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_만 5세 유아의 문화수용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를 평정척도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다음의 내용에 근거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3)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_만 5세 유아의 문화수용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를 평정척도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다음의 내용에 근거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문화수용성의 검사도구 제작 목적
2) 문화수용성의 조작적 정의
3) 문화수용성 검사도구의 하위요인의 정의 및 제시
4) 문화수용성 검사도구의 실시과정
5) 문화수용성 검사도구의 결과물
6) 문화수용성 검사도구의 반분검사신뢰도 산출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답변했는지의 여부를 재차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④ 검사자는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영역 4가지의 문항에 따라서 유아의 문항별적인 반응을 검사지에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⑤ 결과에 대한 채점 및 분석: 유아의 문항별적 반응에 따라 기록한 유아의 점수를 다문화 수용성 하위 영역 4개에 따라서 분류하여 채점한다.
Ⅲ. 결론
유아기의 문화수용성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타 문화를 존중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기는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탈피하여 여러 일상생활 혹은 문제 상황 속에서 상대방에 대한 감정 등을 이해하고 추측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는 성장하면서 사회적인 관계가 가정 내에서의 범위를 뛰어넘어 또래로 확대되고, 또래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또래관계가 유아기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이 시기에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자아 존중감을 발달시키고,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렇듯 문화에 대한 편견 없는 수용과 관련된 교육이나 노력은 유아기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유아의 정서 및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사회는 다문화를 빨리 받아들이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갈등을 직접적으로 경험했던 다른 국가들과는 다르게 인구구성적 측면에서 외국인이주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고, 실제 외국인을 접할 수 있는 기회 등이 많지 않기 때문에 갈등을 겪을 일이 많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외국인 이주민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서로 경쟁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현실적인 갈등이 크게 부각되면서 사회적 갈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래서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인식개선이 필요한 홍보 전략의 마련 등이 뒤따라야 한다. 이러한 다문화 프로그램은 연령대에 맞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그 프로그램은 영유아부터 진행한다면 좀 더 효과적이고 나아가 사회적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민무숙ㆍ안상수ㆍ김이선ㆍ김금미ㆍ조영기ㆍ류정아ㆍ조영기 (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윤인진ㆍ송영호(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24(1). 143-192.
김미진(201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범주(2016).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Stephan, W, G., & Finlay, K. (1999). The Role of Empathy in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Journal of Social Issues, 55(4), 729-743.
박재옥(2013). 통합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 및 창의적 놀이행동.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병섭(2006). 다문화적 소수자 문제에서 한국의 특수성. 사회와 철학 12:99-126.
김현선(2006). 국민, 국민, 국민,-한국 국민형성의 원리와 과정. 사회연구 12:77-106.
장태한(2001). 한국 대학생의 인종, 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당대비평 14:99-113.
김이선, 황정미, 이진영(2007).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1):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5.22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