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학기 환경보건학 개론, B. 국내 환경오염 사건 세 가지를 선정하여, 1) 사건의 경과, 2) 원인, 3), 4) 등을 조사하고 정리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2년 1학기 환경보건학 개론, B. 국내 환경오염 사건 세 가지를 선정하여, 1) 사건의 경과, 2) 원인, 3), 4) 등을 조사하고 정리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은 없었다. 사고를 겪은 4명의 대학원생 연구자들은 1명은 화상을 입고, 다른 3명은 가스 흡입으로 호흡곤란 증세를 보였지만 생명에 지장은 없었다.
4) 교훈 및 사건 이후의 변화
유독성 기체를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은 폭발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해야한다. 대부분의 대학원 실험실의 사고는 안전불감증과 안전수칙 미행에서 기인한 부주의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실험실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연구실 안전환경조성법(2006년 4월 1일)을 시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고는 줄지 않고 있다.
Ⅲ. 결론
본 과제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2010년 이후로 발생한 국내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건사고에 대해서 기사를 찾아보고 당시 사건 상황과 피해 현황을 알아보았다. 소개한 세 가지 경우의 유해화학물질 사고 현장과 마찬가지로 국내 산업현장에서 화학물질 사용 및 취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화재 및 폭발 위험성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부분의 사건사고가 한 순간의 방심에서 기인하거나 누적된 작은 습관들에서 발생한 것을 볼 때, 관련 직무를 수행하는 화재·폭발 특성, 반응·안정성 등의 화학물질의 물리적·화학적 위험성의 시험 및 평가 결과를 숙지하고 사고 예방을 철저히 해야하는 필요성을 느낀다. 개인적으로 최근에는 부서에 건의하여 극도로 위험한 화학물질을 피해서 일하고 있지만 업무 특성상 좋지 않은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이번 조사 과정을 통해서 간단한 작업이라 하더라도 안전수칙 및 안전장비를 꼭 갖추는 습관을 더 강화해야겠다고 생각했다.
Ⅳ. 참고문헌
[1] 환경부/화학물질 안전원/nics.me.go.kr
[2] 국가법령정보센터/화학물질관리법/www.law.go.kr
[3] 환경부/(설명자료)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화학안전의 교훈/me.go.kr
[4] 다시 찾은 구미 불산사고 현장 “시설물 멀쩡한데 불산 왜 누출됐나?”/경북매일 10월 7일 자/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67130
[5] 보팔 사건/대기오염개론/동종인 외 공저/10p
[6] 끝나지 않은 불산 누출 재앙... 가축 3654마리 도살처분 시작/동아일보 2012년 12월 18일 자/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21218/51678083/1
[7] 119 화학구조센터의 명칭위치 및 관할구역(제8조제1항 관련)/소방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국가법령정보센터
[8] 여수 LG화학 공장서 포스겐 가스 누출... 4명 부상/아주경제 1월 30일 자 기사
[9] 나치 유대인 학살 독가스... ‘포스겐’ 여수산단서 누출 “불안”/SBS 뉴스/2015년 1월30일 보도
[10] 유해화학사고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방재플랫폼 구축 연구/송창영, 양병수/한국방재시스템 학회(kosham)/pp93-99 / 2017
[11] 광주과학기술원서 화학물질 폭발... 대학원생 4명 부상/ 뉴스 1/2015년 2월 26일 자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4.17
  • 저작시기202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3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