다. 사람에게 상대가 인공지능이라는 사실을 먼저 알려야 함이 옳다. 상대가 인공지능이라고 처음부터 알고 있다면 사람은 그들에게 가지는 기대의 적정선을 조절할 수 있지만, 상대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가 로봇이라는 결론이 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전재학, [전재학 칼럼] 정체성을 찾아서... ‘나’로 사는 것이 중요한 시대, 2020.08.06., 2022, 10.02,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53
김대군. (2012).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정체성 확립 방안. 윤리연구, 1(86), 219-242.
천현득. (2017).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철학, 131, 217-243.
  • 가격4,1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3.0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