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와예술 코로나 19 COVID 19 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서서히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나타난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취미와예술 코로나 19 COVID 19 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서서히 회복되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취미 생활에 나타난 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의 취미생활 변화
2)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의 취미생활 변화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코로나 이전의 활동에 비하여 만남이나 사회활동 등에서는 이전에 비해 원활하게 활동을 하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문화예술 관람·참여활동, 스포츠 관람·참여활동, 관광활동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대면 활동의 증가는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 맞게 변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야외활동과 관련된 활동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예이다. 이는 해외여행의 어려움과 실내 활동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탐색적 여가활동의 패턴 변화로 보여 진다. 또한, 코로나 이후 혼자서 하는 여가활동과 실외 공간에서 하는 여가활동, 여가 시간, 스마트기기 이용 시간, 여가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증가하였고, 여가활동 빈도, 여가생활 만족도는 감소하였다.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국민들의 여가활동의 제약은 늘어났다. 하지만 일부 타협전략을 통해 홈 트레이닝, 온라인 비대면 활동 등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여전히 제한된 여건에서의 일상 활동이 이루어지고, 지난 몇 년간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코로나 19의 생활 패턴이 일순간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취미활동은 우리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유심히 관찰하는 것은 의미가 클 것이다. 따라서 취미 행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면밀히 관찰하고 관심을 가지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의재, 강현욱.(2021).코로나19와 여가생활의 변화: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45(4),1-10.
박용란 (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동기 및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백선혜, 이정현, 조윤정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정책리포트, 1-30.
서울관광재단(2020). 코로나19 전후 서울시민들의 외식·여가·관광 변화 발표. 서울관광재단.
이승호(2020). 코로나19 확산과 가구의 소득, 지출 변화. 노동리뷰, 7-20.
한국소비자원(2021). 코로나19로 인한 홈트레이닝 가속화와 소비자이슈. 한국소비자원.
newsis(2022. 09, 26). 캠핑산업 규모 6조 3000억 8.2% ↑ 캠핑장 수도 14.4% 늘어.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906_0002004115&cID=10701&pID=10700
동아사이언스(2020-08-23). 백신 개발돼도 코로나 이후 시대는 이전과 같지 않을 것.
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9184
연합뉴스(2020, 04, 24). 코로나19 시대, 10명 중 8명이 \'홈트\' 해봤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4036300030.
투데이 코리아(2020. 07.24.),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2, 취미, 새벽배송, 집안일.
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445
Featherstone, Mike. 1999(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Consumer Culture and Postmodernism). 정숙경 역. sage.
Kelly, j and Freysinger, v. j.(2000). 21st Centurv Leisure: Current Issure. Green Publishing.
  • 가격4,1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3.03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